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ESG 한번에 이해하기
- 발행사항
- 서울 : 유원북스, 2022
- 형태사항
- 242p. : 도표 ; 21c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95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95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ESG 입문서로서 이론보다는 알기 쉬운 해설 위주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각 장의 처음에 마련된 [한번에 이해하기] 부분만 읽어도 ESG에 관한 최소한의 포괄적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이 책은 투자자나 기업, 규제당국, 비정부기구(NGO) 같은 자본시장 관계자가 ESG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자본시장의 생태계가 ESG 등장으로 어떻게 바뀌었으며, 변화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입니다. 이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중점을 둔 사항은 독자들이 최대한 편하게 읽고 접할 수 있도록 한 점입니다. 이 책에 제시된 각주는 원서엔 없는 것으로 역자들이 독자들에게 원전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리고자 기술한 부분입니다. 이 책이 ESG와 관련된 기초 개념을 이해하는 단계에서부터 ESG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을 익혀 실무에 활용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독자 여러분에게 소중한 지침서가 될 수 있길 기대합니다.
목차
제1장 급속한 자금의 흐름, 왜, 언제부터
[한번에 이해하기] 23
1. 그 계기는 유엔 26
• 그 시작은 2015년부터 26
• 완전한 주류가 되기까지 10년의 시작 29
• ESG의 여명기 32
• 가장 먼저 주목한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34
2. 2015년에 발생한 ESG 빅뱅 36
• 2015년 파리협정 36
• 환경이 바꾸는 금융 비즈니스 37
•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39
• ESG 빅뱅-GPIF가 책임투자원칙(PRI)에 서명 41
• 왜 ESG 투자를 도입하였는가 42
3. 자본주의를 재검토하려는 분위기 44
• Purpose 선언-Business Round Table의 성명 44
• 자본주의 재구축 46
• 임팩트 가중회계(impact‐weighted accounts) 47
• The Great Reset 49
4. SRI란? 52
• ESG 기원은 1980년대의 SRI에서 52
• ESG와 SRI의 차이점 54
5. SDGs는 목표이며, ESG는 수단 56
• SDGs와의 차이점 56
• MDGs(Millennium Development Goals)와의 차이점 60
제2장 변화하는 투자자
[한번에 이해하기] 67
1. 수익은 절대 포기할 수 없다. 69
•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을 검증하는 체크포인트 69
• GPIF의 ESG 활동 보고 71
• 다섯 가지 주가지수로 점검 72
• 다양한 검증에서 얻어지는 가설 72
• 일본은행도 증명 74
• ESG 투자의 합리성 76
2. 100%의 ESG 76
• ESG 투자 규모 76
• ESG 투자 종류 78
• 주류가 된 ESG 통합형 투자 80
• Robeco-100% ESG 투자를 실현하는 기업 82
• 자산 소유자 83
3. 주주행동주의와의 접점 84
• 주주행동주의와의 융합 84
• 늘어나는 주주총회에서의 환경 관련 제안 86
• 사회 관련 제안에서 빠짐 없이 등장 88
• 환경과 사회 관련 제안이 늘고 있는 미국 90
4. 공매도 전략으로의 ESG 91
• 왜, 공매도에 응용하는가? 91
• PRI가 헤지펀드 선정지침 발표 92
• PRI 지침으로 움직이는 유력 투자자 93
• 회계조작 방지 95
• 공매도는 궁극의 ESG 투자 97
5. 보유 아니면 매도? 98
• 투자 철회 98
•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대학기금 100
• 일본 기업도 대상 100
• 후보 리스트 102
