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성장동력 산업
신 성장동력 산업: 핵심전략. 1-3
- 단체저자
- 첨단신기술정보분석연구회
- 발행사항
- 서울 : 지식산업정보원, 2009
- 형태사항
- 3책 : 삽화, 도표, 지도 ; 27 cm
- 원표제
- 성장동력 산업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E20396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20396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20396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E20396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20396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20396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신 성장동력 산업 핵심전략 세트(전 3권)』은 녹심산업기술편, 첨단융?산업편, 고부가서비스산업의 총 3편의 신 성장동력 산업 핵심전략 세트이다.
목차
신 성장동력산업 핵심전략Ⅰ- 녹색산업기술편-
총론. 신성장 동력산업과 정책동향
1. 신성장 동력산업 정책 개요
2. 3대 산업분야별 주요과제 내용
2-1. 녹색기술산업 분야
2-2. 첨단융합산업 분야
2-3. 고부가 서비스 산업분야
3. 추진배경 및 경과
3-1. 추진배경
3-2. 추진경과
4. 기본방향과 세부 추진계획
4-1. 기본방향
4-2. 세부추진 계획
1) 성장동력별 추진계획
2) 기능별 추진계획
5. 향후 추진계획
6. 3대 기능별 17개 성장동력별 주요내용
6-1. 신재생에너지
6-2. 탄소저감에너지
6-3. 고도 물처리 산업
6-4. LED응용
6-5. 그린수송시스템
6-6. 첨단 그린도시 조성사업
6-7. 방송통신융합산업
6-8. IT융합시스템
6-9. 로봇응용
6-10. 신소재? 나노융합
6-11. 바이오제약(자원) ? 의료기기
6-12. 고부가 식품산업
6-13. 글로벌 헬스케어
6-14. 글로벌 교육서비스
6-15. 녹색금융
6-16. 콘텐츠 ? SW
6-17. MICE?관광
7. 기능별 대책 개요
7-1. 신성장동력 기술전략지도
7-2. 신성장동력 인력양성계획
7-3.중소기업 지원계획
1 장. 녹색기술 산업 개요
1. 신성장산업과 녹색기술산업 추진배경
2. 녹색기술 산업의 비전과 전략
2-1. 비전
2-2. 추진전략
3. 녹색기술 산업 선정 과제별 세부 추진계획
3-1. 신재생에너지
3-2. 탄소저감에너지 : 주관(지경부), 협조(교과부·국토부)
3-3. 고도 물처리 산업
3-4. LED응용 : 주관(지경부)
3-5. 그린 수송 시스템
3-6. 첨단그린도시
4. 신성장동력 기술전략 지도
4-1. 추진배경과 경과
1) 추진배경
2) 추진경위
4-2. 기본방향
1) (수요 중심) 스타브랜드 선정
2) (기술트리 단계) 스타브랜드-전략품목-핵심기술의 3단계
3) (비즈니스 모델 연계) 시장친화적 기술전략 제시
4) (거버넌스) 기술의 라이프사이클 및 민·관의 역할분담을 제시하여 조기에 성장 동력화 추진
4-3. 기술전략지도 수립결과
4-4. 녹색기술산업별 스타브랜드 현황
1) 신재생에너지
2) 탄소저감에너지
3) 고도물처리산업
4) LED 응용
5) 그린수송시스템
6) 첨단그린도시
2 장. 신재생에너지
1. 신재생에너지 분야 종합
1-1. 세계시장 동향
1-2. 국내시장 동향
1-3. 성장동력화 가능성
1-4. 신성장동력 목표(‘13,~’18 기준)
1) 비전
2) 부문별 목표
3) 민관 역할분담
1-5. 신재생에너지 분야 추진과제 목록
2. 신재생에너지 세부 분야별 과제 동향
