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
스마트워크: 일과 일터의 혁명
- 저자
- 오익재
- 발행사항
- 파주 : BM성안당, 2012
- 형태사항
- 294 p. : 삽화 ; 23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79-290)과 색인수록
- 주제명
- 원격 근무[遠隔勤務]
- 키워드
- 스마트워크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45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045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앞으로의 노동은 더욱 스마트해 질 것이다.
인터넷이 디지털 소통시대를 열었다. 소통이 디지털 신호를 매개로 하면서 인류는 혁명적인 소통의 변화를 겪었다. 선형적인 소통방식이 비선형적인 소통방식으로 변했으며,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의 가치, 라이프스타일도 함께 변했다. 사람들의 사고방식도 점차 비선형으로 변하고 있는 듯하다. 인터넷으로 가능해진 디지털 소통은 전자정부, 전자상거래, 전자금융을 보편화시켰다.
디지털 소통도구에 지능이 부가되어 지식정보사회가 스마트사회로 이행하면서 대학교육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스마트대학은 대학생활을 온오프라인으로 가능하게 하여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대학이 약 20여개 운영 중에 있으며, 오프라인 대학들도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사회는 산업사회의 일과 일터도 스마트워크로 변화시키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소통과 협업이 가능한 노동방식인 스마트워크로 변화하며 업무시간과 업무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스마트워크를 통해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그만큼 인생을 즐길 수 있는 시간과 기회도 증가하게 되니 얼마나 좋은가? 문제는, 노동환경이 스마트워크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건만 사람들은 여전히 산업사회의 노동 방식에 익숙하다는 사실이다.
벤처붐이 일던 전자상거래 시대부터 스마트시대에 이르기까지 시대 변화와 소통(Communication)에 대한 연구를 지속한 한국소통연구원 오익재 원장은 「일과 일터의 혁명 스마트 워크」를 통해 언젠가는 모두가 스마트워크로 일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시대 흐름과 변화를 알리고 있으며, 일과 일터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사고 변화를 요구하면서 구체적인 변화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에 관심이 있는 학생, 일반인, 스마트워크를 이미 도입한 기업, 도입하려는 기업,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고 있는 사업가 모두에게 「일과 일터의 혁명 스마트 워크」는 유익한 변화를 가져올 `엔터테인먼트'한 책이 될 것이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사람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직장으로 출·퇴근해야만 한다는 것이 만고불변의 진리일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일이 사람에게로 출·퇴근하는 방식인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연구 자료, 문헌, 보도 자료 등의 내용(contents)을 분석해 보았다.
「일과 일터의 혁명 스마트워크」는 오랜 내용 분석 과정을 거쳐 정리된, 사람들의 우려와 의문에 답해보기 위한 보고서이다.
이 책을 통해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게 될 것이다.
왜 지금 스마트워크가 핵심 화두로 부상했을까?
스마트워크는 어떤 방식으로 일하는 것일까?
회사에 스마트워크를 도입하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스마트한 일터란 어떤 일터일까?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스마트워크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우리나라 정부, 공공부문, 기업의 도입 현황은?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일과 일터를 획기적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인터넷이 디지털 소통시대를 열었다. 소통이 디지털 신호를 매개로 하면서 인류는 혁명적인 소통의 변화를 겪었다. 선형적인 소통방식이 비선형적인 소통방식으로 변했으며,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의 가치, 라이프스타일도 함께 변했다. 사람들의 사고방식도 점차 비선형으로 변하고 있는 듯하다. 인터넷으로 가능해진 디지털 소통은 전자정부, 전자상거래, 전자금융을 보편화시켰다.
디지털 소통도구에 지능이 부가되어 지식정보사회가 스마트사회로 이행하면서 대학교육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스마트대학은 대학생활을 온오프라인으로 가능하게 하여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대학이 약 20여개 운영 중에 있으며, 오프라인 대학들도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사회는 산업사회의 일과 일터도 스마트워크로 변화시키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소통과 협업이 가능한 노동방식인 스마트워크로 변화하며 업무시간과 업무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스마트워크를 통해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그만큼 인생을 즐길 수 있는 시간과 기회도 증가하게 되니 얼마나 좋은가? 문제는, 노동환경이 스마트워크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건만 사람들은 여전히 산업사회의 노동 방식에 익숙하다는 사실이다.
벤처붐이 일던 전자상거래 시대부터 스마트시대에 이르기까지 시대 변화와 소통(Communication)에 대한 연구를 지속한 한국소통연구원 오익재 원장은 「일과 일터의 혁명 스마트 워크」를 통해 언젠가는 모두가 스마트워크로 일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시대 흐름과 변화를 알리고 있으며, 일과 일터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사고 변화를 요구하면서 구체적인 변화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에 관심이 있는 학생, 일반인, 스마트워크를 이미 도입한 기업, 도입하려는 기업,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고 있는 사업가 모두에게 「일과 일터의 혁명 스마트 워크」는 유익한 변화를 가져올 `엔터테인먼트'한 책이 될 것이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사람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직장으로 출·퇴근해야만 한다는 것이 만고불변의 진리일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일이 사람에게로 출·퇴근하는 방식인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연구 자료, 문헌, 보도 자료 등의 내용(contents)을 분석해 보았다.
「일과 일터의 혁명 스마트워크」는 오랜 내용 분석 과정을 거쳐 정리된, 사람들의 우려와 의문에 답해보기 위한 보고서이다.
이 책을 통해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게 될 것이다.
왜 지금 스마트워크가 핵심 화두로 부상했을까?
스마트워크는 어떤 방식으로 일하는 것일까?
회사에 스마트워크를 도입하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스마트한 일터란 어떤 일터일까?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스마트워크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우리나라 정부, 공공부문, 기업의 도입 현황은?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일과 일터를 획기적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목차
PART 01. 왜 지금 스마트워크일까?
- 지식정보사회가 스마트해진다
- 지식근로자가 늘어난다
- 지속 가능 사회를 지향한다
PART 02. 스마트워크란 무엇인가?
- 원격 근무(Telework)의 출현
- 스마트워크는 원격 근무이다
- 스마트워크는 유연 근무이다
PART 03. 기술이 스마트해야 한다.
-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
- 스마트 워크플레이스
- 스마트폰과 모바일 오피스
- 소셜 미디어와 협업
- 사무실 기반 스마트워크 기술
- 차세대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 사물지능통신(Object to Object Intelligence Network)
PART 04. 일과 일터가 스마트해야 한다
- 왜 워크 스마트(Work Smart)인가?
- 열심히 일하기의 실체
- 스마트하게 일하려면?
- 스마트한 일터
PART 05. 스마트워크 어디까지 왔나?
- 주요 국가별 스마트워크 현황
- 주요 기업의 스마트워크
- 국내 스마트워크 현황
- 스마트워크의 기대 효과
PART 06. 스마트워크를 도입하려면?
- 스마트워크 도입해야 할까?
- 워크 스마트부터 시작하라
- 도입 절차를 따른다
- 스마트워크를 관리한다
- 변화를 관리한다
- 법령의 정비를 주도한다
PART 07. 스마트워크의 미래
- 미래 사회는 스마트할까?
- 미래에는 일자리가 사라질까?
- 미래의 일과 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