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Heavy and chemical industrialization in Korea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석유화학공업
- 저자
- 박영구
- 발행사항
- 서울 : 해남, 2023
- 형태사항
- ix, 924p. : 삽화, 도표 ; 27 c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지금 이용 불가 (1) | ||||
자료실 | E208161 | 대출중 | 2024.08.14 |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 E20816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중
- 2024.08.14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한국 현대경제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1970년대의 중화학공업화’라고 국내외적으로 분명하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현대사에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던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과정을 제대로 된 문서로, 형식을 갖추어 설명한 것은 놀랍게도 없다’거나 한국의 중화학공업화를 연구한다면 ‘그 결심을 한 연구자 개인이 전부 자료를 하나씩 직접 수집하여야 한다’는 선구자들의 독백과 독설을 저자는 절절히 공감하여야 하였다.
오늘날 한국 경제, 한국 경쟁력의 뿌리가 된 그 중화학공업화 과정을 총괄적인 시각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고 있지 않다는 이 믿을 수 없는 사실이 바로 한국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 귀중한 경험을 공유해야 할 세계 모든 곳의 “우리”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다.
한국의 전자공업은 세계의 길에서 만나는 누구나 한국인이라고 밝히는 우리에게 한국의 상징으로 바로 말을 꺼내는 한국의 대표산업이다. 바로 그 한국 전자공업의 역사기록을 중화학공업화 연구 29년 차에 세상에 내놓는다. 이 책에 기록된 내용은 책상 위에서 이론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계속 찾아다니고 검토하고 비교하고 다시 찾아가 얻은 것이다.
오늘날 한국 경제, 한국 경쟁력의 뿌리가 된 그 중화학공업화 과정을 총괄적인 시각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고 있지 않다는 이 믿을 수 없는 사실이 바로 한국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 귀중한 경험을 공유해야 할 세계 모든 곳의 “우리”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다.
한국의 전자공업은 세계의 길에서 만나는 누구나 한국인이라고 밝히는 우리에게 한국의 상징으로 바로 말을 꺼내는 한국의 대표산업이다. 바로 그 한국 전자공업의 역사기록을 중화학공업화 연구 29년 차에 세상에 내놓는다. 이 책에 기록된 내용은 책상 위에서 이론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계속 찾아다니고 검토하고 비교하고 다시 찾아가 얻은 것이다.
목차
제1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생산·투자계획, 1945~1972
제1장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모색
Ⅰ. 석유화학공업의 성격과 선택
Ⅱ.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시작
Ⅲ. 한국 석유화학공업정책의 형성과 배경
Ⅳ. 석유화학공업 육성 방향의 모색
부록: 석유화학공업개발계획(1966)
제2장 석유화학공업정책의 시작
Ⅰ. 석유화학공업정책의 시작
Ⅱ. 공장건설 실수요자 선정과 건설계획 및 정부기구
Ⅲ. 차관과 합작투자
Ⅳ. 석유화학공장 건설
부록: 1. 제2정유공장--2. 석유화학공업추진위원회 규정(대통령령 제3402호)
제3장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계획
Ⅰ. 석유화학공업 지원제도의 정비
Ⅱ. 빠른 추격을 위한 정책 도입과 국산화의 시작
Ⅲ. 대내외 충돌과 조정
Ⅳ. 장기계획과 장기정책의 준비
제2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제4장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 수급계획 및 정책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계획
Ⅱ. 석유화학공업 육성정책과 방안
Ⅲ. 구체화되는 육성계획
Ⅳ. 정책논쟁과 수정계획
부록: 에틸렌 기준 30만 톤 설비의 의의와 일본의 석유화학공업
제5장 진전하는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Ⅰ. 석유파동과 석유화학공업정책의 변화
Ⅱ. 협력추구와 내재적 자립의 모순과 해결
Ⅲ. 1970년대 중반의 변화, 위기와 계획
