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자료 09-03
새로운 기후체제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FIIA Towards a new climate regime?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9
- 형태사항
- ii 32 p
- 총서사항
- KEEI 연구자료 09-0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889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889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889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889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핀란드의 국제문제 연구기관인 FIIA(The Finnish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에서 2009년 여름에 코펜하겐 협상을 앞두고 기후변화협상의 주요 당사국(중국, 인도, 일본, 러시아 및 미국)의 입장과 각 당사국이 생각하는 post-2012 체제의 핵심 내용 등을 기후변화협상의 주역인 EU와의 관계 면에서 정리한 보고서인 "Towards a new climate regime?"을 발간하였음. 기후변화협상을 앞 둔 시점에서 EU의 협상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음은 물론 주요 협상 당사국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협상을 준비하는 시기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지만 동 보고서가 2009년 3월 현재 시점에서 정리되었다는 점 때문에 그 이후 변화했을 수도 있는 post-2012 협상에 대한 입장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두고자 함. 이하에서는 동 보고서를 요약?번역하여 정리하고 있음.
□ IPCC의 보고서에 의할 때 지구온난화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질적인 행동이 시급함을 지적할 수 있음. 지구의 평균 온도를 2.0~2.4℃ 증가수준에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2000년 배출수준에서 50~85% 저감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음. 교토의정서에서 부속서 I 국가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감축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나 많은 연구들은 이에 대한 부족을 지적함은 물론 시급한 추가적인 조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음. 미국을 포함하여 최근 높은 경제성장을 보이는 국가들의 참여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안정화에 필연적이란 시각이 일반적인 점을 고려할 때 IPCC가 제시한 농도 수준에 이르기 위해서는 대량 감축과 함께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임.
목차
Ⅰ. 서론
Ⅱ. 코펜하겐 협상에 대한 EU의 입장
Ⅲ. 주요국의 입장
1. 중 국
2. 인 도
3. 일 본
4. 러시아
5. 미 국
6. EU 입장과 다른 주요 배출국의 입장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