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에너지 데이터 경영론

Energy data management

저자
송민정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0
형태사항
342 p. : 도표 ; 25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45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45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머리말

경제사회적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높은 에너지 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환경적으로는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저감 노력에 따라 재생에너지와 분산자원의 도입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홈 및 도시 차원에서 에너지 효율화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또한, 기술적으로는 중앙집중형 발전에서 분산형 발전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따라 수급 예측의 어려움이 생기며, 다양한 에너지 자원의 통합과 운영 최적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자동차(EV) 등 분산 에너지 자원들이 소비자에게 접근 가능해져 에너지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기 때문에 기술적 지원은 점점 더 요구된다. 선진 각국에서는 에너지정책과 환경정책, 산업정책 간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으며, RE100(100% 재생에너지 조달) 캠페인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본 교재는 이러한 에너지 환경에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산업 경쟁력의 원동력이 되는 데이터에 주목하여, 에너지 관련 데이터에 대한 이론적 개념과 이의 실제 적용에 관련된 최신의 내용을 담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교재는 ‘에너지데이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정의에 대해 선뜻 답하기는 쉽지 않으나, 데이터는 단순히 데이터 양만 많은 차원이 아닌 가치 있는 데이터를 말하며, 에너지데이터는 ‘에너지와 관련된 사용 목적’으로 방대하게 수집된 가치 있는 데이터이다.
본 교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부는 ‘에너지데이터의 개관’으로서 에너지데이터의 등장배경, 이해, 기반 성과, 그리고 에너지데이터의 가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는 ‘에너지데이터의 영향’으로서 에너지데이터와 산업, 에너지데이터와 환경, 그리고 에너지데이터와 정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부는 ‘에너지데이터 비즈니스’로서 에너지데이터 분석의 진화, 에너지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그리고 에너지데이터와 IT 인프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4부는 ‘에너지데이터 관리’로서 에너지데이터와 인력양성, 에너지데이터와 투자, 그리고 에너지데이터와 규제혁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교재는 에너지 산업에 에너지데이터가 잘 활용되기를 바라며 에너지와 데이터의 연관성을 찾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우선은 에너지시장 개방 및 공정한 산업경쟁 여건 조성 정책 마련에 데이터가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전력 판매시장 개방을 위한 전제조건이 전력 수요 예측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에너지 수급 운영시스템 개혁을 위해 데이터가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하루 전 시장뿐만 아니라 당일시장, 더 나아가 실시간 시장 및 보조서비스 시장의 운영 강화를 통해 특히 재난 등의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 셋째는 에너지 요금체계 합리화 및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창출을 위해 데이터가 사용되기를 희망한다. 기존의 과도한 요금규제에서 시장개방에 따른 점진적 요금 자유화로 가려면 객관적 근거 자료가 반드시 필요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간대별 비용 반영을 통한 차별화된 요금제와 다양한 요금메뉴 제공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관련 분야가 너무도 빠르게 발전하고 에너지 관련 정책 또한 급변하고 있어 출판 시점에 본 교재에서 누락되었거나 설명이 미흡한 부분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점들에 대해서는 독자 여러분들의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린다. 본 교재를 출판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과 배려를 해주신 박영사 안종만 사장님과 김한유, 박송이, 배규호 님 등 임직원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또한, 무엇보다도 귀한 시간을 할애하여 감수를 허락해 주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일영 교수님과 카이스트의 김장겸 박사과정생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본 교재가 한국을 고도의 에너지 선진국으로 견인케 하는 데 일조하기를 소망하며, 이 책을 에너지데이터 관련 전문가들에게 바치고자 한다.

송민정
목차
PART 01_에너지데이터의 개관 제1장 에너지데이터의등장배경 제1절 에너지데이터의 정책적 등장배경 9 제2절 에너지데이터의 경제적 등장배경 11 제3절 에너지데이터의 사회적 등장배경 13 제4절 에너지데이터의 기술적 등장배경 15 제2장 에너지데이터의이해 제1절 에너지데이터의 개념 23 제2절 에너지데이터의 유형 26 제3절 에너지데이터의 기술 요건 28 제4절 에너지데이터의 발전 동인 38 제3장 에너지데이터 기반 성과 제1절 데이터 기반 성과 범위 45 제2절 에너지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47 제3절 에너지데이터 기반 제어 49 제4절 에너지데이터 기반 최적화 54 제5절 에너지데이터 기반 자율 57 제4장 에너지데이터의가치 제1절 데이터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 65 제2절 에너지데이터의 기술적 가치 69 제3절 에너지데이터의 비즈니스적 가치 75 제4절 에너지데이터의 산업적 가치 85 PART 02_에너지데이터의 영향 제5장 에너지데이터와산업 제1절 에너지데이터 플랫폼과 산업 개관 99 제2절 에너지데이터와 스마트홈 산업 104 제3절 에너지데이터와 스마트카 산업 110 제4절 에너지데이터와 스마트시티 산업 120 제6장 에너지데이터와환경 제1절 에너지데이터와 환경 개관 137 제2절 에너지데이터와 주거 환경 139 제3절 에너지데이터와 교통 환경 146 제4절 에너지데이터와 기후 환경 147 제7장 에너지데이터와정책 제1절 에너지데이터와 정책 개관 157 제2절 에너지데이터와 에너지 전환 정책 159 제3절 에너지데이터와 산업경쟁 정책 164 제4절 에너지데이터와 수요관리 정책 168 PART 03_에너지데이터 비즈니스 제8장 에너지데이터 분석의 진화 제1절 에너지데이터 분석 개관 177 제2절 에너지데이터 분석 1.0 179 제3절 에너지데이터 분석 2.0 183 제4절 에너지데이터 분석 3.0 185 제9장 에너지데이터와비즈니스 제1절 에너지데이터 비즈니스 개관 193 제2절 에너지 자원 비즈니스 196 제3절 에너지 발전 비즈니스 203 제4절 에너지 송배전 비즈니스 211 제5절 에너지 수요자 비즈니스 214 제10장 에너지데이터와IT(ICT) 인프라 제1절 에너지 IT(ICT) 인프라 개관 229 제2절 에너지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234 제3절 에너지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237 제4절 에너지데이터와 인공지능 241 제5절 에너지데이터와 블록체인 246 PART 04_에너지데이터 관리 제11장 에너지데이터와인력양성 제1절 데이터 인력양성 개관 265 제2절 데이터 전문가 역량 268 제3절 데이터 교육과정 개관 272 제4절 에너지데이터 교육과정 277 제12장 에너지데이터와투자 제1절 국가의 에너지데이터 전략 285 제2절 기업의 에너지데이터 활용 297 제3절 에너지데이터의 자산화 투자 303 제4절 에너지데이터의 개방화 투자 307 제13장 에너지데이터와규제혁신 제1절 데이터거버넌스 규제혁신 개관 319 제2절 양질의 에너지데이터 활용 321 제3절 에너지데이터 클라우드 활성화 326 제4절 개인 에너지데이터 안전 활용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