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18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산업 육성 방안
- 연구책임자
- 이성인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109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1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7-109) 수록
- 키워드
- 에너지관리시스템, 에너지관리, 수요관리, 에너지효율, EMS, energy management, DSM, energy efficiency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83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83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8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83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에너지 효율 향상과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정부의 규제 강화, 에너지 비용 부담 증가, 전력 공급 부족 등의 사태로 에너지 소비 절약과 효율 향상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에너지의 절약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도 실효성 있는 체계적인 실천도구가 필요하나 지금까지는 만족할 만한 수단이 제시되지 못했다. 에너지의 절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에너지가 어디서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파악하여 낭비되고 있는 요인과 개선 방안을 찾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 수단으로 에너지 흐름의 모니터링 기능과 제어기능을 제공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이 세계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에너지관리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ICT 기반 모니터링과 제어 기술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집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통합 에너지관리 솔루션이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 EMS 기술의 사용은 EMS 기술의 구축 및 사용 방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EMS의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고 있다. 지금까지 EMS는 에너지 사용현황의 시각화 및 에너지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수요반응(DR), 설비 관리 등 서비스 기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에너지정책은 공급 위주의 정책에서 수요관리정책으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에너지관리 방식도 과거의 매뉴얼에 따른 수동적 에너지관리에서 ICT를 활용한 능동적 에너지관리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이 같은 여건 변화에 맞추어 경제 주체들의 IT기술을 활용한 체계적인 에너지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연구는 기술개발 동향과 기술개발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수행되었고 EMS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에너지관리시스템의 기술동향과 주요국의 기술 및 보급 활성화 정책을 분석하고 국내 EMS 산업 육성 및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방향과 추진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개요 및 시장 전망
1.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개요
가. EMS 정의 및 기능
나. EMS의 구성요소
2. EMS의 종류별 특징과 기술동향
가. HEMS 개요 및 기술동향
나. BEMS 특징과 기술동향
다. FEMS 특징과 기술동향
라. CEMS 개요 및 특징
3. 에너지경영시스템(EnMS) 정의 및 특징
가. 정의 및 개요
나. EnMs(ISO 50001)의 특징
4. 세계 EMS 시장 전망
가. 산업부문 EMS 시장
나. 세계 BEMS 시장
제3장 주요국 에너지관리시스템 정책동향
1. 일본의 EMS 정책
가. 일본의 EMS 설치 보조금 지원 제도
나. 일본의 EMS 기술개발 계획
다. 일본 EMS 연구개발 실증센터 설립
라. 일본의 EMS 실증사업
2. 미국 EMS 정책
가. 에너지효율 주요 목표
나. 에너지효율 지원 강화
다. EMS 실증사례
3. 유럽연합(EU) 주요국의 EMS 정책
가. 유럽연합(EU) Smart-A 프로젝트
나. 독일 EMS 정책
다. 영국 EMS 정책
라. 네덜란드
제4장 국내 EMS 기술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1. EMS 시범 보급사업
2. 국내 EMS 적용 사례 분석
가. 빌딩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나. 공장 에너지관리시스템(FEMS)
제5장 국내 EMS 산업 현황 및 보급 확대 방안
1. 에너지 수요관리 및 EMS 필요성
2. 국내 EMS 산업 현황 및 문제점
가. 국내 EMS 산업 현황
나. 국내 EMS 산업 문제점
3. 국내 EMS 보급 확대 정책제언
가. 규제와 지원체계 정비를 통한 시장 조성
나. 수요자원 시장조성 및 서비스 기업 육성
다. 기술개발 지원 및 공급 기반 확대
라. 체계적인 홍보 및 교육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