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Taking sides 3Taking sides : clashing views on global issues

당신의 선택은? 글로벌 이슈

발행사항
서울 : 양철북, 2015
형태사항
695p. ; 23cm
총서사항
Taking sides ; 3
키워드
세계,, 국제사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587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58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편(Side)을 정하라’는 의미의 ‘Taking Sides’ 시리즈는 각 분야의 최신 이슈들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가진 두 글을 비교해 읽을 수 있는 ‘쟁점과 토론’의 정수다. 미국 유명 대학 교수들이 해당 분야에서 가장 첨예한 이슈 20여 가지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지닌 논문, 칼럼, 연설문 들에서 각 두 편을 엄선하고, 각 이슈에 대한 배경지식, 더 읽을거리를 덧붙였다.

애덤 스미스와 카를 마르크스 같은 고전 경제학자들부터 밀턴 프리드먼과 마크 R. 크레이머 같은 현대 경제학자들까지 세계 최고의 석학과 전문가들이 등장에 격렬한 논쟁을 벌인다. 1)현대 사회가 직면한 ‘쟁점과 과제’를 다루고 있고 2)사회 문제를 논제로 만드는 방법(프레임 짜기)의 모범을 보여주며 3)신념이 아닌 논거에 바탕한 논쟁-진짜 논쟁의 방법을 담고 있어 대학에서뿐만 아니라 정치나 경제계에서도 널리 사랑받고 있다.