Ⅳ. 정책시차와 공급능력의 정체
제6장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1970년대 말기의 수급계획과 정책
Ⅰ.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석유화학공업정책
Ⅱ.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의 전환
Ⅲ. 개방, 호황과 생산·투자계획의 확대
Ⅳ. 1970년대 말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의 재수정
부록: 「호남에틸렌」 및 「여수석유화학」 민영화
제7장 1980년대 이후의 석유화학공업 중점 계획과 정책
Ⅰ. 전환기 1980년대의 기본계획과 정책
Ⅱ. 단절과 연속의 정책
Ⅲ. 경기회복과 경쟁력 강화
Ⅳ. 1980년대 후반 이후의 산업체계 정비
부록: 1. 1980년대 위기 극복을 위한 일본 석유화학공업의 대응과 정책--2. 공업발전법(1986)·산업발전법(1999)
제3부 석유화학공업의 주요 정책들
제8장 외국인투자, 차관
Ⅰ. 초기 외자의 내용과 성격
Ⅱ. 외자 내용과 정책의 전환
Ⅲ.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외국인투자·차관
Ⅳ. 차관과 외국인투자의 전개 양상과 대응
Ⅴ. 차관과 외국인투자의 구조 변화
제9장 인력
Ⅰ. 초기 인력정책 내용과 성격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인력정책의 구조 정형화
Ⅲ. 인력정책의 발전과 질적 전환
Ⅳ. 성과와 인력정책의 약화
부록: 1970년대 인력개발투자액과 직업훈련원 직업훈련 실적
제10장 수입대체와 수출
Ⅰ. 수입대체와 수출정책의 성격과 초기 정책/ 435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수출정책/ 438
Ⅲ. 경쟁력과 구조 변화/ 447
Ⅳ. 1980년대 이후 수입대체와 수출정책의 전환/ 453
제4부 석유화학공업의 전략: 공업기지와 기술
제11장 여천공업기지 계획과 정책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총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Ⅲ. 투자·생산·수출·고용 계획 및 정책과 분양·입주정책
Ⅳ. 대내외 환경 변화와 계획, 정책의 변경과 조정
제12장 여천공업기지 조성과 입주, 가동
Ⅰ. 매수·보상과 주민이주, 배후도시 건설
Ⅱ. 공업지역 건설
Ⅲ. 지원시설 건설
Ⅳ. 기업과 공장: 분양, 입주, 가동, 효과
부록: 여천 제2석유화학단지 초기 주요 공장 추진과정
제13장 울산석유화학단지 계획과 정책, 발전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울산석유화학단지 형성과 출발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Ⅲ. 1970년대까지의 울산석유화학단지 건설과 분양, 가동
Ⅳ. 1980년대 이후 울산석유화학단지 건설과 분양, 가동
제14장 석유화학공업과 기술
Ⅰ. 기술도입
Ⅱ. 기술도입제도의 체계화
Ⅲ. 연구개발과 연구소
Ⅳ. 도전과 대응
부록: 1980년대, 1990년대 기업의 기술도입과 연구개발
제5부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특징
제15장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기업, 기업가단체
Ⅰ. 초기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Ⅱ. 1970년대 후반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Ⅲ. 1980년대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Ⅳ. 기업과 기업가단체
부록: 1. 한국 주요 석유화학공업 기업--2. 부표: 1970~1980년대 세계 에틸렌 생산시설능력
제16장 석유화학공업과 한국경제
Ⅰ. 총괄과 수급
Ⅱ. 투자
Ⅲ. 수출과 수입
Ⅳ. 한국중화학공업화정책 시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특징과 역사적 문제
제6부 석유화학공업의 총괄과 자료
제17장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전개, 1945~2000
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태동, 1945~1972
1. 1945~1960
2. 1961~1969
3. 1970~1972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 발전, 1973~1975
1. 1973
2. 1974
3. 1975
Ⅲ. 구조 변화와 발전비용의 대두, 1976~1978
1. 1976
2. 1977
3. 1978
Ⅳ.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재편과 성격, 1979~1985
1. 논쟁, 1979
2. 중화학공업화 비판, 축소와 중단, 1980~1982
3. 중화학공업 조정 이후의 전개, 1983~1985
Ⅴ. 위기와 기회, 1986~2000
1. 3저 호황과 또 하나의 시작, 1986~1990
2. 반복되는 위기와 기회, 1991~2000
제18장 석유화학공업 자료
Ⅰ. 한국어 자료
Ⅱ. 외국어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