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35

에너지기술 수출산업화 전략연구: 그린카 시장전망과 스마트그리드 연계 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김남일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형태사항
114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35
서지주기
참고문헌(p.103-110)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871대출가능-
자료실P42287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8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8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와 스마트전력망 기술 등 신에너지기술 분야는 최근 들어 눈부신 진보를 보여 주고 있다. 특히 현대화된 전력기술과 ICT기술의 결합으로 차세대 전력망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가 등장했고, 이에 따라 전력산업 자체는 물론이고 지금까지 예상치 못한 새로운 사업영역과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와 전기자동차를 연계하는 스마트수송망 분야가 새롭게 부각되는 이유는 ICT 산업과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의 상대적 강점을 감안할 때, 신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력분야 창조경제의 핵심사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그리드는 전력산업, ICT산업, 배터리, 자동차산업, 건설산업(그린홈, 그린빌딩, 그린시티) 등 각종 산업 간의 융복합을 가능케 하여 산업 간의 경계를 허무는 등 파급효과가 크고 성장 잠재력이 막대하다. 이런 의미를 염두에 두고, 본 보고서에서는 3년에 걸친『에너지기술 수출산업화 전략연구』의 마지막 작업으로서 최근 급속히 부각되 고 있는 그린카와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의 연계전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마트그리드 기술과 전기자동차에 관한 수많은 문헌과 자료, 현장리포트 등을 참고로 하여 좀 더 학술적인 관점으로 이론적·실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특히 현대화된 전력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차세대전력망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기술과 새로운 자동차 혁명을 열고 있는 전기자동차 기술이 어떻게 상호 연계되어 발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출산업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을 모색해 본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었다고 생각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스마트수송 분야 연구의 필요성 2. 본 연구의 초점과 구성 제2장 세계 스마트수송 산업의 동향 및 시장분석 1. 그린카 시장전망과 세계 각국의 동향 2. 스마트그리드 사업전망과 세계 각국의 동향 3. 스마트그리드와 전기자동차의 연계 : 충전인프라 4. 배터리 사업의 전망 제3장 기존의 정부정책 검토 및 작업가설 1. 정부의 그린카 및 스마트그리드 기존 전략 검토 2. 해외진출 전략수립 기본시각(작업가설)의 설정 제4장 그린카-충전소 설치 이론적⦁실증적 분석 1. 치킨-에그문제(Chicken-Egg Dilemma): 협조게임이론 2. 기술혁신이론에 기초한 그린카 - 충전 인프라 실증분석 3. Bass의 확산 모형(Diffusion Model) 제5장 스마트수송 분야 보급 및 해외진출전략 1. 이론적·실증적 분석 결과의 시사점 2. 충전시스템 표준화 전략 3.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비즈니스 모델의 모색 4. ESS, V2G 등 지능형 전력망과의 연계 5.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를 위한 전기요금 제도 개선 6. 정부의 그린카 육성 및 보조금 지원방안 7. 주요선진국의 해외사업 벤치마킹과 한국의 해외진출전략 참 고 문 헌 [부 록]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