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Crafting qualitative research working in the postpositivist traditions

질적 연구의 이해: 포스트실증주의 전통의 관점에서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17
형태사항
xvii, 457 p.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3-438)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G10138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138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서는 한양대 다문화교육연구센터에서 기획·출간된 책으로, 지식의 주관성과 해석을 강조하는 포스트실증주의 입장에서 질적연구를 하는 전통들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저자가 말하는 전통은 가정, 세계관, 지향, 절차 그리고 실천의 복합체를 말하는데, 이런 문맥에서 볼 때 질적 연구는 지성적 전통에 의거한 공예로 볼 수 있다. 이 책은 서론 격인 1장 공예로서의 질적연구와 결론인 15장, 결론: 전통, 즉흥성 그리고 질적 통제 사이에 총 4부를 담고 있고, 각 부는 다시 그 부 전체를 개관하는 별도 텍스트로 시작된다. 이 책은 원래 사회 과학 분야에서 조직, 경영 등의 분야에 종사하는 학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저술되었다. 그러나 번역자들은 이 책이 (다문화)교육 등 타 사회과학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에게도 소중한 지식의 원천이 될 것으로 거듭 확신한다. 왜냐하면 보통의 연구방법론 책과 달리 연구의 과정 등 형식이나 절차보다는 질적 연구 전통들을 그 사상적 기반과 연관하여 알기 쉽게 설명하기 때문이다. 이지선 박사의 말 대로, “책꽂이에 꽂아두고 자주 방문해야 할 책”임이 분명하다. 번역자들은 이 책의 내용이 질적 연구 전통에 대한 ‘뿌리 깊은’ 이해를 하는데 반드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독자 제현들의 아낌없는 질정을 기대한다.


