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태학총서 36

조선시대 경상도의 권력 중심 이동: 영남농법과 한국형 지역개발

저자
김성우
발행사항
파주 : 태학사, 2012
형태사항
471 p. : 삽화, 도표, 지도 ; 24 cm
총서사항
태학총서 ; 36
서지주기
참고문헌(p. 449-463)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55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55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조선시대 '영남농법'과 '한국형 지역개발'의 패턴 1. 조선시대 농법 및 지역개발 관련 연구의 추이 2. 중국 '강남농업혁명론'에 관한 새로운 견해 3. 동아시아 삼국의 지역개발 패턴 4. 전근대 한국 지배 엘리트층의 거주지 선택 전략 1) 동아시아 삼국의 지배 엘리트층의 거주 지여게 대한 비교사적 관점 2) 한국 지내 엘리트층의 거주지 선호 관념의 변화 5. 책의 구성 제2장 수전농업의 발달과 경상도의 위상 1. 여말선초 수전농업기술에 관한 제논의 검토 2. 태종 대 수리정책의 성과와 한계 3. 15세기 수전농업의 발달 1) 15세기 전반 수전농업의 발달 추이 2) 15세기 중ㆍ후반 수리시설의 확대와 수전농업의 확산 4. 15~16세기 수전농업의 발달과 경상도의 역할 1) 15세기 중반 저수지 관개의 확대와 수경직파법의 확산 2) 15세기 후반 이후 천방 관개의 실시와 이앙법의 발달 5. 16~17세기 이앙법의 확산과 수전농업 중심체지의 완성 제3장 지역개발 사례 1. 15~17세기 전반 선산의 사례 1) 선산의 지역개발에 주목하는 이유 2) 15세기 선산의 사회경제적 발전 3) 권농정책의 추진과 선산의 지역개발 4) 16-17세기 수전농업의 정체와 선산의 쇠퇴 2.15~20세기 초반 대구의 사례 1) 대구의 읍세 팽창과 지역개발 2) 1925년 대구의 인구 분포 상황 3) 지역 개발의 시대별 추이 4) 농업지대의 재편 제4장 이주와 정착 1. 15~16세기 사족층의 거주지 선택 전략: 선산 사족들의 이주 1) 유교사회로의 전환에 관한 제논의 검토 2) 15세기 지식인들의 고향관 3) 15~16세기 사족층의 거주지 선택 전략 2. 19세기 미간지의 개발과 이주: 선산 백운동의 사례 1) 노상추의 백운동 별업 2) 백운동의 농업지리적 조건 3) 이주 4) 경제 기반의 확대 5) 하층민과의 관계 6) 별업의 향방 제5장 '폐쇄적 농촌사회'와 영남사회의 부침 1.농민들의 세계관과 농촌사회의 운영 원리 1) 개항기 서구인이 남긴 저술에 주목하는 이유 2) '한정된 재화'의 세계 3) 생계형 경제 4) 제재와 보상 5) 조선시대 농촌사회의 이상과 현실 2. 조선시대 영남학파의 지역적 전개와 영남의 쇠퇴 1) 17세기 중ㆍ후반 이후 영남의 정치적ㆍ학문적 쇠퇴 양상 2) 농업경제의 변동과 영남학파의 지역적 전개 3) 권력 중심의 이동과 기질의 변화 4) 영남 쇠퇴의 원인 5) 영남 지방의 쇠퇴와 근기 지방의 발전 제6장 결론: '영남농법'과 '한국형 지역개발'의 종착점 보론 조선시대 지역개발 추이와 관련한 제논의 검토 1. 지역개발 추이와 관련한 기존의 논의들 2. 15세기 지역개발의 방향: 일방(一方) 혹은 다방면(多方面)? 3. 16~17세기: 산골짜기 개발 시기 4. 18~19세기: 한계 경작지의 개발 시기 5. 난개발이 가져온 부정적 측면 영문 초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