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010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1000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목차
머리말
제1편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제1장 한국고대사의 특성과 그 전개 과정
Ⅰ. 한국고대사의 범위
Ⅱ. 한국고대사의 특징
Ⅲ. 한강유역을 둘러싼 한국고대사의 전개과정
Ⅳ. 고대 국가 판도의 변화 : 고구려에서 신라로
Ⅴ. 신라 전제왕권의 확립과 말기의 변화
제2장 한국고대사에 있어서 천도의 의미
Ⅰ. 수도의 의미
Ⅱ. 역사상 수도의 기능과 遷都論
Ⅲ. 수도의 천도 과정과 그 보완책
Ⅳ. 천도의 역사적 의미
제3장 한국고대사에 있어서 서울 지역(漢城)의 역사적 위상
Ⅰ. 서울의 자연?인문환경
Ⅱ. 서울의 성격과 문화
제4장 21세기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연구 방향
Ⅰ. 한국 사학의 위기
Ⅱ. 한국고대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Ⅲ.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모색
Ⅳ. 통일 역사학의 모색
Ⅴ. 21세기 한국고대사 연구의 방향과 진로
제5장 중국 東北工程의 실상과 그 비판
Ⅰ. 동북공정의 의미
Ⅱ. 소위 ‘東北工程’의 진상
Ⅲ. 한국측의 입장과 반론
제2편 한국고대사의 심층적 분석
제1장 한국 전통사학의 성격과 변화
Ⅰ. 한국 전통사학의 의미
Ⅱ. 한국 전통사학의 성격
Ⅲ. 한국 전통사학의 한계와 문제점
제2장 『삼국사기』의 재평가
Ⅰ. 『삼국사기』의 분석적 고찰
Ⅱ. 『삼국사기』의 편찬 과정
Ⅲ. 『삼국사기』의 내용
Ⅳ. 『삼국사기』의 성격
제3장 고구려 고분벽화의 역사적 위상
Ⅰ. 고분벽화의 형태와 특징
Ⅱ. 고분벽화의 예술성과 국제성
제4장 백제인이 남긴 해외 유적
Ⅰ. 中國의 百濟鄕, 廣西 壯族 自治區 南寧市 邕寧區를 찾아서
Ⅱ. 日本 九州地方의 백제 유적을 찾아서
제5장 신라 외교 사절의 국제성
Ⅰ. 신라의 외교 사절
Ⅱ. 신라 對唐外交의 성격
Ⅲ. 신라 對唐外交使節(遣唐使)의 활동
Ⅳ. 신라 外交使節의 국제성
Ⅴ. 신라 외교사절의 역사적 위상
제3편 고구려사의 새로운 접근
제1장 천하대국 고구려
Ⅰ. 고구려의 위상
Ⅱ. 대외 관계에서 본 고구려
Ⅲ. 정치?사회?문화적 시각에서 본 고구려
Ⅳ. 고구려의 민족사적 위상
제2장 고구려의 성장과 그 영역
Ⅰ. 고대사에 있어서 領域의 의미
Ⅱ. 고구려의 영토 확장 과정
Ⅲ. 『三國史記』에 나타난 廣開土王의 정복활동
Ⅳ. 好太王陵碑文에 나타난 고구려 영역
Ⅴ. 고구려 전성기의 강역
Ⅵ. 고구려사의 역사적 위상
제3장 고구려 ?京의 형태와 성격
Ⅰ. 부경의 의미
Ⅱ. 부경의 연구 성과
Ⅲ. 부경의 형태
Ⅳ. 부경의 성격
V. 부경의 전통은 九州地方까지
제4장 千里長城의 구체적 분석
Ⅰ. 천리장성의 의미
Ⅱ. 고구려 산성의 형태와 구조
Ⅲ. 천리장성의 축조와 그 구조
Ⅳ. 천리장성의 개별적 검토
V. 천리장성의 역사적 성격
제5장 고구려 유민의 동향
Ⅰ. 연구사적 검토
Ⅱ. 고구려 유민의 구체적 동향
제4편 백제사의 실상
제1장 해양대국 백제사
Ⅰ. 백제사를 보는 시각
Ⅱ. 백제사의 성격
Ⅲ. 고대 왕국 조기 완성과 絶對王權의 확립
Ⅳ. 일본 문화의 개발
제2장 백제 전기의 사회상
Ⅰ. 백제사 연구의 활성화
Ⅱ. 『三國史記』에 나타난 백제전기의 사회상
Ⅲ. 백제 전기 사회의 성격
제3장 백제 후기의 변화상
Ⅰ. 웅진시대 백제의 모습
Ⅱ. 웅진시대 5왕의 치적
Ⅲ. 사비시대의 백제
Ⅳ. 사비시대 6왕의 활동과 성과
제4장 백제사 연구의 성과
Ⅰ. 단행본의 출간
Ⅱ. 백제사 연구의 영역별 검토
제5편 신라사의 재발견
제1장 최초의 통일 국가 신라
Ⅰ. 한국사에서 신라의 위상
Ⅱ. 신라인의 국가의식
Ⅲ. 신라인의 문화적 긍지와 자율정신
Ⅳ. 신라사의 역사적 의미
제2장 신라의 북방 진출과 영토 확장
Ⅰ. 신라의 영토 확장 과정
Ⅱ. 신라의 北漢山碑를 통해 본 한강 하류 일대 경영
Ⅲ. 신라 北漢山州 설치의 의미
Ⅳ. 통일 후의 북방 진출
제3장 삼국통일의 민족사적 의미
Ⅰ. 신라 삼국통일을 보는 민족적 시각
Ⅱ. 민족 동질성의 문제와 통일 의지의 전개
Ⅲ. 신라 삼국통일의 의미와 한계
제4장 통일신라 전제왕권의 형태와 그 특징
Ⅰ. 전제왕권에 대한 제 논의
Ⅱ.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Ⅲ. 중앙통치조직
Ⅳ. 내정 기관의 정비
Ⅴ. 재상제도의 운영
Ⅵ. 통일신라 전제왕권의 특질
제5장 신라의 국제화 과정
Ⅰ. 신라와 西域
Ⅱ. 중국 산동반도의 신라방
제6장 최치원과 단테(Dante)의 대결적 비교 - 단테의 『제국론』을 통해 본-
Ⅰ. 孤雲 崔致遠 연구의 성과
Ⅱ. 단테의 제국론(De Monarchia)에 나타난 정치관
Ⅲ. 단테의 「제국론」을 통해 본 고운의 역사인식
Ⅳ. 최치원의 정치사상
제7장 신라의 부흥운동
Ⅰ. 신라 부흥운동에 대한 고려 지식인의 시각과 부흥운동의 배경
Ⅱ. 고려의 신라부흥운동
Ⅲ. 신라의 광복운동
Ⅳ. 신라 부흥운동의 성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