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열자론

저자
신동준
발행사항
고양 : 인간사랑, 2009
형태사항
379 p. ; 23 cm
키워드
열자론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06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06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노자는 ‘지치’를 ‘무위지치’를 통해 실현시키고자 했을 뿐 결코 ‘무치’를 주장한 적이 없음에도 ‘무위지치’를 장자의 ‘귀무론’에 입각해 ‘무치(無治)’로 해석하는 잘못이 지속되고 있다. 노자와 장자를 하나로 묶은 ‘노장학’의 관점에서 도가사상을 바라보는 한 이런 왜곡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는 성리학이 공자사상을 맹자사상의 부속물로 전락시킨 것에 비유할 만하다.
노자에 대한 이런 왜곡은 열자에 대한 해석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열자를 숙명론자 내지 향락주의자로 간주해 양주와 동일한 인물로 치부하거나 ‘허’와 ‘무’의 차이를 간과한 채 장자에 가까운 인물로 평가하는 것 등이 그 실례이다. 최근 서구에서 일고 있는 노자를 비롯한 도가사상가에 대한 탐구열을 감안할 때 열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21세기 동북아시대를 주도적으로 열어나가기 위해서라도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서는 지난 1986년에 중화서국에서 펴낸 『제자집성』에 실려 있는 장잠(張湛) 주석의 『열자주(列子注)』를 저본으로 삼았다. 현대적인 주석과 관련해서는 지난 1979년에 중화서국에서 펴낸 양보쥔(楊伯峻)의 『열자집석(列子集釋)』을 기본서로 삼았다. 그밖에도 왕창모(王强模)의 『열자전석(列子全釋)』(귀주인민출판사, 1990)과 옌베이밍(嚴北溟) 등의 『열자역주(列子譯注)』(상해고적출판사, 1989) 등을 두루 참고했다.
독자들은 본서를 통해 열자는 말할 것도 없고 노자와 장자를 완전히 새롭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서는 열자사상을 통치사상의 차원에서 분석한 최초의 저서에 해당한다. 사실 이것이 노자사상 및 열자사상의 본령이자 『열자』의 실체이기도 하다. 본서가 도가사상에 대한 전면적인 재해석의 계기로 작용키를 기대해 본다.
목차

들어가는 글

제1부 인물론
제1편 생장론(生長論)
제2편 사상론(思想論)
제1장 귀허주의(貴虛主義)
제2장 낙생주의(樂生主義)
제3장 자운주의(自運主義)
제4장 우언주의(寓言主義)

제2부 주석론
제1편 편제론(編制論)
제2편 주석론(註釋論)
제1장 천서(天瑞)
제2장 황제(黃帝)
제3장 주목왕(周穆王)
제4장 중니(仲尼)
제5장 탕문(湯問)
제6장 역명(力命)
제7장 양주(楊朱)
제8장 설부(說符)

참고문헌
역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