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21세기 지구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첨단환경과학기술과 신성장동력산업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2010
형태사항
2책. : 삽도 ; 27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203817대출가능-
자료실E20381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20381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2038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권호명 : 1 제1편 지구와 자연 = 17 제1장 단 하나뿐인 지구 = 18 제1절 지구 = 18 제2절 생명 = 27 제3절 자연과 생태계 = 73 제4절 자연의 이용 = 118 제5절 자연 파괴 = 129 제6절 생태계 파괴 = 175 제7절 자연과 인간의 단상 = 178 제2장 한국의 자연과 생태환경 변화 = 199 1. 서론 = 199 2. 한반도 생태계의 특징 = 200 3. 한반도 문화의 밑거름 = 202 4. 산자수명한 하천 = 214 5. 생물의 낙원 - 하구 = 216 제2편 환경문제 서설 = 218 제1장 환경과 환경문제의 대두 = 220 제1절 환경의 정의(定議) = 222 제2절 환경문제의 대두 = 228 제2장 우리나라의 환경문제 = 240 1. 자연파괴의 역사 = 240 2. 한국적 환경오염 원인 = 245 3. 미래는 지속될 것인가? = 253 제3편 환경과 지구 = 256 제1장 대기 문제 = 258 제1절 대기 오염 = 258 제2장 물 문제 = 299 제1절 물의 모든 것 = 299 제2절 강과 호수 오염문제 = 373 제3절 지하수 오염문제 = 399 제4절 바다 오염문제 = 404 제3장 토양 문제 = 450 1. 좁아지고 있는 땅, 유실되고 있는 토지 = 450 2. 생명의 토양 = 452 3. 침식, 토양 파괴 = 452 4. 토양오염 = 454 제4장 폐기물 문제 = 456 제1절 일반 및 산업폐기물 오염 = 456 제2절 잘못된 음식물쓰레기 정책과 문제점 = 462 제3절 병원 폐기물 문제 = 478 제5장 환경 호르몬 문제 = 487 제1절 환경 호르몬 발생원인과 대책 = 487 제2절 본격화 되는 환경호르몬 문제에 대한 일본의 대응 = 496 제3절 정화조 및 분뇨처리장 환경호르몬 물질의 영향평가 = 510 제4절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한 각국의 대응 = 524 제4편 환경과 기후 = 539 제1장 기후변화 문제 = 543 1. 기상이변(氣象異變) = 543 2. 늘어가는 기상재패 = 556 제2장 지구 온난화 = 571 1. 지구 온난화에 대한 사유(思惟) = 576 2. 온실효과의 메커니즘 = 594 3. 온실효과 가스의 증가 = 604 4. 지구는 얼마나 더 온난화될 것인가? = 605 5. 지구 온난화에 의한 피해 = 608 6. 지구온난화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 = 623 7. 지구 온난화 대책 = 633 제5편 환경과 에너지 = 642 제1장 에너지 서설 = 642 제1절 자원으로서의 에너지 = 642 제2절 에너지 자원의 종류와 특징 = 652 제2장 미래의 희망 청정(淸淨) 에너지 = 711 제1절 재생(再生)가능 에너지 = 711 제6편 원자력 발전의 재검토 = 761 제1장 원자력(原子力) 에너지 = 762 제2장 원자력 재평가는 시작되는가? = 764 1. 제3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안)에서의 원자력 발전 논란 = 769 제3장 기후변화 방지대책으로서의 원자력 대안 평가 = 785 1. 진행형인 원자력 추가 건설 논란 = 785 2.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위협 = 789 3. 기후변화 방지대책으로서의 원자력 발전 = 795 제4장 원자력 반대 주장을 점검한다 = 803 1. 녹색성장과 원자력 발전의 딜레마 = 803 2.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환경단체들의 우려 = 810 3. 원자력의 기후변화 예방 대안 = 822 제5장 신재생에너지와 경쟁 가능한 대안으로서의 원자력 = 824 1.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나친 기대 = 824 2. 환경단체와 정부의 공조(?) = 830 3. 선진국들의 재생에너지 개발 경험에서 배운다 = 833 4.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가능성 재검토 = 839 제6장 원자력 발전 대안 = 848 1.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의 미래, 그 희망과 도전 = 853 2. 원자력 발전의 재검토 = 860 제7편 환경과 산업ㆍ기업ㆍ경영 = 865 제1장 환경과 경제 = 866 1. 일반적 고찰 = 866 2. 