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石油流通 50年史: 協會 50年

발행사항
서울 : 한국석유유통협회 50년사편찬팀, 2006
형태사항
507 p. : 삽화(일부천연색), 계보, 도표, 초상 ; 27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자료실P427605정리중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P427605
    상태/반납예정일
    정리중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발간사 = 4 축사 = 6 역대 회장 및 임원 = 8 사진으로 보는 석유유통 50년, 협회 50년 = 25 제1부 총설 제1장 석유와 석유산업 = 56 1. 석유의 정의와 단위 = 56 2. 석유의 특징 = 57 3. 석유산업의 특성 = 58 1) 제품차원의 특성 2) 경영차원의 특성 제2장 국제 석유산업의 개황 = 62 1. 국제 석유산업의 발자취 = 62 1) 메이저 시대에서 OPEC 시대로 = 62 2) 오일쇼크에서 걸프전쟁까지 = 64 3) 시장경제와 석유가격 = 65 2. 국제 석유산업의 위상과 석유시장 개황 = 67 1) 국제 석유산업의 위치 2) 세계 석유수요 전망 제3장 국내 석유산업의 개황 = 70 1. 국내 석유산업의 발자취 = 70 1) 석유사업법 제정과 1, 2차 석유위기 2) 석유시장 규제완화와 자유화 정책 2. 국내 석유산업의 위상과 석유시장 개황 = 74 1) 국내 석유산업의 위치 2) 국내 석유의 수급과 유통 3) 국내 석유유통 제4장 석유유통산업의 개황 = 78 1. 석유제품의 유통구조 현황 = 78 1) 석유통 체계 2) 석유제품 유통 및 판매형태 제5장 석유가격 정책과 세금현황 = 80 1. 가격정책의 변화 = 80 1) 유가연동제 2) 유가자유화 실시 2. 석유류 세제 및 세금현황 = 83 제2부 국내 석유산업과 석유유통 50년 제1장 석유대리점의 등장과 국내 석유유통산업의 태동 = 88 1. 스탠다드 석유의 독점과 일본석유와 러시아석유의 각축 = 88 2. 1910년대의 석유사정 = 90. 3. 1920년대의 석유사정 = 91 4. 조선석유업령의 제정 = 93 5. 일제시대 조선석유의 설립 = 94 6. 석유거래의 통제와 일제 때 조선의 석유유통 조직 = 96 7. 미군정과 석유통제배급시대-대한석유협회의 탄생 = 99 제2장 석유산업의 근대화 및 석유유통산업의 성립 = 103 1. 전쟁중의 석유공급체제와 1954년의 석유파동 = 103 2. KOSCO 협정과 배급통제 시대 = 105 3. 석유배정시대와 정유공장의 건설 = 108 4. 민간주도의 제2정유공장 건립과 자유판매제 실시 = 114 제3장 석유 및 석유유통산업의 성장 = 119 1. 국내 정유산업의 RUSH와 석유사업법 제정 = 119 2. 제1,2차 석유파동과 중동국가들의 석유자원 국유화 = 122 3. 국제 석유시장의 구조변화와 국제 석유현물시장 출현 = 126 4. 동력자원부 발족과 유통정책의 변화 = 129 5. 휘발유 상표전쟁과 협회 통폐합 = 132 제4장 무한경쟁시대와 유가자유화 = 135 1. UR협상과 단계적 자율화정책 = 135 2. 산업자원부의 출범과 석유사업법 전면개정 = 138 3. 유가자유화 실시와 직거래 허용 = 141 4. 유사석유제품의 창궐과 유류구매카드제 시행 = 144 5. 석유제품 선물시장과 수평거래 문제 = 145 제3부 한국석유유통협회 50년 제1장 협회의 설립과 기반구축 = 148 1. 협회설립의 배경 및 구상 = 148 2. 석유배정 업무와 협회의 역할 = 158 3. 과도기 박만희 이사장 체제와 유공의 설립 = 168 제2장 통합협회 시대와 판매경쟁 = 182 1. 대한석유협회와 호남정유협회의 통합 = 182 2. 석유시장 판매경쟁과 정유사 직매 논란 = 192 3. 두 차례의 석유위기와 성실보고회원조합 = 195 4. 정유회사의 판매부문 진출과 직영대리점 문제 = 202 5. 유사단체 통폐합과 탱크로리 혼적가능 = 204 제3장 한국석유ㆍ가스유통협회 시대 = 207 1. 3.14조정명령과 공정거래법 = 207 2. 농협면세유 문제와 직거래문제 = 210 3. 소득표준율과 대리점 마진 = 212 4. 한국석유ㆍ가스유통협회의 해산과 동자부살리기 = 213 제4장 (사)한국석유유통협회와 21세기 = 217 1. 자율화정책의 시동과 석유판매업 진입장벽 철폐 = 217 2. 유가자유화와 국내석유산업 완전개방 = 219 3. 과도한 세금비중과 거래징수비용 세액공제 건의 = 222 4. 가짜휘발유 문제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 = 228 5. 농협면세유 공급제도의 불합리성과 협회의 대응 = 229 6. 탱크로리 관련규제 오랜 협상끝에 제도개선 이뤄내 = 236 7. 협회 업적과 성과들 = 239 1) 위험물시설 정기검사 이중규제 철폐 2) 중소기업 범위를 상향조정하여 대리점 대부분이 중소기업에 해당 3) 석유제품 유통질서 확립에 적극 동참 4) 협회 전용사무실 마련 5) 그 밖의 협회 업적들 제4부 국내 석유유통산업의 향후 과제와 협회의 역할 제1장 새로운 도던에 직면한 국내 석유산업의 과제 = 244 1. 기회를 제공하는 글로벌 환경변화 = 245 2. 치열한 생존경쟁의 新고유가 시대 = 246 3. 선진국형 저성장 석유소비 구조의 정착 = 248 4. 석유대체연료 시대 본격 개막 = 249 5. 끝나지 않은 유사석유제품과의 전쟁 = 251 제2장 치열한 경쟁속의 생존을 위한 석유유통산업의 대응과제 = 255 1. 석유수출입 자유화의 희생양이 된 석유유통산업 = 255 2. 공급자 처벌조항 신설과 사후관리가 필요한 상표표시제 = 258 3. 석유유통시장의 마지막 보루, 수평거래 금지 = 261 제3장 위기대응능력이 필요한 석유정책과제 = 263 1. 석유비축 문제 = 263 2. 원유도입선 다변화 = 265 3. 석유위기 대응전략 = 267 제4장 '위기를 기회로' 석유유통협회의 역할 및 과제 = 268 1. 협회의 역할과 위상 = 268 2. 협회의 향후 과제 = 269 3. 석유대리점의 변화와 협회의 미래 방향 = 271 부록 제1장 협회 현황 및 활동사항 = 274 Ⅰ. 정관 Ⅱ. 협회 기구와 사무국 및 지구회 현황 Ⅲ. 정유사 소개 Ⅳ. 회원사 소개 Ⅴ. 역대 회원 현황 Ⅵ. 역대 회장단 및 임원 현황 Ⅶ. 공로패 및 감사패 수여현황 Ⅷ. 대정부 건의 현황 Ⅸ. 간행물 발간현황 제2장 석유유통 통계 = 398 Ⅰ. 석유제품 일반 Ⅱ. 석유제품 가격 및 마진현황 Ⅲ. 석유제품 생산ㆍ소비현황 Ⅳ. 석유 유통단계별 판매현황 Ⅴ. 세제 등 기타 현황 제3장 석유유통 및 협회 연표 = 452
주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