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4-03
에너지부문 빅데이터 활용사례 조사 연구
- 연구책임자
- 임재규
- 연구참여자
- 김종익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74 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4-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69-74)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234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23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23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23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 정부는 창조경제를 핵심 국정기조로 설정하고,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으로서의 전환을 통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정보는 공공데이터를 대폭 개방하여 신성장동력 창출을 꾀하고 있다. 그 결과 공공기관 보유정보의 공개가 가속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공공부문에서의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부문에서 빅데이터(Big Data)는 에너지부문과 ICT부문 간의 융합을 가능케 하는 핵심분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에너지수요관리 정책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에너지수요전망 예측력 제고와 증거기반 의사결정체계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빅데이터의 활용에 따라 에너지부문에서 다양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에너지부문에서 공개될 대규모 공공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우선 빅데이터 수집 및 관리기반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에너지부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를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에너지부문 빅데이터 활용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
1. 정의 및 특성
2. 생성원인
3. 빅데이터 활용방안
제3장 주요국 빅데이터 정책현황
1. 해외 정책현황
가. 미국
나. 영국
다. 일본
2. 국내 정책현황
3. 시사점
가. 범정부 추진체계 마련
나. 데이터 개방 확대
다. 공공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라.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기술개발
마.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인력양성
제4장 에너지부문 빅데이터 활용사례
1. 국내사례
가.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 설계
나. 한국석유공사 국내 유가예보 서비스 오피넷
다. 크라우드 BEMS 및 FEMS: SK 텔레콤
라. 한국전력, SG종합운영시스템 및 에너지 컨설팅
2. 해외사례
가. 대규모 설비 고장전조 감시 시스템: 日 NEC, 美 코노코필립스
나. 지능형 교통안내 시스템
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그린버튼
라. 덴마크 베스타스 윈드시스템
제5장 에너지부문 빅데이터 활용가능성
1. 수요관리정책 시행 상의 애로사항
가. 국내 에너지소비통계의 문제점
나. 에너지수요관리 효과 분석의 한계
2. 에너지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기대요인
가. 일반적인 빅데이터 활용 프로세스
나. 세분화된 정책효과분석 가능
다. 인프라 확대 예상: 사물인터넷
라. 인프라 확대 예상: 스마트그리드
마. 공공데이터 공개 확대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