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395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395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저탄소 경제 혁명, 부의 미래를 바꾼다!
인류의 에너지는 나무에서 석탄, 석유, 천연가스, 수소로 이어지며 저탄소화로 가고 있다. 이제 저탄소 경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금융 파생상품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탄소 시장과 탄소 규제의 확대는 전 세계 기업의 경영 전략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녹색 경영』은 지구온난화를 둘러싼 과학과 정치, 그리고 시장의 '녹색 열풍'을 다룬 책이다. GE의 에코매지네이션, 자동차 업계의 하이브리드카, 그린밸리로 변하고 있는 실리콘밸리, 북미 벤처 시장의 녹색 열풍을 살펴본다. 또한 21세기 녹색 시대에 한국 기업이 갖춰야 할 경영 전략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에너지 전문가인 저자 김현진 교수는 이제 에너지의 세계는 저탄소 에너지 경제 시스템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다는 점과,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은 국가와 기업의 부를 바꿀 기회라는 점을 강조한다. 녹색 열풍은 더 이상 에너지 고갈이나 환경 운동에 따른 대안이 아니라, 거대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경제 혁명이라고 주장하며 그 근거들을 소개한다.
목차
저자의 글
1부 저탄소 경제, 부의 지도를 바꾼다
1. 왜, 지금, 저탄소 경제인가?
에너지 경제의 새로운 화두
저탄소 경제를 향한 거침없는 각국의 행보
변화의 흐름에 동참하라
저탄소 경제란 무엇인가?
6C, 에너지 트렌드를 바꾸다
녹색 기술의 세 가지 방향
2. 화석연료 시대의 양적 도전
에너지 수급의 딜레마
에너지 확보 경쟁
시장 상품에서 전략 상품으로
낙관론vs비관론
국제 석유 시장의 세 가지 변수
땅속이 문제다 : 지질학적 관점에서
땅 위의 문제다 : 지정학적 관점에서
제3의 공간 : 금융/경제적 관점에서
3. 화석연료 시대의 질적 도전
지구온난화의 주범 온실가스
'뜨거운 여름'논쟁
IPCC 4차 보고서의 충격
「스턴 보고서」의메시지
지구온난화에 따른 리스크
2부 경영 환경이 바뀐다
4. 도미노처럼 확산되는 규제
'과학'에서 '비즈니스'로
SONY의 카드뮴 쇼크
온실가스 규제 카운트다운
거친 그린 무역 장벽의 파고
맞규제로 대응하는 중국
규제를 새로운 기회로
5. 녹색 옷으로 갈아입는 정책
EU의 사슬을 풀 녹색 열쇠
미국, 뉴 아폴로 프로젝트
일본, 에너지 효율 수출국으로
중국, 흑묘도 백묘도 아닌 녹묘!
6. 이해관계자의 요구 변화
기관투자가도 주목하는 탄소 공개 프로젝트
저탄소 경제 시대, 소비자의 하루
그린 컨슈머의 요구에 부합하려면
7. 경쟁 기업의 움직임
GE의 에코매지네이션
자동차 업계의 친환경차 선점 경쟁
도레이의 탄소섬유 개발
Early Mover 또는 Fast Follower가 되라
8. 기후 변화에 따른 물리적 변화
기후 변화가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
기상재해가 만들어 내는 새로운 비즈니스
3부 온실가스 규제 시대의 경영 전략
9. 노실가스 규제 시대
'발등의 불'이 된 온실가스 감축
지구온난화를 둘러싼 외교 전쟁
선진국 vs 개도국, 선진국 vs 선진국
온실가스 감축에 유리한 EU
교토의정서를 탈퇴한 미국의 속사정
세계 최대 에너지 효율국 일본의 딜레마
포스트 교토 체제의 향방
코펜하겐 회의가 남긴 것
온실가스 감축의 책임과 비용 분담
10. 탄소 시장의 부상
탄소 시장이란 무엇인가?
배출권, 어떻게 획득하나?
배출권, 어디에서 거래되나?
탄소 시장의 글로벌화
배출권 가격은 어떻게 형성되나?
배출권 누가 사고파나?
CDM으로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중국
영구 금융계의 배출권 전략
탄소 시장의 중장기 리스크
11. 기업의 탄소 전략
탄소 시장의 시험대
EU-ETS의 허와 실
규제의 본격화
EU 기업들의 배출권 전략
일본 산업계의 자발적 감축
배출권 왜 구입하나?
우리 기업, 어떻게 대응할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