• 투자 철회보다는 경영 개입(engagement)을 103
제3장 변화하는 기업
[한번에 이해하기] 107
1. 히타치(Hitachi) 제작소 110
• 통합보고서의 시대 110
•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 제언-여섯 가지 자본 111
• 히타치제작소의 통합보고서 살짝 맛보기 113
2. 에자이(Eisai) 제약회사 117
• 언젠가 재무적 가치를 가질 비재무정보 118
• 선행투자의 의미를 가진 인건비와 연구개발비 119
• ESG 고려이익 121
• SAP의 종업원 관여지수(EEI) 122
•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부족 탈피 123
3. 글로벌 복합기업 소니(Sony) 124
• 소니의 정보공개 특징 124
• 존재의의와 가치관 126
• 중요과제(materiality)-주요 리스크 파악 128
•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131
4. 마루이(Marui) 백화점 132
• 키워드는 ‘행복’ 132
• Vision 2050 135
• 미래로부터의 역산에 근거한 경영 136
5. 공급망을 바꾼 나이키(Nike)와 애플(Apple) 139
• 브랜드 위기 139
• 책임 있는 공급망의 궁극적인 도달점 142
• 다른 기업들의 움직임을 자극 143
6. 액슨모빌(ExxonMobil)과 BP(The British Petroleum Company) 145
• 곤경의 상징-다우존스 종목에서의 탈락 145
• ESG 자본이 재촉한 변화 146
제4장 변화하는 인프라
[한번에 이해하기] 153
1. 선도자는 나스닥(NASDAQ) 155
• 증권거래소의 세 가지 기능 155
• 주요 직책에 여성과 소수자 등용 촉구 156
• 증권거래소가 ESG에 적극적인 이유 158
• 도입에 적극적인 아시아 지역의 증권거래소 160
• 일본의 입지 161
2. 다시 시작되는 회계외교 162
• ESG 정보공개의 통일규격 구축 162
• 기준 통합 움직임 164
• 일본식 규칙 적용은 가능한가 165
• ESG를 금융감독에 응용 167
• Green Basel(은행의 자기자본비율) 169
3. 금융시스템도 결국 Green 170
• NGFS의 계산 170
•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대응 171
• 금융정책이 탈탄소를 뒷받침 172
• 그린 스완(Green Swan)에 대한 경계 173
4. 21세기의 금융센터 175
• 꿈이여! 다시 한번 175
• 아시아의 라이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까? 178
• 경쟁에 필수적인 ESG 요소 179
• 홍콩이 요구하는 엄격한 ESG 정보공개 180
5. Green에 베팅하는 영국 182
• 영국의 EU 탈퇴로 인한 금융 허브의 손실 182
• ESG의 세계적 리더가 된 TCFD 183
• 의식할 필요가 없는 영국식 전략 184
제5장 진화하는 ESG
[한번에 이해하기] 189
1. 야심찬 포부 191
• 경쟁에 돌입한 각국의 정책 191
• Microsoft의 Carbon Negative 선언 192
• Backcasting으로 진행 193
• 야심적인 목표의 목적 195
• Amazon의 기후변화 연구 펀드 196
2. 이익극대화에서 임팩트 투자로의 전환 197
• 리스크 조정 후 이익극대화를 목표로 197
• 21세기의 수탁자 의무 198
• 임팩트 투자 199
• Zebra 기업의 육성 201
3. 이미 아시아에서 발생된 ESG 문제 203
• 각국의 ESG 과제 203
• 여전히 소규모인 ESG 금융 205
• 주목할 만한 Temasek Holdings의 역할 206
4. 시장의 중심에 위치한 NGO/NPO 207
• 필요한 조사능력과 지식 207
• 기준 설정력의 강도 208
• 기업 활동에도 영향-팜유 210
• 조사 및 평가 기능의 향상 211
• 강력한 인플루언서 213
5. ESG가 필요 없어지는 날 215
• 두 가지 퀴즈로 이해하기 215
• 해답과 해설 217
• 왜, ESG가 유행하는 것일까? 218
• E와 S, 그리고 G를 이해하는 것에 따른 위화감 220
• ESG라는 용어는 사라져도 여전히 남아 있는 과제 221
제6장 ESG 용어에 대한 기초지식
[Alphabet Soup 문제] 227
1. 국제조직과 연구기관 228
2. 투자 관련 231
3. NGO와 NPO 233
4. 금융, 시장감독, 그리고 정보공개 234
여행을 마치며: COVID–19와 ESG 237
ESG 이해에 도움되는 추천 국내자료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