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68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68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68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6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된 아랍권의 민주화 운동이 중동 북아프리카(MENA) 지역의 정치 사회적 변화를 불러 일으키는 기폭제가 되고 있다,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에서의 시민혁명 성공에 고무되어 지리아, 바레인 등 주변국에서의 민주화 요구가 거세어지며 MENA 지역의 정정불안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1년 말 이란의 핵개발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제재 움직임과 이에 따른 호르무즈해협 폐쇄 경고 등 MENA 지역의 정벙불안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MENA 지역의 일일 석유생산량은 25백만 배럴로 세계 석유공급의 36%를 차지하며, 액화천연가스(LNG)는 전 세계 공급의 44%인 130Bcm을 수출하고 있다. 이렇듯 MENA 지역은 세계 석유가스 공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공급국이 밀집되어 있으며, 유사한 정치체제와 경제사회적 문제를 공유하기 때문에 한 국가의 불안요인이 비단 그 국가에만 국한되지 않고 주변국에도 파급될 가능성이 높다.
중동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MENA 지역에 대한 세계의 석유가스 공급의존도를 감안할 때, 민주화 시위 확산 및 이란 핵사태 등 MENA 지역의 정정불안 상황과 석유가스 공급에 대한 그 파장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MENA 지역 국가들이 세계 석유가스 공급에서 차지하는위상을 개관하고, 정정불안의 지속 및 이란 사태와 관련한국제 석유가스 시장의 영향을 살펴본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MENA 국가의 석유‧가스 현황과 최근 상황
1. 중동(ME) 각국의 석유‧가스 현황과 최근 경제상황
가. 사우디아라비아
나. 이란
다. 이라크
라. 쿠워이트
마. 카타르
바. 오만
사. UAE
아. 예멘
자. 시리아
차. 요르단
카. 바레인
2. 북아프리카(MENA) 각국의 석유‧가스 현황과 최근 경제상황
가. 알제리
나. 리비아
다. 이집트
라. 튀니지
제3장 MENA 지역의 정정불안 요인과 석유‧가스시장에 대한 영항
1. '아랍의 봄' 파급과 각국의 대책 및 영향
가. 종파 및 지정학적 요인에 의한 파급 가능성
나. 각국의 대책
다. 투자에 미치는 영향
2. 이란 사태와 석유시장의 영향
가. 이란 경제제재의 개요 및 배경
나. 이란의 석유산업
다. 석유 수출
라. 추가 경제제재와 고려요인
마. 호르무즈해협 봉쇄 가능성 및 영향
바. IEA 전략비축유 방출
사. 대이란 추가 경제제재에 대한 석유시장 영향 전망
제4장 종합 및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