2-1. 태양전지
1) 추진전략
2) 발전로드맵
3) 핵심 장애요인
4) 세부과제별 추진 계획
2-2. 연료전지
1) 추진전략
2) 발전로드맵
3) 핵심 장애요인
4) 세부과제별 계획
2-3. 해양바이오연료(에너지)
1) 추진전략
2) 발전로드맵
3) 핵심 장애요인
4) 세부과제별 계획
2-4. 해양에너지
1) 추진전략
2) 발전로드맵
3) 핵심 장애요인
4) 세부과제별 계획
2-5. 청정석탄에너지
1) 추진전략
2) 발전로드맵
3) 핵심 장애요인
4) 세부과제별 계획
2-6. 폐기물, 바이오매스
1) 추진전략
2) 발전로드맵
3) 핵심 장애요인
4) 세부과제별 계획
2-7. 신재생에너지 시장창출 및 인프라 조성
1)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보전을 위한 발전차액 지원
2) 그린홈 보급 사업 추진
3)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할당제(RPS) 도입
4) 신재생에너지 성장동력화를 위한 인력양성 추진
3 장. 탄소저감 에너지
1. 탄소저감 에너지 분야 종합
1-1. 세계시장 동향
1-2. 국내시장 동향
1-3. 핵심 장애요인
1-4. 신성장동력 목표
1) 비 전 : 2018년 저탄소 그린산업 세계 5대 강국 실현
2) 목표
3) 민관 역할분담
1-5. 추진전략 및 로드맵
1) 추진전략
2) 발전 로드맵
1-6. 추진과제 목록
2. 탄소저감에너지 세부 분야별 과제 동향
2-1. 세부과제별 추진계획
1) 이산화탄소 처리기술 국산화
2) 원전플랜트 수출 추진
4 장. 고도 물처리 산업
1. 고도 물처리 산업 분야 개요
1-1. 세계시장 동향
1-2. 국내시장 동향
1-3. 핵심 장애요인
1-4. 신성장동력 목표(‘13, ’18 기준)
1-5. 민관 역할분담
1-6. 추진전략 및 로드맵
1-7. 추진과제 목록
2. 고도 물처리 산업 세부분야별 과제 동향
2-1. 세부과제별 추진계획
1) 상수 관리 최적화 및 선진화
2) 하? 폐수처리수 재이용 확대
3) 해수 이용 기술 고도화
4) 수자원 관리?복원 기술 개발
5) 물산업 전문 인력 양성
5 장. LED응용 산업
1. LED응용 산업 분야 종합
1-1. 세계시장 동향
1-2.국내 시장 동향
1-3. 핵심 장애요인
1-4. 신성장 동력 목표
1) 비전 : 2012년 세계 TOP3의 LED산업 강국 실현
2) 민관 역할분담
1-5. 로드맵 및 추진전략
1) 발전 로드맵
2) 추진전략
1-6. 추진과제 목록
2. LED응용 세부 분야별 과제 동향
2-1. 세부과제별 추진계획
1) LED 응용분야 시장수요 창출
2) LED 핵심역량 제고
3) LED성장기반 구축
6 장. 그린수송시스템
1. 그린 수송시스템 상업 분야 종합
1-1. 국내외 시장 동향
1-2. 핵심 장애요인
1-3. 신성장동력 목표
1) 목표
2) 민관 역할분담
1-4. 추진전략 및 로드맵
1) 그린카
2) 선박?해양시스템
3) 첨단철도
1-5. 추진과제 목록
2. 그린 수송시스템 세부 분야별 과제 동향
2-1. 세부과제별 추진계획
1) 그린카 핵심기술 조기 확보
2) 그린카 수출 경쟁력 강화
3) WISE-SHIP 핵심기술 조기 확보
4) WISE-SHIP 수출경쟁력 강화
5) 첨단철도 핵심기술 조기 확보
7 장. 첨단 그린도시
1. 첨단그린도시의 개념
1-1. 산업여건 및 구조
1) U-City
2) ITS(지능형교통체계)
3) GIS(공간정보)
4) 저에너지 친환경주택
1-2. 신성장동력 목표(~‘13, ~’18 기준)
1) 비전 :첨단그린도시로 글로벌 도시경쟁력 확보 및 세계시장 선도
2) 부문별 전략 목표
1-3. 추진전략 및 로드맵
1-4. 민관 역할분담
1-5. 추진과제 목록
2. 첨단그린도시 세부 분야별 과제 동향
2-1. 세부과제별 추진계획
1) 한국형 U-City 모델 창출
2) ITS인프라 조기 구축 및 수출기반 강화
