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수시연구보고서

연구

한·일 수소 정책 및 기술 동향 분석
수시연구보고서
  • 수소 및 신에너지
  • 신에너지

한·일 수소 정책 및 기술 동향 분석

  • 발행일2023.07.31
  • 저자이준영
  • 총서사항KEEI-수시연구보고서;23-01
  • 조회수7,116

요약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정부는 세계 최초로 수소법을 제정하고, 다양한 정책 및 로드맵으로 수소경제를 활성화 하는 데에 많은 자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세계1등 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수소 전주기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상태
   -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변함없는 수소 경제 추진 정책을 선보임.
   - 2030 NDC 상향안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수소·암모니아 혼소 등 수소의 역할이 강조됨.
  ○ 일본 경제산업성의 수소산업 향후 발전과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와 유사한 점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수소 활용처의 다양화, 그린화
   - 자원외교, 인프라 수출 등의 종합 추진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수소 관련 정책 및 기술 현황을 분석하고, 우리나라가 가진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수소 산업 발전 방향성에 있어, 일본의 장점을 지향하고 단점을 지양하는 데에 있음.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일본의 수소 정책 및 기술 현황 분석
 1. 일본의 수소 관련 정책
  1.1.수소기본전략
  1.2.수소·연료전지전략 로드맵
  1.3.그린성장전략 및 그린이노베이션 기금
 2. 일본의 수소 생산
  2.1. 화석연료 개질
  2.2. 수전해
 3. 일본의 수소 저장·운송
  3.1. 액화수소
  3.2. 유기하이드라이드(유기화합물)
  3.3. 암모니아
 4. 일본의 수소 활용
  4.1. 수소자동차
  4.2. 수소발전
  4.3. 연료 암모니아
  4.4. 산업
  4.5. 메타네이션
 5. 소결
 
제3장 한국의 수소 정책 및 기술 현황 분석
 1. 한국의 수소 관련 정책
  1.1.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1.2.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거리에 관한 법률
  1.3.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1.4.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1.5.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2. 한국의 수소 생산
  2.1. 현황
  2.2. 블루수소
  2.3. 수전해
 3. 한국의 수소 저장·운송
  3.1. 현황
  3.2. 액화수소
  3.3. 암모니아
  3.4. 청정수소 인증제
  3.5. 기술 목표
 4. 한국의 수소 활용
  4.1. 수소 자동차
  4.2. 수소·암모니아 발전
  4.3. 산업에서의 활용
 5. 소결
 
제4장 한·일 수소 정책 및 기술 현황 비교 및 시사점 검토
 1. 생산
 2. 유통·저장
 3. 활용
 4. 시사점
  4.1. 수소 생산 가격 설정
  4.2. 기초과학 R&D 투자 증대
  4.3. 종합상사의 활용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