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02
석유의존도 변화에 따른 국제유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연구책임자
- 김태헌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90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0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7-90) 수록
- 키워드
- 석유, 석유의존도, 국제유가, 유가충격, oil, oil dependency, oil price, oil price shock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80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81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8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8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국제 석유가격의 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의 연간 유가 상승률은 세계적인 석유파동이 발생하였던 1970년대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은 상승세를 기록하였다. 즉, 국제유가는 2004년∼2008년간 실질가격 기준으로 2.2배 상승하였는데, 이는 제1차 석유파동기(1973년∼1974년)의 3.2배 상승, 제2차 석유파동기(1978년∼1980년) 2.0배 상승에 비견될만한 수준이다. 1970년대에는 국제 원유가격의 급등이 경제성장과 물가 등 거시경제 지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컸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국제원유가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파동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유가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에 대해 기존 연구들은 석유의존도의 하락, 통화정책의 변화, 유가상승의 배경 등 여러 가지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석유의존도 감축을 주요 에너지정책 목표 중에 하나로 삼아왔다. 이에 따라 석유의존도(석유소비/총에너지소비)는 1973년 55%에서 2010년 40%로 하락하였다. 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석유의 비중이 하락하였지만, 수입석탄과 천연가스(LNG)의 비중은 크게 증가하였다. 국제 에너지시장에서 유가상승 시 타에너지원의 가격도 동조성을 보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석유의존도 하락이 얼마나 유가상승의 경제적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는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석유의존도의 차이에 따라 유가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실물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연산일반균형(CGE) 모형을 구축하여, 석유를 비롯한 국제 에너지가격 변동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주요 에너지정책의 목표 중 하나였던 석유의존도 감축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관련 정책의 수립 및 시행에 고려해야 할 정책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유가상승의 경제적 파급력을 통화정책의 측면에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정책의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제2장 에너지경제 지표 분석
1. 국제 석유가격 변동 원인
2. 에너지경제 지표 국제비교
가. 에너지집약도
나. 석유의존도
다. 에너지자립도
제3장 석유의존도와 유가풍격의 경제적 영향
1. 모형: 연산일반균형(CGE) 모형
가. 가계부문
나. 생산부문
다. 생산에서 소비까지의 흐름
라. 수출재와 수입재의 가격에 대한 가정
2. 분석대상: 1980년 vs. 2005년
3. 시나리오 설정
4. 실험결과: 1980년 vs. 2005년
가. 소비자 후생
나. 국내총생산(GDP)
다. 물가상승률
라. 산업별 파급효과
마. 에너지원별 가격변동의 경제적 영향
바. 에너지수급에 대한 영향
5. 에너지수입액 증가의 경제적 부담
6. 실험결과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가. 유가상승의 영향 변화
나. 에너지믹스 변화의 경제적 영향
다. 석유의존도 감축정책 평가
라. 에너지믹스 전망과 시사점
마. 정책적 시사점
제4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