3) 공간정보 기술의 국제 시장점유율 확대
4) 저에너지 친환경주택 보급 활성화
5) 브랜드화를 통한 해외 수출
8장. 신성장동력분야 중소기업 지원방안
1. 신성장동력분야 중소기업현황
1-1. 신성장동력분야 중소기업 현황과 실태
1-2. 중소기업 지원의 당위성
2. 신성장동력분야 중소기업 지원전략
2-1.중소기업 유망분야 발굴 및 전략적 R&D 지원
2-2. R&D 투자와 사업화 연계지원 강화
2-3. 신성장 분야의 중소기업 창업촉진
3. 세부추진과제
4. 중소기업 지원 분야별 과제 동향
4-1. 세부과제별 추진계획
1) 신성장동력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2) R&D 투자와 사업화 연계를 통한 상업화 촉진
3) 신성장분야 중소기업의 창업 인프라 조성
5. 신성장동력 기술로드맵 중 중소기업 참여 가능분야
6. 17개 분야 중소기업 진입전망
9장. 기 타
1. 녹색기술 신성장동력화 및 녹색기술을 활용한 저탄소화 실천전략
2. 중점 녹색기술 개발과 상용화 전략(안)- 전문
3. 2009년 녹색기술 연구개발 시행계획(안)
4. 녹색기술 표준화 전략 (2009. 5. 13)
신 성장동력산업 핵심전략Ⅱ-첨단융합산업편-
1 장. 첨단융합산업 개요
1. 추진배경
2. 첨단융합산업 비전 및 전략
2-1. 비전
2-2. 추진전략
3. 첨단융합산업 실행계획
3-1. 방송통신융합산업 : 주관 (방통위·지경부)
1) 개념 및 현황
2) 장애요인
3) 추진전략
3-2. IT융합시스템 : 주관 (지경부)
1) 개념 및 현황
2) 장애요인
3) 추진전략
3-3. 로봇 응용 : 주관(지경부), 협조(교과부)
1) 개념 및 현황
2) 장애요인
3) 추진전략
3-4. 신소재·나노융합 : 주관(지경부·교과부)
1) 개념 및 현황
2) 장애요인
3) 추진전략
3-5.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 주관(복지부·지경부·교과부),
협조(농진청)
1) 개념 및 현황
2) 장애요인
3) 추진전략
3-6. 고부가 식품산업 : 주관(농식품부), 협조(농진청)
1) 개념 및 현황
2) 장애요인
3) 추진전략
4. 신성장동력 기술전략 지도
4-1. 추진배경과 경과
1) 추진배경
2) 추진경위
4-2. 기본방향
1) (수요 중심) 스타브랜드 선정
2) (기술트리 단계) 스타브랜드-전략품목-핵심기술의 3단계
3) (비즈니스 모델 연계) 시장친화적 기술전략 제시
4) (거버넌스) 기술의 라이프사이클 및 민·관의 역할분담을
제시하여 조기에 성장동력화 추진
4-3. 기술전략지도 수립결과
4-4. 첨단융합산업별 스타브랜드 현황
1) 방송통신융합산업
2) IT융합시스템
3) 로봇응용
4) 신소재 ? 나노융합
5)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6) 고부가 식품산업
2 장. 방송통신융합산업
1. 방송통신융합산업 분야 종합
1-1. 세계시장 동향
1-2. 국내시장 동향
1-3. 핵심 장애요인
1-4. 신성장 동력 목표
1) 비전 : 「방송통신융합산업」의 「Global Leader」위상 확보
2) 부문별 목표
1-5. 민관 역할분담
1-6. 추진전략 및 로드맵
1) 추진전략
2) 발전 로드맵
1-7. 추진과제 목록
3 장. IT융합시스템
1. IT융합시스템 분야 종합
1-1. 세계시장 동향
1-2. 국내시장 동향
1-3. 핵심 장애요인
1-4. 신성장 동력 목표
1-5. 민관 역할분담
1-6. 추진전략 및 로드맵
1-7. 추진과제 목록
4 장. 로봇응용
1. 로봇응용 분야 종합
1-1. 세계시장 동향
1-2. 국내시장 동향
1-3. 핵심 장애요인
1-4. 신성장동력 목표(‘13, ’18 기준)
1-5. 민관 역할분담
1-6. 추진전략 및 로드맵
1-7. 추진과제 목록
5 장. 신소재 ? 나노융합
1. 신소재 ? 나노융합 분야 종합