경제정책과 환경정책의 관계 = 869 제2장 기업의 환경보전 경영 = 875 제1절 지속 가능한 개발과 기업의 환경경영 = 875 제2절 선진기업의 환경친화적 경영사례 = 890 제3절 환경경영도입에 따른 실천전략 및 극복과제 = 917 권호명: 2 제1편 환경과 건설 = 11 제1장 환경친화적 국토 관리 = 12 제1절 녹색성장 시대의 국토관리 = 12 제2절 녹색성장 시대의 국토이용을 위한 ESSD 이념(理念) = 19 제3절 지속가능한 발전과 정책수단 = 92 제4절 건강, 생태위험성 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접목 = 141 제2장 건설과 건축 = 181 제1절 지속가능한 건축, 건물 = 181 제2절 건축물의 환경성능 평가와 에너지 환경부하 = 270 제2편 환경과 정책 = 295 제1장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 296 제1절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방향 = 296 제2절 정부의 저탄소 녹색정책을 위한 자원순환정책 추진방향 = 308 제3절 입법 예고된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 = 319 제4절 저탄소 녹색성장과 2009년도 예산 및 법률 제ㆍ개정안 = 337 제2장 저탄소 사회를 위한 기술개발 = 343 제1절 저탄소 사회, 기술개발이 관건 = 343 제2절 저탄소 녹색사회와 배출권시장 전망 = 353 제3절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인력 수급 = 363 제3장 저탄소 사회를 위한 해외 사례 = 367 제1절 저탄소 녹색사회의 구축과 선진국의 장기적 계획 = 367 제4장 녹색 선진국을 위한 좌표 = 377 1. 출발한 시작 = 377 2. 녹색성장으로 향한 길 = 381 3. 녹색성장과 환경부의 과제 = 389 제5장 녹색성장엔 지혜롭고, 과감한 절약이 필요 = 407 1. 세계는 녹색경주(Green Race) 시대 = 407 2. 녹색성장 시대의 폐기물 대책 = 413 제6장 환경정책과 경제정책 = 417 1. 일반적 고찰 = 417 2. 환경정책과 경제정책의 관계 = 420 3. 환경개선의 방법 = 426 4. 결론 = 431 제7장 산업기술과 국가정책 = 433 1. 기술에 대한 태도 = 433 2. 환경정책의 기술적 국면 = 438 3. 기술전문인의 역할 = 443 제8장 환경정책과 주민참여 = 455 1. 일반적 고찰 = 455 2. 산업과 사적 이익집단 = 457 3. 주민과 공공 이익집단 = 460 4. 주민참여의 문제 = 462 5. 결론 = 467 제9장 정부의 환경서비스 = 469 1. 일반적 고찰 = 469 2. 공공지출과 편익 - 비용분석 = 471 3. 편익 - 비용분석의 문제 = 474 4. 정부환경행위 개선 = 481 제10장 정부의 환경정보의 수집과 활용 = 496 1. 서론 = 496 2. 환경관리의 분야 = 496 3. 환경정보의 수집 = 506 4. 정보의 효율적 활용 = 511 5. 결론 = 515 제11장 환경분석과 평가방법 = 517 1. 비용 - 편익분석과 위험 - 편익분석 = 517 2. 위험 - 편익분석 = 532 3. 독성물질 = 541 4. 기술평가 = 553 5. 가치와 평가 = 563 제3편 환경과 교육 = 572 제1장 환경교육 서설(序說) = 574 1. 환경교육의 의미 = 574 2. 환경교육의 목표 = 575 3. 환경교육의 내용 = 577 4. 환경교육 방법 = 579 제2장 학교 환경교육을 토한 환경보전 방안 = 582 1. 서론 = 582 2. 환경보전 문제의 교육적 해결에 대한 당위성 = 583 제3장 학교 환경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586 1. 선택 과목으로의 환경 교과의 실태 및 개선 방안 = 587 2. 환경 교사의 자질과 수급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588 3. 환경교육 매체,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문제 및 개선방안 = 589 4.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문제 및 개선 방안 = 590 5. 학교 환경의 실태 및 환경교육장의 문제 = 592 6. 결론 = 593 제4장 환경교육의 실태와 대책 = 595 1. 서론 = 595 2. 한국의 환경교육 동향 = 597 3. 학교 구성원의 환경의식 = 598 4. 중등학교 환경교육 실태 = 603 5. 환경교육의 발전방안 = 605 6. 결론 = 609 제5장 생태 중심적 환경교육을 위한 교과간 통합적 접근 = 611 1. 서론 = 612 2. 생태 친화적 환경교육에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 616 3.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 영역을 활용한 통합 교육과정 모색 = 625 4.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에 적합한 생태 친화적 환경교육의 통합적 접근 = 632 5. 결론 = 640 제6장 환경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 643 제4편 환경과 기술 = 653 제1장 대기대책 기술 = 654 제1절 서울의 대기질 개선방안 = 654 제2절 광화학 옥시던트 주의보의 증가대책 = 670 제3절 최근의 황사현황과 그 대책 = 676 제4절 실내 공기오염 대책 = 682 제2장 수질대책 기술 = 756 제1절 수질보전 정책 = 757 제2절 수도수질 대책 = 800 제3절 하수처리 대책 = 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