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Smart Cities in South Asia-Structure and Direcrions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 구조와 방향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22
형태사항
512p. ; 23cm
서지주기
참고문헌(p.498-50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715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71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오늘날 세계적인 글로벌 도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스마트시티의 개발 비전 및 정책을 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한 연구서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구조와 방향』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30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스마트시티는 IT, 환경기술,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 등 첨단 스마트기술이 기본 생활 수요 대응에 적극적으로 활용된 형태의 도시로서, 도시화에 따른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도시생활을 비전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서가 직접적인 대상으로 설정한 인도는 2015년부터 100개의 스마트시티를 건설하겠다는 야심찬 개발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시된 정책 비전은 18억 인구가 거주하는 남아시아지역 스마트시티 추진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입니다.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구조와 방향』은 남아시아라는 지역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스마트 시티를 중심축으로 융복학적 연구를 추진한 사례로서 인문학과 사회과학 및 공학이 통합된 학제 간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모범적 사례이기도 합니다. 지리학, 정보과학, 도시계획학, 경영학 등 각 연구분야의 권위자 11명이 작성한 11편의 글들은 최첨단 이론에 대한 이해와 정확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추진에 소요되는 지식과 정보를 압축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구조와 방향』은 2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스마트시티 개설에 해당하는 1부에서는 3개의 챕터를 통해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한국의 스마트시티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세계 주요국가 스마트시티 개발동향과 시사점 등을 고찰합니다. 또한 이 책의 본론인 남아시아 주요국가의 스마트시티 전략 현황을 소개합니다. 이 책의 본론인 2부 ‘인도의 경제, 사회발전과 스마트시티’에서는 8개 장을 할애해서 IT 산업, AI, 4차 산업혁명, 도시화와 스마트시티미션, 팹랩, 리빙랩, 교육, 정치적 사회적 맥락, 교통, 공간정보, 한국-인도의 파트너십 등 분야별로 심화된 현상 분석과 발전 방향을 탐색합니다.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구조와 방향』은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 정책 정보의 수요가 존재하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의 공직자, 공기업 임직원, 민간기업 임직원, 시민단체 종사자, 연구자 등을 주요 독자로 설정하고 기획되었으며, 남아시아 국가 맞춤형 스마트시티 발전 지원과 경제협력 모델 정립과 같은 작업에 폭넓게 활용되기를 기원합니다.
목차
머리말(박수진) 프롤로그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구조의 방향(손정렬) 제1부 스마트시티와 세계 속의 남아시아 제1장 스마트시티의 등장과 한국의 스마트시티 구조(이재용) 제2장 스마트시티의 세계적 흐림과 남아시아 및 한국의 도전(김용호) 제3장 아시아 도시와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 전략(손정렬ㆍ김윤호) 제2부 인도의 경제ㆍ사회발전과 스마트시티 제4장 인도의 IT산업ㆍAIㆍ4차 산업 혁명(이명무) 제5장 인도의 도시화와 스마트시티미션의 구조 및 평가(박수진ㆍ박양호) 제6장 인도의 스마트시티 미션(SCM), 팹랩(Fab Lab), 리빙랩(Living Lab) (김윤호) 제7장 인도의 스마트시티와 교육: 스마트 교육을 중심으로(맹현철) 제8장 인도 스마트시티미션의 가능성과 한계: 신흥중산층을 통해 사회ㆍ정치적 맥락(강성용) 제9장 인도의 교통 및 기초인프라와 스마트시티 전략(이상건) 제10장 인도의 공간정보와 스마트시티(사공호상) 제11장 인도의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패러다임과 한국ㆍ인도 파트너십(박양호) 에필로그(박양호) 이 책을 쓴 분들(가나다 순)
저자 소개
저자 사공호상
공간정보 정책을 30여 년간 국토연구원에서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현재는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영남대학교 토목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도시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지리정보학회장,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위원, 중앙지적위원회 위원,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초연결 시대에 대응한 공간정보 정책 방향』 등 스마트도시와 공간정보관련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강성용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인도학, 철학, 티베트학으로 독일 함부르크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고전인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스트리아 빈대학 전임연구원, 21세기불교포럼 공동대표를 지냈으며 2011년 제26회 불이상을 수상했다. 전공은 인도고전학이며 특히 인도철학에서의 논리학과 인식론 전통을 연구하고 있고, 현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박양호
국토연구원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미국 UC. Berkeley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유비쿼터스 도시위원회 위원, 아시아태평양개발기구(EAROPH) 회장, 창원시정연구원 초대원장, 한국지역학회 회장, 홍익대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교수 등을 역임했다. 『도시와 환경』, “스마트도시와 스마트환경”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

주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