1-1. 세계시장 동향
1-2. 국내시장 동향
1-3. 핵심 장애요인
1-4. 신성장동력 목표
1-5. 민관 역할분담
1-6. 추진전략 및 로드맵
6 장. 바이오제약(자원) ? 의료기기
1. 바이오제약(자원) ? 의료기기 분야 종합
1-1. 시장동향
1-2. 핵심 장애요인
1-3. 신성장동력 목표(‘13, ’18 기준)
1-4. 민관 역할분담
1-5. 추진전략 및 로드맵
1-6. 추진과제 목록
7 장. 고부가 식품산업
1. 고부가 식품산업 분야 종합
1-1. 시장동향
1-2. 핵심 장애요인
1-3. 신성장동력 목표
1) 비 전 :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세계일류 식품산업
2) 부문별 목표
1-4. 민관 역할분담
1-5. 추진전략 및 로드맵
1-6. 추진과제 목록
8 장. 기 타
1. 국가융합기술 발전 시행계획, 2009년도 중점추진
과제별 세부내용
1-1. 원천융합기술의 조기 확보
1-2. 융합 신산업 발굴 및 지원 강화
1-3. 융합기술 기반 산업 고도화
1-4. 개방형 공동연구 강화
2.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 2009년도 시행계획
2-1. 개요
1) 참여기관/ 사업
2) '09년도 시행계획 주요 특징
3) ‘09년도 투자계획
2-2.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
2009년도 시행계획(안)-요약
1) 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주요일정 및 과제내용
3. IT융합기술 사업화 지원을 위한
“u-생활지원 기술”
4. 국내 IT산업 기술경쟁력
4-1. IT기술 경쟁력 조사결과
4-2. IT 미래유망기술 조사결과
신 성장동력산업 핵심전략Ⅲ-고 부가서비스산업편-
1 장. 고부가 서비스산업 개요
1. 신성장산업과 고부가 서비스 산업 추진배경
1-1. 추진배경 및 경과
1) 추진배경
2) 추진경과
1-2. 비전 및 전략
1) 비전
2) 추진전략
1-3. 동력별 세부추진계획
1) 글로벌 헬스케어
2) 글로벌 교육서비스
3) 녹색금융
4) 콘텐츠·SW
5) MICE · 융합관광
2 장. 글로벌 헬스케어
1. 글로벌 헬스케어 분야 종합
1-1. 시장 동향
1-2. 핵심장애요인 : ‘3A’ bottleneck
1) 해외인지도(Awareness) 부족
2) 외국인환자 접근성(Accessibility?Affinity) 제약
3) 외국인 환자에 대한 책임성(Accountability) 개념 미흡
4) u-Health 활성화 기반 미약
1-3. 신성장동력 목표
1-4. 민관 역할분담
1) 정부 역할
2) 민간 역할
1-5. 추진전략
1) 병원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정비
2) 외국인환자 인지도·접근성 제고와 사후관리 강화
3) 의료분야 R&D 확충
4) u-Health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법령개정 및 표준확립
1-6. 추진과제 목록
3 장. 글로벌 교육서비스
1. 글로벌 교육서비스 분야 종합
1-1. 시장 동향
1-2. 교육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및 성장성
1-3. 핵심 장애요인
1) 해외교육기관 및 유학생 유치여건 미흡
2) U-러닝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및 기술개발 부족
3) 교육과정·정보화·인력에 대한 체계적 해외진출 미비
1-4. 신성장동력 목표
1) 비전
1-5. 민·관 역할분담
1) 정부 역할
2) 민간 역할
1-6. 추진전략
1) 우수 외국교육기관 및 유학생 유치
2) U-러닝 기반조성 및 해외진출 지원
