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Energy Transition in Korea Perspectives and Issues
한국의 에너지 전환: 관점과 쟁점
- 발행사항
- 파주 : 한울엠플러스, 2019
- 형태사항
- 452 p. : 도표 ; 23cm
- 총서사항
- 한울아카데미 ; 2091
- 서지주기
- 각 장별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지금 이용 불가 (1) | ||||
자료실 | E207319 | 대출중 | 2025.06.30 |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 E2073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중
- 2025.06.30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한국 에너지 전환 담론의 모든 것
한국의 에너지 전환의 과거, 미래, 현재
현재 한국의 에너지 정책 방향은 원자력과 석탄 발전을 대폭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크게 늘리는 흐름 안에 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높아진 원전에 대한 불안감과 파리협정 이후 화석연료 의존을 탈피하려는 범지구적 저탄소화 움직임 등이 반영된 까닭이다. 이러한 정책 방향성은 한국의 에너지 수급 체계를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확보보다는 환경친화적이고 국민의 수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이제 막 에너지 전환 시작 단계에 선 한국의 적절한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구상해보게 한다. 우리나라가 그간 에너지를 어떻게 운용해왔고 어떤 모델로 나아가고 있는지 자세히 설명하는 일을 놓치지 않고 있으며, 노르딕 지역과 독일, 중국 등 ‘에너지 전환 선진국’들의 사례를 꼼꼼히 살피면서 한국이 참고할 수 있는 지점을 짚는다. 또한 에너지 정책과 산업을 둘러싸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이해관계들을 조명하며 한국 에너지 전환 담론의 최전방으로 독자를 안내한다.
국내외 에너지 전환 쟁점의 현주소
에너지 쟁점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 조명
기존의 에너지·환경 도서는 에너지 담론의 큰 흐름과 선진 사례들을 개괄적으로 살피는 차원의 내용이 주류였다. 그러나 이 책은 대규모 중앙집중형 발전소를 필요로 하는 화석연료나 원자력 의존이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했던 점을 분명히 짚으며 결을 달리한다. 소규모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며, 실제로 국내외에서 시행된 여러 사례를 통해 지역 단위 에너지 시스템의 의미와 진행 상황을 짚고 있기 때문이다. 원전하나줄이기와 에너지 자립 도시에 관한 자세한 논의,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면서 소비하는 에너지 프로슈머 수익 모델, 연료전지 모델을 다루는 부분에서 독자들은 에너지 전환 흐름의 생생한 현주소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또한 정당들의 에너지 공약 변천사와 현황을 알아보고, 재생에너지 개발원조 정책의 현황을 검토하는 등 에너지와 관련한 복지, 경제, 안보, 환경, 외교 차원의 다양한 이해관계도 조명한다. 특히 유권자들의 이견이 두드러지지 않는 ‘합의 이슈’인 환경 문제와 그 속에서 찬반양론이 첨예한 ‘대립 이슈’로서의 원자력 문제, 정작 선거 과정에서는 표면적으로만 다뤄져 온 에너지 정책의 역사, ‘탈원전’과 ‘탈핵’ 등에서 독해되는 이념적 방향성과 그로 인한 정치사회적 고려 사항들, 재생에너지 원조 정책에서 두드러지는 산업과 기업의 각종 이해들을 접하며 독자들은 에너지 전환 문제를 둘러싼 입체적인 시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채롭고 친절한 에너지 쟁점 스펙트럼
여러 분야의 저자들이 합심해 한 권의 책을 엮어냈다는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에너지 연구, 에너지 산업 분야는 물론 기후, 정치, 환경 분야 등에서 힘을 쏟고 있는 저자들은 각 분야에서 다뤄지는 에너지 쟁점들을 꼼꼼히 살핀다. 전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쟁점의 발단과 전개를 충실히 소개하고 있어 에너지 현황이 궁금한 전문가는 물론, 그간 에너지 쟁점을 독해해본 경험이 많지 않았던 독자들에게도 좋은 입문서가 될 것이다.
