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84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85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84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8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과 이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로 과거와 비교해 국가 전반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은 향상되었다. 특히, 도시가스와 같은 에너지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보급되어 왔으며,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대다수 국민은 저렴한 취사・난방 연료인 도시가스를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반면, 경제 성장으로 인한 소득 불균형 심화와 도시가스 이용과 같은 에너지 사용의 접근성 차이로 농어촌 및 저소득층의 에너지 소비 여건은 약화되고 있다. 특히 LPG와 등유는 농어촌 지역을 포함한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에서 취사・난방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료이지만,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도시 지역의 사용연료인 도시가스 및 지역난방보다 가격이 높아 지역 및 계층 간 에너지 복지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에너지 복지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및 소득 차이에 따른 취사・난방용 에너지사용의 형평성 개선을 위한 연구를 선행하여 지역 및 소득계층 간 균형 있는 에너지 복지 증진방안 마련을 위한 지표로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시자료 수준에서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등의 자료를 조사하여 지역별 소득,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 및 가격, 에너지 소비량 등의 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소득분위별 국내 취사난방 에너지 사용의 불평등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및 소외지역(농어촌)의 에너지 복지 증진과 형평성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선행 연구 3
1. 형평성과 누진도 3
2. 수요 탄력성 6
제3장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 현황 9
1. 자료설명 9
2. 기초통계량 및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 현황 10
3. 소득계층별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 현황 분석 14
4. 지역별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 현황 분석 24
제4장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의 불평등도 및 수요 탄력성 분석 33
1. 불평등도 지수 추정 방법론 33
2.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의 불평등도 분석 37
3. 취사・난방 에너지 소비지출의 형평성 개선을 위한 분석 51
4. 저소득층 에너지바우처 지원 정책 분석 66
5. 농어촌 취사・난방 수요의 가격 및 소득 탄력성 분석 68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77
1. 연구 결과 요약 77
2. 정책적 시사점 80
참고 문헌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