본문으로 바로가기

수시연구보고서

연구

海外 油田 開發의 效率的 推進 方案 硏究
기본연구보고서

海外 油田 開發의 效率的 推進 方案 硏究

  • 발행일1992.07.03
  • 저자KEEI
  • 총서사항
  • 조회수8,376

요약

1. 2000년대 국내 석유수요 전망

1990년 현재 국내 석유소비는 약 351.1백만 배럴로 전체 1차 에너지 소비의 약 54%에 달하고 있다. 이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산업부문이 39.4%, 수송부문이 28.8%, 가정·상업부문이 18.8%, 발전부문이 7.8%를 차지하고 있다.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대로 고급에너지에 대한 선호가 높아짐에 따라 '90년대 석유수요는 다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2000년대 들어서는 전체 에너지 소비 증가세의 둔화와 함께, 천연가스 및 원자력의 소비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2030년 1차 에너지 수요중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8% 정도로 낮아질 전망이다.
s
결국 석유수요는 2000년에 674.7백만 배럴 그리고 2030년에는 1,027백만 배럴로 1990년 현재 수준의 약 1.9배, 2.9배 수준으로의 증가가 예상된다.

2. 걸프전 이후 세계 원유시장의 동향 및 전망

걸프전 이후 중동정세가 재편되고 있으며, 또한 이는 산유국과 소비국간의 관계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 OPEC의 석유정책이 강경파와 온건파사이의 이해 조정은 물론 소비국의 석유의존도 감소 및 대체에너지 개발 촉진노력이 지속되면서 석유시장의 안정을 위한 산유국과 소비국의 협력 또한 증진되는 경우이다.

상기 시나리오하에서 원유가는 '90년대에 걸쳐 배럴당 20-25불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경우 자유세계 원유수요는 1995년에 55.0백만 B/D, 2000년에는 57.2백만 B/D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원유가가 적정선을 유지하게 됨에 따라 산유국의 유전개발은 한층 활기를 뛸 것으로 예상되어 소비국의 개발사업에의 참여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3. 적극적인 해외유전개발의 필요성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라 에너지수요의 증가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990년 현재 총 1차에너지 수요는 92.5백만 TOE 이었으나 2000년에는 약 1.8배 증가한 165.6백만 TOE, 2010년에는 214.5백만 TOE, 2030년에는 303.4백만 TOE에 이를 전망이다.

에너지 자원의 부존이 빈약한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 수요의 수입의존도 역시 증가가 예상되며 90년 86.8%에 달했던 수입의존도는 2030년에 가서는 95.1%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해외 에너지자원의 확보 및 안정적 공급기반 구축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적극적인 해외유전개발의 추진은 자주개발원유를 확보하여 에너지자원 공급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물론 경제적인 원유의 도입을 가능케하여 국민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해외유전개발사업의 필요성
1. 2000년대 국내 석유수요 전망
2. 걸프전 이후 세계 원유시장의 동향 및 전망
3. 적극적인 해외유전개발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필요성과 범위

제2장 해외 유전개발사업의 현황
제1절 세계 유전개발현황
1. 석유사들의 개발전략
2. 산유국의 유전 개발현황
3. 소비국의 해외 유전개발현황
제2절 주요국(소비국)의 해외 유전개발 정책
1. 일본
2. 대만
3. 독일
4. 프랑스
5. 스페인
제3절 유전개발 계약형태의 구조적 분석
1. 유전개발 계약에 대한 산유국의 법률적 구조
2. 컨세션(Concessions) 및 계약형태의 변천
3. 합작개발형태(Joint Venture)
4. 생산분배계약(Production Sharing Contracts)
5. 서비스계약(Service Contracts)

제3장 우리나라의 해외 유전개발 추진현황
제1절 해외 유전개발 진출지역 및 추진현황
1. 아시아 및 태평양
2. 중동
3. 아프리카
4. 북미지역
5. 중남미
제2절 우리나라 해외 유전개발의 참여방식
제3절 해외 유전개발사업의 자금조달 현황

제4장 海外油田開發사업의 構造 分析
제1절 해외유전개발사업의 구조적 분석
1. 공급자(Supplier)
2. 해외유전개발사업자(Industry)
3. 소비자(Consumer)
4. 잠재 시장참여자(Potential Entrants)
5. 대체사업자(Substiute Goods Industry)
제2절 해외유전개발사업의 구조적 특성
1. 공급자와 소비자의 同一性
2. 독과점적 사업구조
제3절 산유국과 메이저의 이해 분석
1. 각 사업단계별 산유국의 이해(Interests) 변화
2. 메이저의 해외유전개발전략
3. 메이저와 산유국의 이해관계의 변화
제4절 세계 유전개발시장의 세분화(Market Segmentation)
1. 산유국 유전개발정책의 결정변수
2. 산유국 유전개발시장의 분류(Market Segmentation)와 참여전략

제5장 해외유전개발사업의 추진전략
제1절 구체적 사업정책들
1. 수직적 연계의 강화
2. 기술개발전략
3. 전략적 緣帶(Strategic Coalition)
4. 해외유전개발 추진전략

제6장 정부의 역할 및 정책적 제언 : 조정(Coordination) 역할
제1절 산업에 있어 국가 경쟁력의 결정 요인
1. 생산요소의 부존상황
2. 해당산업이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국내수요
3. 원자재산업 및 관련산업의 국제경쟁력 정도
4. 해당산업내 기업의 전략 및 목표
제2절 정부의 정책적 대안들
1. 대상국가 및 진출방식의 다원화 유도
2. 선별적인 기술 및 인력의 개발 지원
3. 국가 차원의 전략정보체제(Strategic Information System)의 구축
제3절 결어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