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03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03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12년 5월 국회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의 대응방안으로서 배출권거래제가 2015년 시행될 예정이다. 이 책에서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주요국들의 배출권거래제 현황을 살펴보고 배출권거래제 도입을 위하여 해결되어야 할 쟁점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 책은 크게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배출권거래제의 의의 및 법적근거’, 제2장은 ‘외국의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입법례’, 제3장은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쟁점’, 제4장은 ‘배출권거래제의 운영과 규제방안’이다.
제1장 ‘배출권거래제의 의의 및 법적근거’에서는 배출권의 개념과 배출권의 법적성격, 배출권거래제의 법적근거가 되는 유엔기후변화기본협약, 교토의정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등을 살펴보았다. 제2장 ‘외국의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입법례’에서는 유럽연합을 비롯하여 미국, 호주, 일본 등에서 시행중이거나 준비 중인 배출권거래제의 주요내용과 배출권거래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쟁점’에서는 환경오염 규제수단으로서의 배출권거래제의 이론적인 내용, 할당과 MRV,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국내 기업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4장 ‘배출권거래제의 운영과 규제방안’에서는 배출권 발행시장에서의 할당 문제와 기후변화 관련 정보의 공시 문제, 배출권 유통시장에서의 배출권 거래시장의 거래대상, 시장참가자, 거래소 문제와 불공정거래 규제 문제, 배출권 거래 관련 위법행위에 대한 제재 문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 책은 크게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배출권거래제의 의의 및 법적근거’, 제2장은 ‘외국의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입법례’, 제3장은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쟁점’, 제4장은 ‘배출권거래제의 운영과 규제방안’이다.
제1장 ‘배출권거래제의 의의 및 법적근거’에서는 배출권의 개념과 배출권의 법적성격, 배출권거래제의 법적근거가 되는 유엔기후변화기본협약, 교토의정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등을 살펴보았다. 제2장 ‘외국의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입법례’에서는 유럽연합을 비롯하여 미국, 호주, 일본 등에서 시행중이거나 준비 중인 배출권거래제의 주요내용과 배출권거래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쟁점’에서는 환경오염 규제수단으로서의 배출권거래제의 이론적인 내용, 할당과 MRV,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국내 기업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4장 ‘배출권거래제의 운영과 규제방안’에서는 배출권 발행시장에서의 할당 문제와 기후변화 관련 정보의 공시 문제, 배출권 유통시장에서의 배출권 거래시장의 거래대상, 시장참가자, 거래소 문제와 불공정거래 규제 문제, 배출권 거래 관련 위법행위에 대한 제재 문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목차
머리말
PART 01 배출권거래제의 의의 및 법적 근거
01. 배출권의 의의
Ⅰ. 배출권의 개념 및 유형
Ⅱ. 배출권의 법적 성격
02. 배출권거래제의 법적 근거
Ⅰ. 국제법적 근거
Ⅱ. 국내법적 근거
PART 02 외국의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입법례
01. 유럽연합
Ⅰ. 유럽연합 입법지침
Ⅱ. 영국
Ⅲ. 프랑스
Ⅳ. 독일
Ⅴ. 노르웨이
02. 미국
Ⅰ. 포괄적 기후법안
Ⅱ. 자발적 배출권거래제
Ⅲ. 자발적 배출권 거래소
03. 기타 국가
Ⅰ. 캐나다
Ⅱ. 호주
Ⅲ. 일본
PART 03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쟁점
01. 환경오염 규제수단으로서의 배출권거래제
Ⅰ. 시장기반 규제수단
Ⅱ. 법경제학적 접근방식
Ⅲ. 배출권 거래시장
02. 배출권의 할당
Ⅰ. 할당의 의의
Ⅱ. 초기할당방식의 유형
Ⅲ. 각국의 초기할당방식
03. 배출량의 측정?보고?검증
Ⅰ. 측정?보고?검증 제도의 의의
Ⅱ.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Ⅲ. 온실가스 배출량의 보고
Ⅳ. 온실가스 배출량의 검증
04. 국내 기업의 대응방안-탄소경영
Ⅰ. 탄소경영의 의의
Ⅱ. 탄소경영의 유형
Ⅲ. 관련 문제
PART 04 배출권거래제의 운영과 규제방안
01. 서설
02. 배출권 발행시장에서의 제도도입
Ⅰ. 국가할당계획의 수립 및 변경
Ⅱ. 배출권의 할당
Ⅲ. 기후변화 관련 정보의 공시
03. 배출권 유통시장에서의 제도도입
Ⅰ. 배출권의 거래
Ⅱ. 배출권거래제의 의무이행방안
Ⅲ. 배출권의 불공정거래 규제
04. 배출권의 감독 및 위법행위에 대한 제재
Ⅰ. 배출권 거래시장의 감독
Ⅱ. 법 위반 시 제재 방안
맺음말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