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식민지 근대의 뜨거운 만화경: 『삼천리』와 1930년대 문화정치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형태사항
503p. ; 24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30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30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1930년대 대표적인 종합잡지 <삼천리>를 통해 본
식민지 근대의 대중문화와 욕망의 정치


<삼천리>는 어떤 잡지인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자생활을 거친 언론인이자 문인인 김동환에 의해 창간ㆍ운영된 <삼천리>는 1929년 7월호를 시작으로 식민지 시기의 종합지 중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발간된 잡지의 하나이며, 나름의 권위와 대중성을 함께 지닌 잡지였다. 창간호에서 표방한 삼천리의 편집 방향은 “①훨씬 값이 싼 잡지를 만들자 ②누구든지 볼 수 있고, 또 버릴 것 없는 잡지를 만들자 ③민중에게 이익이 되는 좋은 잡지를 만들자” 였다. 이러한 편집 방향을 내세우고 창간된 <삼천리>의 지면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는 당대의 쟁점이나 국제정세, 사회문제와 관련된 논설과 기사들이고, 둘째는 종합오락지로서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가십적인 기사들, 셋째는 시, 소설, 문예비평 등 문학 분야의 글이다.
1930년대의 상황에서 지하화할 수밖에 없었던 좌익을 제외한 다양한 민족주의 좌우파의 인사들이 ??삼천리??에 글을 썼고, 이로 인해 <삼천리>는 대중적 민족주의의 유력한 진지가 되었다. <삼천리>는 <개벽>과는 다른 방식으로 대중적인 독자를 상대하는 잡지였지만 단순히 통념상의 ‘대중문화’가 중심이 되었던 잡지는 아니다. 대중적인 이데올로기로서 민족주의는 1930년대의 대중문화와 결합했고, 각각 높은 생산력을 지닌 양자는 상승 작용하며 새롭고 다양한 문화적 산물을 산출해냈다.
<삼천리>에는 말 그대로 만화경처럼 다채롭고 풍부한, ‘식민지 근대’의 실경이 가득하게 실려 있다. 식민지 조선의 모든 계층의 삶과 사람들이 실로 살아 움직이며 등장하는 <삼천리>에는 시대의 고민과 우울뿐 아니라 ‘돈과 권력’ 이야기, 자잘하면서도 화려한 대중문화와 연예계의 ‘뒷담화’, 엽기적이고 웃기는 기담ㆍ농담이 실려 있다. '삼천리'는 식민화된 욕망의 정치와 근대적 대중문화가 어떻게 절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금석과 같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은?
이 책은 총 4부 15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는 <삼천리>의 전체적 지향과 미디어로서의 특징에 대한 글을 실었고, 제2부는 <삼천리>에 나타난 식민지 조선의 ‘정치’에 대해 다루었으며, 제3부에는 <삼천리>가 문학사에 끼친 여러 가지 영향을 검토하는 글을 실었으며, 제4부는 1937년 이후 식민지의 정치적 정황과 <삼천리>의 관계를 다루는 글을 모았다. 이를 통해 <삼천리>의 잡지 매체로서의 위치와 그를 둘러싼 정치적ㆍ문화적 맥락뿐 아니라, <삼천리>의 여러 기획과 고정 기사들이 가진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목차

서문

1부 <삼천리>와 근대 잡지의 새로운 시대
천정환, 초기 <삼천리>의 지향과 문화민족주의
이경돈, 삼천리의 ‘세’와 ‘계’
천정환, <삼천리>가 ‘기밀실’을 열었을 때
박용재, <삼천리>의 미디어 이벤트와 ‘재가공’된 조선

2부 국가 부재 시대의 정치와 <삼천리>의 정치 표상
이경돈, <삼천리>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
박숙자, 1930년대 민족주의의 논리와 속물적 내러티브
박숙자, ‘민족’과 ‘젠더’, 그 차이와 균열
손유경, <삼천리>에 나타난 인물 재현의 정치학

3부 1930년대 문학 장의 변동과 '삼천리'
유석환, 경쟁하는 잡지들, 확산되는 근대문학
박숙자, 기억의 제도화, 문학의 정전화
장성규, <삼천리>의 외국문학 수용과 소수자 문학의 기획
손유경, 나혜석의 구미 만유기에 나타난 여성 산책자의 시선과 지리적 상상력

4부 일제 말기 <삼천리>의 지향과 그 굴절
이지원, 전쟁, 친일, 파시즘 정서
김승구, 일제 강점 말기 지원병제와 김동환의 시국 대응
손유경, 일제 말기 위안 문화와 ‘삼천리’ 반도의 일상

논문의 원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