[머리말] : 저자서평

이 책은 박사과정에서 질적 연구 방법을 가르친 몇 년 간의 소산물이다. 그 강좌는 캐나다의 캘거리 대학교의 경영학부에서 처음으로 개발?제공되었는데, 나는 그곳 박사과정 학생들의 참여와 피드백을 통하여 엄청난 도움을 받았다. 그들 중 많은 학생이 자신의 논문을 쓰면서 혹은 다른 연구 프로젝트에서 나와 함께 긴밀하게 일하였고 계속적으로 내 강의 노트를 책으로 ‘전환’시키라고 강권하였다. 나는 그들의 충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였고, 그들 모두에게 커다란 감사의 빚을 지고 있다. 그들의 아낌없는 격려, 나의 모든 교수 노력에 대한 따뜻한 인정, 그리고 무엇보다도 어려운 전문적 상황에 처했을 동안에 그들이 보여준 우정과 정서적 지지에 대하여 말이다. 큰 애정과 감사의 마음으로, 주디 버드셀Judy Birdsell, 마이클 로우즈Michael Rouse, 팀 하인즈Tim Hynes, 글로리아 밀러Gloria Miller, 샬롯 엑트너Charlotte Echtner, 알렉스 해리슨Alex Harrison, 제프 에버렛Jeff Everett, 코니 프리센Connie Friesen, 그리고 카리안 아룹Kariann Aarup에게 이 책을 헌정한다.
캘거리 대학의 많은 동료들이 이 프로젝트에 직ㆍ간접적으로 공헌하였다. 아비짓 고팔Abhijit Gopal과 브래드 잭슨Brad Jackson은 내 박사과정 세미나에 많이 열정적으로 참여하여 시간과 관심을 자발적으로 제공해 주었다. 딘 노위Dean Neu와 앨리슨 테일러Alison Taylor는 캘거리에서 지낸 나의 5년 동안 조용하고 굳건한 버팀목이었고, 윌프 저브Wilf Zerbe와 줄리 로우니Julie Rowney는 변함없이 동료의 격려와 지지의 모델이었다. 우리의 좋은 친구요 이웃인 모니 조이Morny Joy는 내 모든 걱정을 들어주고, 그녀의 지적인 힘과 놀라운 생산성으로 나를 고무하였다. 나는 또한 교양학부General Studies에서의 이전 동료들?특히 바바라 크로우Barbara Crow, 데이빗 미첼David Mitchell, 브라이언 루스티드Brian Rusted, 그리고 데이빗 타라스David Taras?에게 감사하고 싶다. 그들은 경영 연구를 좀 더 간학문적으로 만들려고 했던 내 노력을 계속적으로 인정하고 평가해 주었다.
캘거리 대학교에서 가르치는 동안에 성장하긴 하였지만, 이 책은 내가 2000년에 미국의 스킷모어 대학Skidmore College으로 옮긴 후에 거의 전적으로 집필되었다. 여기에서 나는 친구?동료들, 특히 아드리엔 주에너Adrienne Zuerner, 로이 로타임Roy Rotheim, 패티 루비오Patty Rubio, 엘라 렙코우스카 화이트Ella Lepkowska White, 비비아나 로질Viviana Rawgil, 조다나 딤Jordana Dym, 그리고 수야니 레디Sujani Reddy 뿐만 아니라, 그 대학의 문화의 순전한 간학문성으로부터 엄청나게 도움을 받았다. 이 원고의 완성을 쉽게 해 준 스킷모어 대학의 연구지원에 대하여 감사하고 싶다. 인문학 전공 학생들을 위한 경영학과의 잔켈 학과장Zankel Chair이라는 내 직책도 이 책의 핵심요소인 간학문성을 수월하게 하고 북돋우어 주었다. 나는 이 직책을 부여함과 관련한 그의 비전과 스킷모어 대학에서의 나의 학문적?교수적 노력에 대한 그의 따뜻한 지지에 대하여 아더 잔켈Arthur Zankel에게 감사한다.
세계 여러 나라의 다른 친구들과 동료들이 또한 이 원고가 진행되는 동안 부분적으로 읽고 코멘트를 해 주었다. 아일린 피셔Eileen Fischer, 울라 요한슨Ulla Johansson, 케이트 키린스Kate Kearins, 모린 스컬리Maureen Scully, 그리고 랄프 스타블라인Ralph Stablein에게 감사한다. 나는 또한 마이크 엘름스Mike Elmes, 마이크ㆍ팻 카바나우Mike and Pat Cavanaugh, 캐롤 뱃커Carol Batker, 애쉬윈 조시Ashwin Joshi, 키란 머천다니Kiran Mirchandani, 그리고 수 로젠버그Sue Rosenberg가 보여준 지속적인 우정과 내 능력에 대한 믿음에 대하여 깊이 감사한다.
이 책을 쓰는 전 과정을 통하여, 나는 나의 소중한 인생의 동반자, 안슈 프라사드Anshu Prasad에게 끊임없이 문의하고 그와 논의하였다. 그는 나의 가장 통렬한 비평가요 가장 열렬한 지지자로 남아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이 책은 그의 사유와 충고의 큰 족적을 지니고 있다. 온 마음을 다하여, 나는 그의 지적인 상담, 그의 (주기적이긴 했지만) 맛있는 요리, 그리고 아침에 커피를 마시면서 저녁에는 싱글몰트 위스키를 마시면서 가졌던 끝없는 대화에 대하여 감사한다. 이 기간을 통하여, 우리의 사랑하는 고양이 데리Derri가 짓궂은 행동과 끊임없는 놀이로 내 학문 세계를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보게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원고의 포맷을 도와준 벤 윌킨슨Ben Wilkinson에게, 그림을 도와 준 낸시 워커Nancy Walker에게, 그리고 초기의 격려와 계속된 편집적인 도움과 안내에 대하여 무엇보다도 엠.이. 샤프M.E. Sharpe 사의 해리 브릭스Harry Briggs에게도 감사한다.
목차
01 공예로서의 질적 연구: 포스트실증주의 전통들과 연구 스타일들 질적 연구의 수행에 존재하는 딜레마들 공예로서의 질적 연구: 연구 전통들과 스타일들 이 책에 관하여 1부 해석주의 전통들 02 상징적 상호작용론: 자아와 의미의 탐구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대한 철학적 영향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일반 개념들 일상적 삶의 상징적 특성 역할, 정체성 그리고 다중적 실재 협상된 질서들 상징적 상호작용론 전통에서의 연구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논쟁들과 새로운 방향들 03 해석학: 텍스트의 해석 철학으로서의 해석학 해석학적 전통에서의 중심 개념들해석학적 전통내의 연구 04 극작법과 드라마주의: 극장과 무대로서의 사회생활 55 극작법에 대한 철학적 배경 어빙 고프먼과 극작법 극작법 전통에서 연구하기케네스 버크와 드라마주의 철학 드라마주의 전통에서 중심 개념 드라마주의 전통 연구하기 05 민속방법론: 평범한 삶의 성취 민속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민속방법론의 중심 개념 민속방법론 전통에서의 연구 민속방법론의 공헌과 한계 06 문화기술지: 현지인에 대한 문화적 이해 문화기술지의 인류학적 유산 고전적인 문화기술지의 중심 개념들 개성이 강한 문화기술지 전통 문화기술지 전통에서 연구하기 문화기술지 전통에서의 논쟁과 새로운 방향 2부 심층구조 전통 07 기호학과 구조주의: 사회적 실재의 문법 기호학의 철학 기호학과 구조주의의 중심개념 기호학적 전통에서의 연구 구조주의의 최근 경향과 발전 3부 비판적 전통 08 유물사관: 계급, 갈등 그리고 지배 마르크스의 철학 유물사관의 주요 개념 유물사관론 전통에서의 노동 유물사관에 대한 비판과 논의 09 비판이론: 헤게모니, 지식생산과 의사소통 행위 비판이론의 철학비판적 이론에서의 중심 개념 비판적 이론 전통 연구하기 비판이론에 대한 논쟁과 새로운 방향 10 페미니즘: 핵심적 사회 원리로서의 젠더 페미니스트 이론과 철학 페미니스트 전통의 중심 개념들 페미니스트 전통에서 연구하기 토론 그리고 페미니스트 전통에의 새로운 방향들 11 구조화 이론과 인간 행동학: 권력의 구조들 속에서 이원론 극복하기 247 앤서니 기든스와 구조화 이론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의 중요 개념들 구조화주의자 전통에서 연구 사회와 사회 연구에 대한 부르디외의 이해 부르디외의 인간행동학의 중심 개념들 부르디외의 인간행동학의 전통에서 연구 4부 ‘포스트’의 전통들 289 12 포스트모더니즘: 이미지와 ‘진리’와의 유희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던 지식 보드리야르와 포스트모던 사회 포스트모던 전통에 대한 연구 포스트모던 전통에서의 비판과 논쟁 13 포스트구조주의: 담론, 영역과 해체 해체 철학 해체의 주요 개념들 푸코의 지식 고고학과 계보학 푸코 포스트구조주의의 주요 개념들 권력과 권력/지식 포스트구조주의 전통에서 연구하기 포스트구조주의 전통에 대한 반응 14 포스트식민주의: 제국주의에 대한 폭로와 저항 포스트식민주의 전통의 등장 포스트식민주의 전통에서의 중심 개념들 포스트식민주의 전통 연구 15 결론: 전통, 즉흥성 그리고 질적 통제 질적 연구에서의 전통과 즉흥성 질적 통제: 개인의 주도권 질적 통제: 문지기 질적 연구를 빚는 즐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