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8-03
에너지절약 정보유형의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영향 분석
- 연구책임자
- 임기추
- 연구참여자
- 허경옥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 형태사항
- iv v vii 122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08-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5-102)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847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847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84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847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따라서, 에너지절약의식 제고 및 에너지절약행동의 촉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몇가지 방안을 접근할 수 있다
첫째, 보다 바람직한 에너지절약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에너지절약 정책적 측면에서의 실천전략, 즉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에너지절약 정보제공을 통한 실천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에너지소비자의 소비행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
한 에너지절약의식이나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교육적 측면에서의 실천전략, 즉 에너지소비자의 사회적인 책임의식 제고, 다양한정보에 대한 정확한 활용능력 제고를 위한 대책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부문 에너지절약의식 및 행동관련 영향요인 분석결과
제공, 이에 대한 조사방법론 구축 등과 같은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에 의거하여 가정부문 생활양식의 유형 도출에 의한 에너지절약의식 및 행동의 영향 분석과 가정부문 에너지절약 정보제공을 고려한 에너지 절약의식 및 행동의 영향 분석을 시도한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가정부문 에너지절약의식 및 행동관련 첫 탐색적 분석을 위한 전국 규모의 조사 가능성 및 접근 용이성의 우선 고려로 전력 및 가스 소비량에 대한 조사결과 한계점이 노출되었다. 향후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냉난방도일 고려, 요금징수상의 한계 등의 조사결과를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향후 연구과제는 먼저, 가정부문 고효율기기 선택 행동에 관한 에너지 절약의식 및 행동 요인분석, 둘째로 가정부문 에너지절약행동 메뉴 작성을 위한 심층적 조사 분석, 셋째 가정부문 에너지절약관련 세부적 생활양식 유형별 에너지소비량 영향 분석 연구 등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Ⅱ. 에너지절약 정보관련 개념 및 선행연구사례
1. 에너지절약 정보관련 개념 및 정의
가. 에너지절약
나. 에너지절약 정보
다. 에너지절약 정보유형
라.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마. 에너지소비의식
바. 에너지소비행동
2. 선행연구사례
가. 국외 주요 연구동향
나. 국내 주요 연구동향
다. 주요 연구사례
라. 시사점
Ⅲ. 에너지소비 영향분석관련 설문조사 및 분석방법
1. 주요 조사내용
가. 설문조사 목적
나. 에너지절약 정보유형
다. 생활양식 유형
라. 에너지절약의식
마. 정보원천 요인
바. 에너지절약행동
사. 에너지소비량
아. 사회·인구학적 특성, 가족유형 및 주택속성
2. 설문지 구성
3. 표본추출방법 및 자료수집
가. 표본추출방법
나. 자료수집
4. 분석방법
Ⅳ. 에너지절약 정보유형의 에너지소비 영향 분석
1. 조사대상 가구의 일반적 특성
2.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 생활양식 유형별 에너지절약의식 및 행동 분석
가. 생활양식 유형의 도출
나.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차이
다.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집단의 에너지절약의식·행동 및 에너지소비량의 차이
4. 에너지절약 정보유형에 따른 에너지절약의식·행동의 차이 분석
가. 조사대상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에너지 절약의식의 차이
나. 조사대상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에너지 절약행동의 차이
다. 에너지절약 정보유형에 따른 에너지절약의식·행동의 독립표본별 비교
라. 에너지절약 정보유형에 따른 에너지절약의식·행동의 대응표본별 비교
5. 에너지절약 정보유형에 따른 에너지절약의식·행동의 변화 분석
가. 조사대상 가구의 에너지절약의식 영향 요인분석
나. 조사대상 가구의 에너지절약행동 영향 요인분석
다. 에너지절약 정보제공 이후 에너지절약의식의 영향 요인분석
라. 에너지절약 정보제공 이후 에너지절약행동의 영향 요인분석
6. 에너지절약 정보유형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변화 분석
가. 조사대상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차이
나. 에너지절약 정보제공 이후 에너지소비량의 차이
다. 전력과 가스 소비량의 영향 요인분석
Ⅴ. 요약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 요약
2. 정책제언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 록
[ 부록 1 ] 일반 가정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주요 실천사항
[ 부록 2 ] 에너지절약행동관련 설문조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