3) 교육과정·정보화·인력 해외진출 확대
1-7. 추진과제 목록
4 장. 녹색금융
1. 녹색금융 분야 종합
1-1. 시장동향
1) 탄소금융(배출권시장)
2) 녹색산업 금융지원
1-2. 녹색금융분야 경쟁력 및 성장성
1) 탄소금융(배출권시장)
2) 녹색산업 금융지원
1-3. 핵심장애요인
1) 탄소금융(배출권시장 활성화)
2) 녹색산업 금융지원
1-4. 신성장동력 목표
1) 비전
1-5. 민 ? 관 역할분담
1) 정부 역할
2) 민간 역할
1-6. 추진전략
1) 배출권 거래시장의 조기 개설을 통한 녹색금융시장 육성
2) 녹색기술?녹색산업 지원을 위한 녹색금융
1-7. 추진과제 목록
5 장. 콘텐츠 ? SW
1. 콘텐츠 ? SW 분야 종합
1-1. 시장 동향
1) 콘텐츠
2) 소프트웨어
1-2. 콘텐츠·SW산업의 경쟁력 및 성장성
1) 콘텐츠
2) 소프트웨어
1-3. 핵심 장애요인
1) 콘텐츠
2) 소프트웨어
1-4. 신성장동력 목표
1) 콘텐츠
2) 소프트웨어
1-5. 민·관 역할분담
1) 정부역할
2) 민간역할
1-6. 추진전략
1) 콘텐츠
2) 소프트웨어
1-7. 추진과제 목록
6 장. MICE ? 관광
1. MICE ? 관광 분야 종합
1-1. 시장동향
1-2. MICE?관광산업 경쟁력 및 성장성
1-3. 핵심 장애요인
1) 국가차원의 중장기 비전 제시 및 체계적 지원체계 부족
2) MICE시설과 여타 편의·관광시설 간 연계성 미흡
3) 우리나라 대표아이템 부족
4) 고유한 생태, 예술자원에 대한 관광 상품화 미흡
1-4. 신성장 동력 목표
1) MICE
2) 관광
1-5. 민관 역할분담
1) 정부 역할
2) 민간 역할
1-6. 추진전략
1-7. 추진과제 목록
7 장. 기타
1.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 추진
1-1. 개요
1-2.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 추진계획 요약
2) 추진현황
3) 향후 추진계획
1-3. 교과부 추경 집행계획
1-4. 지경부 수요발굴 결과(예시)
1-5. 개별 기술개발 아이템(지경부 과제 예시)
1) 무공해 석탄에너지
2) 시스템 반도체(SoC)
3) 바이오-시밀러 세계시장 진출
4) 조류력 발전플랜트 상용화
5) LED 칩 및 응용기술 개발
6) 스마트 그린카
7) 방송장비 및 RFID
8) 지능형 감시로봇 시스템
1-6.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 사업 공고를 거쳐 본격 착수
1) 주요 내용
2. 문화기술(CT) R&D 기본계획(안)
2-1. 수립배경 및 목적
1) 수립배경
2) 목적
2-2. 환경분석 및 전망
1) 국내외 콘텐츠 산업 동향
2) 국내외 기술동향
3) SWOT 분석
2-3. 비전 및 목표
1) 비전 및 목표
2) 추진 전략
3) 6대 핵심전략분야 및 18대 전략제품군 도출
2-4. 핵심분야별 기술개발 계획
1) 게임
2) 영상, 뉴미디어
3) 가상현실
4) 창작, 공연, 전시
5) 융, 복합
6) 공공 문화 서비스
2-5. CT R&D 추진체계 정비 및 투자계획(안)
1) 추진체계 정비 및 역할 분담 (안)
2) CT R&D의 지속적 투자확대
2-6. 기대효과
1) 경제적 기대효과
2) 기술적 기대효과
3) 사회?문화적 기대효과
2-7. 문화기술(CT) R&D 기본계획 종합 로드맵(TRM)
2-8. 18대 전략제품 도출 과정
3. 성장기반 확충을 위한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요약, 2009.5)
3-1. 추진배경
3-2. 서비스 산업 현황과 문제점
1) 현황
2) 문제점
3-3. 비전과 정책방향
3-4. 추진방식
1) 민간과 정부가 함께 추진
2) 제도 개선에 중점을 두어 추진
3) 적극적인 홍보 추진
3-5. 분야별 선진화 방안
1) 차별개선
