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The PrecatiatThe New Dangerous Class
프레카리아트: 새로운 위험한 계급
- 저자
- Standing, Guy | 김태호
- 발행사항
- 고양 : 박종철출판사, 2014
- 형태사항
- 414 p. ; 23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385-397)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62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62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신자유주의 시대의 특징과 그로 인해 탄생한 ‘새로운 위험한 계급’을 분석하고, 안정된 삶을 위한 대안으로 기본소득을 제시한 스탠딩의 저서 『프레카리아트. 새로운 위험한 계급』(Precariat. The New Dangerous Class)이 박종철출판사에서 번역되었다.
프레카리아트란 영어 precarious와 proletariat에 해당하는 유럽 여러 언어 두 단어를 합성하여 만든 말이다. 노동조합을 통해 거의 종신에 가까운 고용과 사회보험이 보장되었던 프롤레타리아트와는 달리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자는 여러 면에서 불확실하고 불안정하다는 점이 이런 말을 낳은 것이다.
가이 스탠딩은 프레카리아트가 아직 “형성 중인 계급a-class-in-the-making”이고 “새로운 위험한 계급the new dangerous class”이라고 본다. (1888년에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주의 선언』 영어판을 내며 “룸펜프롤레타리아트”라는 구절을 따옴표로 묶어 “위험한 계급”이라고 바꾼 바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질문에 답하겠다고 한다. 그 집단은 어떤 것인가? 왜 그 집단의 성장에 마음을 써야 하는가? 왜 그 집단은 성장하고 있는가? 누가 그 집단에 진입하고 있는가? 프레카리아트는 우리를 어디로 데려가고 있는가?
제1장이 첫 질문과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라면, 제2장은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며, 제3장과 제4장은 네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마지막 질문에 대한 대답은 제5장과 제6장에 집중되어 있긴 하지만 사실 책 전체에 걸쳐 있다.
저자는 구조조정, 외주, 일시직 등의 새로운 경제 현상이나 주의력결핍증의 확산과 ‘힐링열풍’ 같은 문화 현상이나 극우파의 득세 같은 정치 현상이 모두 신자유주의의 특징이라고 본다.
저자가 제시하는 해법은 모든 사회구성원이 임금노동에서 벗어나 ‘일’과 ‘여가’를 찾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어야 한다는 것이며 그 시작이 기본소득이다.
프레카리아트란 영어 precarious와 proletariat에 해당하는 유럽 여러 언어 두 단어를 합성하여 만든 말이다. 노동조합을 통해 거의 종신에 가까운 고용과 사회보험이 보장되었던 프롤레타리아트와는 달리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자는 여러 면에서 불확실하고 불안정하다는 점이 이런 말을 낳은 것이다.
가이 스탠딩은 프레카리아트가 아직 “형성 중인 계급a-class-in-the-making”이고 “새로운 위험한 계급the new dangerous class”이라고 본다. (1888년에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주의 선언』 영어판을 내며 “룸펜프롤레타리아트”라는 구절을 따옴표로 묶어 “위험한 계급”이라고 바꾼 바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질문에 답하겠다고 한다. 그 집단은 어떤 것인가? 왜 그 집단의 성장에 마음을 써야 하는가? 왜 그 집단은 성장하고 있는가? 누가 그 집단에 진입하고 있는가? 프레카리아트는 우리를 어디로 데려가고 있는가?
제1장이 첫 질문과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라면, 제2장은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며, 제3장과 제4장은 네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마지막 질문에 대한 대답은 제5장과 제6장에 집중되어 있긴 하지만 사실 책 전체에 걸쳐 있다.
저자는 구조조정, 외주, 일시직 등의 새로운 경제 현상이나 주의력결핍증의 확산과 ‘힐링열풍’ 같은 문화 현상이나 극우파의 득세 같은 정치 현상이 모두 신자유주의의 특징이라고 본다.
저자가 제시하는 해법은 모든 사회구성원이 임금노동에서 벗어나 ‘일’과 ‘여가’를 찾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어야 한다는 것이며 그 시작이 기본소득이다.
목차
서문
1. 프레카리아트
2. 프레카리아트가 성장하고 있는 이유
3. 누가 프레카리아트에 진입하는가?
4. 이주자: 희생자, 악한, 아니면 영웅?
5. 노동, 일, 시간 쥐어짜기
6. 지옥 정치
7. 낙원 정치
역자의 말
참고 문헌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