지은이
김소희(shkay@climatechangecenter.kr)
덕성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런던대학교 SOAS 개발학 석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전공 박사과정, 현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김연규(YOUN2302@hanyang.ac.kr)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 학사, 터프츠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퍼듀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현 한양대학교 에너지거버넌스센터 센터장
김정원(jwonkim81@gmail.com)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 학사, 시카고대학교 정책학 석사,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정책학 박사, 현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에너지연구소 연구원
류지철(jcryu53@gmail.com)
서울대학교 수학 학사, 서울대학교 통계학 석사, 호주국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천연가스산업연구회 회장, 미래에너지전략연구협동조합 이사
박상철(scpark@kpu.ac.kr)
기센대학교 정치학 박사, 고텐버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교수
박혜윤(hypark911@gmail.com)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 학사,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학 석사·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박희원(phw007@gmail.com)
서울대학교 자원공학 학사·석사·박사, 현 에너지홀딩스그룹 대표
벤저민 소바쿨(Benjamin K. Sovacool)(B.Sovacool@sussex.ac.uk)
존 캐롤대학교 철학·언론학 학사, 버지니아 폴리테크닉주립대학교 과학기술학 석사·박사, 현 서섹스대학교 과학정책연구부 에너지정책학 교수
안희민(statusquo@shinsung.co.kr)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부경대학교 경영학 석사,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협동과정 정책학 박사수료, 현 신성이엔지 전략기획팀 부장
이광호(leekh@stepi.re.kr)
서울대학교 재료공학 학사·석사·박사, 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이소영(soyoung.lee@forourclimate.org)
변호사. 현 사단법인 기후솔루션 부대표, 전력시장감시위원회 위원,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위원
이태동(tdlee@yonsei.ac.kr)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 석사, 워싱턴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정하윤(hayoonj@gmail.com)
이화여자대학교 사학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지역연구협동과정(미국정치 전공) 박사, 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산림사회학연구실 연구원
조정원(cjwsun2007@gmail.com)
국민대학교 중어중문학 학사, 중국인민대학교 국제정치학 석사,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한희진(polhan@pknu.ac.kr)
강원대학교 영어교육학 학사, 노던일리노이주립대학교 정치학 석사·박사, 현 부경대학교 글로벌자율전공학부 교수
한국의 에너지 전환의 과거, 미래, 현재
현재 한국의 에너지 정책 방향은 원자력과 석탄 발전을 대폭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크게 늘리는 흐름 안에 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높아진 원전에 대한 불안감과 파리협정 이후 화석연료 의존을 탈피하려는 범지구적 저탄소화 움직임 등이 반영된 까닭이다. 이러한 정책 방향성은 한국의 에너지 수급 체계를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확보보다는 환경친화적이고 국민의 수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이제 막 에너지 전환 시작 단계에 선 한국의 적절한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구상해보게 한다. 우리나라가 그간 에너지를 어떻게 운용해왔고 어떤 모델로 나아가고 있는지 자세히 설명하는 일을 놓치지 않고 있으며, 노르딕 지역과 독일, 중국 등 ‘에너지 전환 선진국’들의 사례를 꼼꼼히 살피면서 한국이 참고할 수 있는 지점을 짚는다. 또한 에너지 정책과 산업을 둘러싸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이해관계들을 조명하며 한국 에너지 전환 담론의 최전방으로 독자를 안내한다.
국내외 에너지 전환 쟁점의 현주소
에너지 쟁점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 조명
기존의 에너지·환경 도서는 에너지 담론의 큰 흐름과 선진 사례들을 개괄적으로 살피는 차원의 내용이 주류였다. 그러나 이 책은 대규모 중앙집중형 발전소를 필요로 하는 화석연료나 원자력 의존이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했던 점을 분명히 짚으며 결을 달리한다. 소규모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며, 실제로 국내외에서 시행된 여러 사례를 통해 지역 단위 에너지 시스템의 의미와 진행 상황을 짚고 있기 때문이다. 원전하나줄이기와 에너지 자립 도시에 관한 자세한 논의,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면서 소비하는 에너지 프로슈머 수익 모델, 연료전지 모델을 다루는 부분에서 독자들은 에너지 전환 흐름의 생생한 현주소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또한 정당들의 에너지 공약 변천사와 현황을 알아보고, 재생에너지 개발원조 정책의 현황을 검토하는 등 에너지와 관련한 복지, 경제, 안보, 환경, 외교 차원의 다양한 이해관계도 조명한다. 특히 유권자들의 이견이 두드러지지 않는 ‘합의 이슈’인 환경 문제와 그 속에서 찬반양론이 첨예한 ‘대립 이슈’로서의 원자력 문제, 정작 선거 과정에서는 표면적으로만 다뤄져 온 에너지 정책의 역사, ‘탈원전’과 ‘탈핵’ 등에서 독해되는 이념적 방향성과 그로 인한 정치사회적 고려 사항들, 재생에너지 원조 정책에서 두드러지는 산업과 기업의 각종 이해들을 접하며 독자들은 에너지 전환 문제를 둘러싼 입체적인 시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채롭고 친절한 에너지 쟁점 스펙트럼
여러 분야의 저자들이 합심해 한 권의 책을 엮어냈다는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에너지 연구, 에너지 산업 분야는 물론 기후, 정치, 환경 분야 등에서 힘을 쏟고 있는 저자들은 각 분야에서 다뤄지는 에너지 쟁점들을 꼼꼼히 살핀다. 전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쟁점의 발단과 전개를 충실히 소개하고 있어 에너지 현황이 궁금한 전문가는 물론, 그간 에너지 쟁점을 독해해본 경험이 많지 않았던 독자들에게도 좋은 입문서가 될 것이다.
