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4199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20419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환경학자 James Lovelok이 주장한 Gaia가설, 즉 지구가 하나의 유기체라는 것은 지나친 감이 있을지 모르지만 지금 지구는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 열병을 앓고 있다. 극심한 열파, 열대성 폭풍우, 홍수, 화재, 지진, 쓰나미 거대한 빙하의 해빙, 생물종의 멸종 등 지구의 기후가 우리 주위에서 무너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와 같은 자연의 공격을 예측해왔다.
만일 인류가 계속해서 온실가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면 태양 에너지가 지구에 갇혀 지구의 기온을 상승시킬 것이라고 경한 사태와 정확히 일치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최악의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응이 빨라지고 있다. 리우정상회의, 교토 의정서, 코펜하겐 기후 정상회의 등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많은 대응책을 내놓고 협의 중이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결론에 도달하지는 못하였다. 저자 니노미야 고조박사는 그의 지구과학에 관한 해박한 지식으로 지구의 지질학적 역사,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생물계와 지구환경, 오존층 파괴, 기후와 기후변동 등 다양한 주제를 일관되게 정리하여 본서를 집필하였다. 지구과학에 관한 지식이 없어도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기술하였으며 칼럼에 나타나는 수학공식도 고등학교 정도의 학력이면 충분히 이해 할 수 있게 기술하였다.
역자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문용어에 대한 해설을 추가하였으며 기상도를 이해할 수 있게 기상도에 나타나는 기호 해석도 추가하였다.
이 책 후반에 있는 에너지 절약과 자원 재활용에 관한 일본의 실제적 대응책과 실행절차는 우리가 모두 배울 필요가 있다.
지구환경에 대해 경외심을 갖고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지구환경 보전에 모든 사람이 노력하기 바란다. 이 책은 환경, 기상, 에너지 분야뿐만 아니고 정책 입안자, 고교 상급생, 대학생, 기업인, 지자체단체장, 일반시민 모두에게 유용하며 필독을 권한다.
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기후변화(Climate Change)라고 표현하지만 원저자는 기후변화의 역동성을 강조하기 위해 기후변동을 사용하여 역자도 본서 내용에서는 저자의 뜻을 따랐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목차
제1장 지구환경과 지구시스템
1.1 지구환경이 의미하는 것
1.2 지구시스템이란 무엇인가
1.3 지구시스템의 안정성과 인류
1.4 지구환경 문제의 이해
제2장 지구환경의 성립
2.1 우주관의 변천
2.2 태양계의 행성으로서의 지구
2.3 지구와 지구환경의 역사
2.4 고체지구의 변동
제3장 대기와 물순환
3.1 지구시스템에서의 대기
3.2 대기의 조성과 연직구조
3.3 열에너지 균형과 지구대기 온도
3.4 대기의 흐름
3.5 대기 흐름의 교란
3.6 지구의 수물질
3.7 물순환과 수물질의 영향
제4장 해양과 해수
4.1 바다와 대양
4.2 바다와 물의 성질
4.3 해수의 성분
4.4 해수의 온도분포와 그 변화
4.5 해류의 메커니즘
4.6 조류는 밀물과 썰물에 의한 해류
4.7 해양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생산과 물질순환
제5장 생물계와 지구환경
5.1 생물계의 읨
5.2 생물의 다양성
5.3 가이아 가설
5.4 생물종의 멸종과 종의 보존
5.5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국제조약
5.6 외래생물의 규제
제6장 기후와 기후변동
6.1 기후란 무엇인가
6.2 기후구분과 식생
6.3 토양의 성질과 분류
6.4 생물권과 기후
6.5 기후변동의 역사
6.6 이상기상의 인식방법
제7장 인류와 지구환경
7.1 인류활동의 급격한 확대
7.2 인류에 의한 생산과 소비
7.3 인류활동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7.4 유해폐기물 문제
7.5 도시의 환경변화
7.6 소음·진동·전자파의 환경문제
제8장 대기오염
8.1 대기오염과 그 시대적 변천
8.2 대기환경 문제와 관계된 제요소
8.3 대기오명의 공간적·시간적 스케일
8.4 광화학 반응과 대기오염
8.5 대기오염과 기상조건
8.6 공해대책에서 환경보전으로
제9장 산성비와 환경문제
9.1 산성비 문제의 발생
9.2 빗물의 산성도
9.3 산성비에 의한 피해
9.4 산성비의 생성과정과 산성물질의 발생원
9.5 국제적인 산성비 대책
제10장 오존층과 오존파괴
10.1 오존과 오존층
10.2 오존의 분포아 계절적 변화
10.3 오존의 생성과 파괴
10.4 오존홀의 모양
10.5 오존홀과 오존파괴
10.6 전지구적인 오존의 감소와 자외선의 증가
10.7 오존층의 보호
제 11장 지구온난화 문제
11.1 기후변동과 지구온난화
11.2 대기의 복사균형과 온실효과
11.3 지구대기 중의 온실효과 가스의 증가
11.4 지구온난화와 그 영향의 예측
11.5 온난화에 대한 세계적인 대응
제12장 해양과 물의 환경문제
12.1 인류와 해양· 물의 환경
12.2 해양을 오염시키는 물질
12.3 해양오염과 생태계
12.4 해양환경 보전의 국제협력
12.5 호소와 하천의 환경
12.6 지하수의 오염과 수도
제13장 사막화와 삼림파괴
13.1 인류의 토지이용
13.2 사막과 사막화의 기후학적 배경
13.3 사막화의 의미
13.4 사막화 방지
13.5 삼림과 지구환경
13.6 열대림의 감소
제14장 재해와 지구환경
14.1 재해의 정의
14.2 자연재화와 인류
14.3 재해의 경감과 방지
제15장 에너지 문제와 지구환경
15.1 에너지의 물리단위
15.2 에너지의 형태와 에너지보존 법칙
15.3 엔트로피 증대의 법칙
15.4 영구기관과 카르노 열기관
15.5 원자력 에너지
15.6 세계와 일본의 에너지 소비
15.7 화석연료의 생산과 자원 잔존량
15.8 원자력 에너지의 현황과 우랴늄 잔존량
15.9 신에너지
15.10 에너지 절약
15.11 화석연료와 지구환경제
16장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대책
16.1 지구환경 보전의 국제적 협력
16.2 지속가능한 생산과 재활용
16.3 사업체· 지자체와 환경보전
16.4 지구환경 보전과 관련된 사회 구성원의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