2) 교육
3) 콘텐츠
4) IT서비스
5) 디자인
6) 컨설팅53
7) 의료
8) 고용지원
9) 물류
10) 방송통신
3-6. 향후계획
3-7. 2009년 서비스산업 선진화 Roadmap
3-8.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단계별 개요
4. 국가융합기술 발전 시행계획, 2009년도 중점추진
과제별 세부내용
4-1. 미래콘텐츠 기술개발 : 문화체육관광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4-2. 디지털콘텐츠 원천기술개발 : 문화체육관광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4-3. 스포츠과학기술개발 : 문화체육관광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4-4. CT경쟁력강화 : 문화체육관광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4-5. 콘텐츠창작기반기술개발 : 문화체육관광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4-6. 유헬스/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 보건복지가족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4-7. CT기반조성 : 문화체육관광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4-8. SW/컴퓨팅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 지식경제부
1) 사업개요
2) 2009년도 추진계획
3)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5. IT/SW뉴딜 사업(IT/SW 추경사업)
5-1. 추진방안 수립 배경
5-2. 추진방안 필요성
5-3. 추진방안 개요
5-4. 주요내용(국회통과전자료)
1) 신규시장 및 일자리 창출
2) 신성장동력 지원을 위한 기술개발
3) 사회적 IT인프라 구축
5-5. 향후계획
5-6. IT?SW 뉴딜 관련 부처별 추경사업 현황
6. 서비스산업, IT기술과의 융합사례
6-1. 8개「서비스 IT솔루션」개발성과 발표회 개최
20억원 지원
1) 8개 서비스 IT솔루션 개요
2) 2009년 IT활용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사업 시행공고
7. 국책연구기관, ‘R&D 속도전’
7-1. 개요
7-2. 산업기술 출연연, R&D 속도전 추진 전략 총괄(요약)
7-3. R&D 속도전, 88개 핵심 프로젝트 추진현황
7-4. R&D 속도전 기관별 세부 추진과제
7-5. R&D 속도전 관련주요 연구실 및 주요성과
1) 프리팅 공정/자연모사 연구실(기계연구원, 김동수박사)
2) 신뢰성 평가 센터(기계연구원, 김형의박사)
8. 방송통신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
8-1. 개요
1) 콘텐츠 시장구조 개선을 위한 경쟁 활성화
2) 플랫폼 사업자와 콘텐츠 제작자간 불공정 거래 행위 개선
3) 콘텐츠 역량 강화 기반 조성
8-2. 방송통신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대책 주요 추진과제
8-3. 방송통신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대책 요약
1) 추진배경
2) 현황 및 문제점
4) 방송통신콘텐츠 산업 SWOT 분석
5) 비전과 전략
6) 주요 추진과제
7) 기대효과
8) 주요과제 추진일정 및 소요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