지은이
김소희(shkay@climatechangecenter.kr)
덕성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런던대학교 SOAS 개발학 석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전공 박사과정, 현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김연규(YOUN2302@hanyang.ac.kr)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 학사, 터프츠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퍼듀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현 한양대학교 에너지거버넌스센터 센터장
김정원(jwonkim81@gmail.com)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 학사, 시카고대학교 정책학 석사,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정책학 박사, 현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에너지연구소 연구원
류지철(jcryu53@gmail.com)
서울대학교 수학 학사, 서울대학교 통계학 석사, 호주국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천연가스산업연구회 회장, 미래에너지전략연구협동조합 이사
박상철(scpark@kpu.ac.kr)
기센대학교 정치학 박사, 고텐버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교수
박혜윤(hypark911@gmail.com)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 학사,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학 석사·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박희원(phw007@gmail.com)
서울대학교 자원공학 학사·석사·박사, 현 에너지홀딩스그룹 대표
벤저민 소바쿨(Benjamin K. Sovacool)(B.Sovacool@sussex.ac.uk)
존 캐롤대학교 철학·언론학 학사, 버지니아 폴리테크닉주립대학교 과학기술학 석사·박사, 현 서섹스대학교 과학정책연구부 에너지정책학 교수
안희민(statusquo@shinsung.co.kr)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부경대학교 경영학 석사,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협동과정 정책학 박사수료, 현 신성이엔지 전략기획팀 부장
이광호(leekh@stepi.re.kr)
서울대학교 재료공학 학사·석사·박사, 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이소영(soyoung.lee@forourclimate.org)
변호사. 현 사단법인 기후솔루션 부대표, 전력시장감시위원회 위원,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위원
이태동(tdlee@yonsei.ac.kr)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 석사, 워싱턴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정하윤(hayoonj@gmail.com)
이화여자대학교 사학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지역연구협동과정(미국정치 전공) 박사, 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산림사회학연구실 연구원
조정원(cjwsun2007@gmail.com)
국민대학교 중어중문학 학사, 중국인민대학교 국제정치학 석사,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한희진(polhan@pknu.ac.kr)
강원대학교 영어교육학 학사, 노던일리노이주립대학교 정치학 석사·박사, 현 부경대학교 글로벌자율전공학부 교수
목차
발간사. 『한국의 에너지 전환』 출간을 앞두고 _김연규
서론. 한국형 에너지 전환 모델의 개발 _김연규·류지철
1부 | 주요 국가의 에너지 전환 사례
1장. 노르딕 국가들의 저탄소 에너지 전환에 관한 경합, 우연성, 정의의 문제 _벤저민 소바쿨
2장. 독일의 에너지 전환 _박상철
3장. 중국의 에너지 전환 _조정원
2부 | 한국 에너지 전환의 쟁점
4장. 에너지 전환과 분산형 에너지 거버넌스 _한희진
5장. 전환이론과 다층적 관점으로 본 한국의 에너지 전환 _이광호
6장.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한 개발 행위 허가의 제문제 _이소영
7장. 에너지 전환과 천연가스 산업 전략 _박희원
3부 | 에너지 전환의 정치경제적 의의
8장. 에너지 전환과 정당 _정하윤
9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분야 공적개발원조 _박혜윤
10장. 도시의 에너지 전환 정책 _이태동
11장. 에너지 프로슈머 활성화를 통한 민간의 참여 확대 _김소희
12장. 기술 정책 관점에서 바라본 발전용 연료전지 산업 _안희민
13장. 서울시 에너지 자립 마을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고찰 _김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