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434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434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999년 동해에서 약간의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있지만 생산가능매장량이 약 500만 톤에 불과하다. 2009년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소비량 2,600만 톤이라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천연가스의 생산국이라고 주장하기에는 매우 초라해 보인다. 그럼에도 현 정부는 녹색성장을 주장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기존 화석연료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과연 신재생에너지만이 해답인가. 이 책을 통해 문제점은 없는지 알아본다. 녹색성장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소외된 석유를 환경문제의 주범이라는 인식에서 해방시키고자 하는데 이해를 돕는다.
목차
제1장 석유.가스 개발에 대한 역사적, 법적 배경의 이해
Ⅰ. 석유.가스 개발에 대한 일반적 이해
1. 기초적 에너지원(Primary Energy Sources)
2. 석유.가스 산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Ⅱ. 석유.가스에 대한 소유권의 귀속
1. 자원주권 개념의 형성
2. 자원소유권의 귀속
Ⅲ. 석유.가스에 대한 법제: 전략과 구조
1. 전략과 구조의 필요성
2. 석유.가스의 개발 정책 수립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
3. 개발권 부여의 대표적 방식
4. 자원보유국이 추구하는 전략
5. 개발회사들이 추구하는 전략
6. 석유.가스 소비국들이 추구하는 전략
Ⅳ. 석유.가스 개발에서의 위험 분석 및 그 대책
1. 석유.가스 개발에서의 위험
2. 국유화 조치와 그 대책
제2장 석유.가스 개발협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