3권은 우선 글로벌 이슈의 출현, 세계화라는 현상을 맞은 새 시대, 9.11 테러, 최근의 세계적인 경제 위기 등 일련의 사건을 대하는 국제사회의 반응을 살펴본 후 20세기의 처음 10년을 특징지은 데 이어 다시 역사의 전면에 부상한 러시아를 소개하는 머리글로 시작한다. 1부의 중심 무대는 인구가 차지한다. 인구는 그 자체로 대표적인 글로벌 이슈일 뿐만 아니라 나머지 대부분의 글로벌 이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부에서는 세계의 자원과 자원 개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3부는 최근의 세계적인 경제 위기뿐만 아니라 전염병과 인신매매처럼 서로 공통점은 없지만 국경을 초월해, 갈수록 영향력이 확대되는 문제를 설명하는 데 할애했다. 4부에서는 냉전과 9.11을 겪은 이후 세계는 핵 9.11을 향해 가고 있는가, 또 중국은 차세대 초강대국으로 떠오를 것인가와 같은 새로운 안보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목차
이 책에 대하여 머리말 1부 세계 인구 Issue 1 인구 증가보다 출산율 감소가 오늘날의 중요한 세계 인구문제인가? [그렇다] 마이클 마이어, 《출산율 저하》 [아니다] 대니얼 니렌버그, 미아 맥도널드, 《현재까지의 인구 동향》 Issue 2 개발도상국의 인구 증가를 억제하는 정책에 다시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인가? [그렇다] 테리 M. 레딩, 《인구문제 : 세계의 생존에 이르는 열쇠》 [아니다] 스티븐 W. 모셔, 《맥나마라의 실책 : 가족계획 재정 지원》 Issue 3 선진국의 노령화 추세는 심각한 문제인가? [그렇다] 피트 엔가디오, 캐럴 매틀랙, 《세계의 노령화》 [아니다] 랜드코퍼레이션, 《인구 내파 Issue 4 세계의 도시화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로 이어질까? [그렇다] 디비야 압하트, 샤우너 다이닌, 탬신 존스, 짐 모타빌리, 레베카 샌본, 케이트 슬롬코프스키, 《초대형 도시는 몸살을 앓고 있다》 [아니다] 유엔인구기금, 《세계의 상태 2007 : 도시 성장의 가능성 해부》 2부 세계의 자원과 환경 Issue 5 환경주의자들의 말은 과장인가? [그렇다] 로널드 베일리, 《녹색 신화를 폭로하다》 [아니다] 데이비드 피멘틀, 《회의적 환경주의자를 회의하며》 Issue 6 세계는 주요 에너지원을 계속 석유에 의존해야 하는가? [그렇다] 난센 G. 살레리, 《이 세상에 석유는 많다》 [아니다] 레스터 R. 브라운, 《세계 석유 생산은 정점에 이르고 있는가?》 Issue 7 가까운 미래에 세계는 스스로를 먹여 살릴 수 있을까? [그렇다] 스티븐 렌드먼, 《세계 식량 위기》 [아니다] 비 윌슨, 《마지막 한 입 : 세계 식량 체계는 붕괴하고 있는가?》 Issue 8 지구온난화의 위협은 실재하는가? [그렇다] 데이비드 비엘로, 《과학의 현황 : 최악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넘어》 [아니다] 리처드 S. 린드젠, 《지구온난화는 없다》 Issue 9 세계의 물 부족 위협은 실재하는가? [그렇다] 마크 클레이턴, 《물은 ‘새로운 석유’로 떠오르고 있는가?》 [아니다] 비외른 롬보르, 《물》 3부 팽창하는 세계의 힘과 움직임 Issue 10 국제사회는 마약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그렇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 《2007 세계 마약 보고서》 [아니다] 이선 나들먼, 《마약》 Issue 11 국제사회는 세계적인 유행병에 대처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그렇다] WHO 세계 인플루엔자 프로그램, 《조류독감의 확산 위협에 대응해》 [아니다] H. T. 고랜슨, 《유행병 입문》 Issue 12 인신매매를 근절할 수 있는 전략은 존재하는가? [그렇다] 재니 추앙, 《근시안을 뛰어넘어 : 세계 경제에서의 인신매매 예방》 [아니다] 디나 프란체스카 헤인스, 《혹사, 학대, 억류, 강제 이송 : 인신매매 피해자를 보호하고 인신매매범 처벌을 보증하는 이민 혜택의 확대》 Issue 13 세계화는 국제사회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그렇다] 로빈 메러디스, 수잰 호퍼, 《세계화는 왜 좋은가?》 [아니다] 스티븐 웨버, 나즈닌 바머, 매슈 크로니그, 엘리 래트너, 《세계화가 나쁜 이유》 Issue 14 세계 경제 위기는 자본주의의 실패를 의미하는가? [그렇다] 가츠히토 이와이, 《자본주의의 타고난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세계 금융 위기》 [아니다] 다니 로드릭, 《개봉박두 : 자본주의 3.0》 4부 세계 안보의 새로운 딜레마 Issue 15 우리는 새로운 냉전기에 들어섰는가? [그렇다] 스티븐 F. 코헨, 《미국의 새로운 냉전》 [아니다] 스티븐 코트킨, 《새로운 냉전 신화》 Issue 16 우리는 핵 9·11을 향해 가고 있는가? [그렇다] 브라이언 마이클 젠킨스, 《테러리스트도 전략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 뭄바이 테러의 교훈》 [아니다] 그레이엄 앨리슨, 《위험한 유산을 묻어야 할 때 ?1부》 Issue 17 종교 및 문화 극단주의는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가? [그렇다] 후세인 솔로몬, 《종교 극단주의 시대의 세계 안보》 [아니다] 시블리 텔하미, 《미 하원 군사위원회에서의 증언 : 테러리즘과 종교 극단주의의 관계》 Issue 18 핵 이란은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가? [그렇다] 미국 하원 정보특별상임위원회 산하 정보정책소위원회, 《전략적 위협으로서의 이란 : 미국의 정보전》 [아니다] 미국 국가정보국 국장실,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 능력》 Issue 19 중국은 차세대 초강대국으로 떠오를 것인가? [그렇다] 슈지 야오, 《중국은 정말 차세대 초강대국이 될 수 있을까?》 [아니다] 프래넙 바드헌, 《중국과 인도가 초강대국? 너무 빠르다》 Issue 20 국제사회는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능력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는가? [그렇다] 유엔, 《기후가 바뀌는 지역에서의 위험과 빈곤 : 좀 더 안전한 내일을 위해 오늘에 투자하라》 [아니다] 데이비드 로스코프, 《재난 예방 : 아이티 지진 같은 대참사는 단지 예측 가능한 사건이 아니라 예방 가능한 사건이다》 이 책을 만든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