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탄소시장 인베스트: 탄소배출권 이론, 가격결정과 파생상품 투자 전략
Carbon market invest
- 저자
- 김태선
- 발행사항
- 서울 : 두드림미디어, 2023
- 형태사항
- 214 p. : 도표 ; 23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50-152)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821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82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시장의 치트키, 탄소에 주목하라!
탄소배출권 이론, 가격결정과 파생상품 투자 전략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앞두고, 유례없이 높은 기온과 갑작스러운 폭우 등 기후의 변화가 우려를 낳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를 체감하게 되는 탓이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산업의 발달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탄소다. 따라서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전 지구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중립(炭素中立)은 전 지구적인 탄소의 순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방법으로 차량과 공장 등에서 화석연료의 사용량 줄이기, 신재생에너지 설비 확충, 습지와 숲 등 탄소흡수원 확대 등이 있다. 탄소배출권거래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도입된 제도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할 의무가 있는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탄소배출거래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은 2015년에 개장을 했다.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시장-메커니즘을 이용한 탄소배출권거래제가 가장 핵심적인 수단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국내 유일의 탄소배출권 시장 애널리스트이며 투자 전략가다. 탄소배출권 이론을 통해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을 이해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전략을 이 책에 담았다. 이제 탄소배출권은 시장의 경쟁력이다. 이 책으로 시장의 경쟁력을 높이자.
2015년 개장한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
시장다운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나가자
지은이는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이 시장다운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나가기로 바라며 이 책을 썼다. 이에 따라 프롤로그에는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을 둘러싼 8대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1대 과제는 경매 제도 개선, 2대 과제는 시장 안정화 조치 개선, 3대 과제는 정보 비대칭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모든 정보를 참여자 모두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4대 과제는 개인 투자자의 시장 참여를 허용하는 것이며, 5대 과제는 장내 탄소배출권 파생상품 도입, 6대 과제는 장내거래 의무화다. 7대 과제는 유상할당을 강화하는 것이고, 마지막 8대 과제는 이월제한제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 과제들이 모두 상호 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글로벌 스탠더드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총 5개의 Part로 구성된 이 책은 Part 01에서 탄소배출권 시장의 개요를 소개한다. Part 02에서는 탄소배출권 수급분석 및 가격결정에 대해 알아본다. Part 03에서는 탄소배출권 위험관리 및 파생상품에 대해 설명한다. Part 04는 탄소배출권의 최적 헤징 전략 수립에 관한 내용이다. Part 05는 탄소배출권 대응 및 투자 전략에 대해 알려준다. 부록으로는 <한국경제신문> 더 머니이스트 필자로 활동 중인 지은이의 탄소배출권 관련 기사를 수록했으며,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을 실었다.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와 함께 탄소배출권이 핫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탄소배출권의 이론, 가격결정과 파생상품 투자 전략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탄소배출권 이론, 가격결정과 파생상품 투자 전략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앞두고, 유례없이 높은 기온과 갑작스러운 폭우 등 기후의 변화가 우려를 낳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를 체감하게 되는 탓이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산업의 발달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탄소다. 따라서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전 지구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중립(炭素中立)은 전 지구적인 탄소의 순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방법으로 차량과 공장 등에서 화석연료의 사용량 줄이기, 신재생에너지 설비 확충, 습지와 숲 등 탄소흡수원 확대 등이 있다. 탄소배출권거래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도입된 제도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할 의무가 있는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탄소배출거래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은 2015년에 개장을 했다.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시장-메커니즘을 이용한 탄소배출권거래제가 가장 핵심적인 수단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국내 유일의 탄소배출권 시장 애널리스트이며 투자 전략가다. 탄소배출권 이론을 통해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을 이해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전략을 이 책에 담았다. 이제 탄소배출권은 시장의 경쟁력이다. 이 책으로 시장의 경쟁력을 높이자.
2015년 개장한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
시장다운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나가자
지은이는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이 시장다운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나가기로 바라며 이 책을 썼다. 이에 따라 프롤로그에는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을 둘러싼 8대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1대 과제는 경매 제도 개선, 2대 과제는 시장 안정화 조치 개선, 3대 과제는 정보 비대칭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모든 정보를 참여자 모두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4대 과제는 개인 투자자의 시장 참여를 허용하는 것이며, 5대 과제는 장내 탄소배출권 파생상품 도입, 6대 과제는 장내거래 의무화다. 7대 과제는 유상할당을 강화하는 것이고, 마지막 8대 과제는 이월제한제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 과제들이 모두 상호 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글로벌 스탠더드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총 5개의 Part로 구성된 이 책은 Part 01에서 탄소배출권 시장의 개요를 소개한다. Part 02에서는 탄소배출권 수급분석 및 가격결정에 대해 알아본다. Part 03에서는 탄소배출권 위험관리 및 파생상품에 대해 설명한다. Part 04는 탄소배출권의 최적 헤징 전략 수립에 관한 내용이다. Part 05는 탄소배출권 대응 및 투자 전략에 대해 알려준다. 부록으로는 <한국경제신문> 더 머니이스트 필자로 활동 중인 지은이의 탄소배출권 관련 기사를 수록했으며,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을 실었다.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와 함께 탄소배출권이 핫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탄소배출권의 이론, 가격결정과 파생상품 투자 전략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목차
프롤로그
Part 01 탄소배출권 시장 개요
01 탄소배출권 시장 현황
02 탄소배출권 주요제도
03 유럽 탄소배출권 시장 비교
Part 02 탄소배출권 수급분석 및 가격결정
01 수요 요인
02 공급 요인
03 탄소배출권 이론과 가격결정
04 전력 및 에너지 시장 투자 지표
Part 03 탄소배출권 위험관리 및 파생상품
01 탄소배출권 위험관리 필요성
02 탄소배출권 파생상품
03 탄소배출권 선물거래
Part 04 탄소배출권 최적 헤징 전략 수립
01 탄소배출권 최적 헤징 전략
02 탄소배출권 선물시장 이론가격
03 탄소배출권 스왑시장 이론가격
04 탄소배출권 레포거래 전략
Part 05 탄소배출권 대응 및 투자 전략
01 탄소배출권 자산-부채관리 전략
02 이월대응 전략 및 차입대응 전략
03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와 위험관리 전략
04 공급인증서 시장과 탄소배출권 시장 연계 전략
참고문헌
부록
1. <한국경제신문> 더 머니이스트 김태선의 탄소배출권
2.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