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총서 19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 9

단체저자
영남대학교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9
형태사항
389 p. : 삽화 ; 24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384-385)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G10128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128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에서는 2015년 10월에서 2016년 10월까지의 연구성과를 모아 이번에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Ⅸ’(독도연구총서 19권)을 내놓게 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들과 학술지 ‘독도연구’에 수록된 논문들을 엄선해서 편집한 연구총서이다. 내용은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한일 양국의 독도 자료와 연구 검토>에는 6편의 관련 논문이 수록되었고, 제2부 <독도에 관한 국제법 및 정치학적 연구>에는 4편의 관련 논문이 수록되었으며, 제3부 <환동해문화권 속의 독도와 울릉도>에는 2편의 논문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4부 <바람직한 독도 교육의 방안>에는 1편의 연구논문이 수록되었다.
지난 9년간(2007.10.16~2016.10.15)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가 수행해 온 정책중점연구소의 총괄 연구주제는 【독도학 정립을 위한 학제 간 연구】였다. 이 연구는 첫째, 독도가 한국 고유영토임을 다학문간 통섭적 연구,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재확인하고, 둘째, 국제사회에서 용인되는 이론 개발을 통해 일본 측 주장의 허구성과 부당성을 증명할 수 있는 ‘독도학(獨島學)’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책머리에 中)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일 양국의 독도 자료와 연구 검토 『竹嶋紀事』에 나타난 안용복ㆍ박어둔 진술서 및 『千山島』 인식 1. 머리말 2. 『竹嶋紀事』에 나오는 안용복ㆍ박어둔 구두진술 3. 『竹嶋紀事』에 나오는 『于山島』4. 맺음말 일본 고문서에 나타난 일본의 독도 인식 1. 머리말 2. 예로부터 일본은 독도를 일본영토로 인식하였는가? 3. 에도ㆍ메이지 시대 일본의 독도 인식 4.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도서인가? 5. 맺음말 19세기 일본 산음지방의 울릉도ㆍ독도 기록과 『송도개척론(松島開拓論)』 1. 머리말 2. 일본 산음지방의 죽도(竹島)와 『일본 땅』 송도(松島) 3. 세와키 히사토(瀨脇壽人)의 『송도개척론』 4. 『송도개척론』 제출과 일본 외무성의 울릉도 침탈 5. 맺음말 개항기 울도군수의 행적 1. 머리말 2. 울도군수의 행적 3. 맺음말 개항기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과 「울릉도도항금지령」 1. 머리말 2. 개항기 일본인들의 울릉도 침입 3.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의 배경과 그 의도 4. 조선조정의 항의와 「울릉도도항금지령」의 발령 5. 맺음말 1948년 독도폭격사건의 경과와 발생배경 1. 머리말 2. 1948년 독도폭격사건의 경과 3. 1948년 독도폭격사건의 발생배경 4. 맺음말 제2부 독도에 관한 국제법 및 정치학적 연구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의 법제사적 의미검토-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와 1905년 일본 각의결정의 비교검토- 1. 서론 2. 『죽도문제 100문100답』과 칙령 제41호 3. 근대법제로서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4. 일본의 근대법제 형성과 1905년 『각의결정』 5. 결론 밴프리트 귀국보고서의 대일평화조약의 준비작업 및 후속적 관행 여부의 검토 1. 서론 2. 밴프리트 귀국보고서의 내용 3. 밴프리트 귀국보고서의 대일평화조약의 준비작업 여부 검토 4. 밴프리트 귀국보고서의 대일평화조약의 후속적 관행 여부의 검토 5. 결론 일본의 독도 영토에 대한 한국 관할권의 인정-『한일협정』에서 『한일신어업협정』까지- 1. 들어가면서 2. 대일평화조약의 독도처리에 대한 일본 주장의 모순성 3. 일본의 『한일협정에서의 한국 관할권』 인정 4. 일본의 대륙붕설정에서의 한국 관할권 인정 5. 일본의 신어업협정에서의 한국 독도 관할권 인정 6. 맺으면서 대일평화조약의 독립승인조항과 권리포기조항에 의한 한일합방조약의 유효승인 1. 머리말 2. 대일평화조약초안 상 독립승인조항과 권리포기조항 3. 대일평화조약의 한국에 대한 효력 규정 4. 조약법 협약의 제3자에 대한 권리 부여 규정 5. 대일평화조약에 조약법 협약의 적용과 한일합방조약의 유효 승인 6. 독립승인조항 및 권리포기조항의 한일기본관계조약의 저촉 7. 맺음말 제3부 환동해문화권 속의 독도와 울릉도 일본의 「해달ㆍ물개어렵법(臘虎腽肭獸獵法)」과 독도의 강치 어업 1. 머리말 2. 일본근해의 물개 어장과 영ㆍ미 어렵선 진출 3. 독도어장을 둘러싼 조ㆍ일간의 어장 경합 4. 「해달ㆍ물개어렵법(臘虎腽肭獸獵法)」에 따른 독도 강치어업 5. 맺음말 1930년대 오키(隱岐)어민의 독도 강치 어렵과 그 실태 1. 머리말 2. 구술조사에서 나타난 1930년대 독도어업 실태 3. 1930년대 독도어업의 실태 4. 맺음말 제4부 바람직한 독도 교육의 방안 한국과 일본 중학교 역사분야 교육과정과 역사 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 비교-2014년 전후 한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일본 중고등 학습지도요령해설 비교와 교과서 내용 3. 한국 중학교 독도 관련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