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5-09

공동주택의 가구별 난방비 영향 요인 분석

연구책임자
윤태연, 남수현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형태사항
iv v iv 96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5-09
서지주기
참고문헌(p.93-96)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859대출가능-
자료실P42386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85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86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파트 가구의 겨울철 난방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가구에서 이루어지는 난방소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계되었다. 우리나라의 난방시장, 특히 아파트 난방시장의 특수한 환경들로 인해 가구의 난방소비와 관련한 해외의 유사한 연구사례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우선 난방이 필요한 시기가 겨울철 짧은 기간에 나타나기 때문에 가구에서 느끼는 난방비에 대한 부담은 상당하다. 일상적인 에너지 사용에 비해 겨울철 집중되는 난방용 에너지 사용에 대해 가구에서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사용용도’).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대부분 가정에서는 전기장판이나 온풍기와 같은 전기난방기기를 사용한다. 전기기기를 활용하는 보조난방에 대해 가정에서는 주난방 설비와는 다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난방기능’). 마지막으로 가스난방과 지역난방으로 구분되는 아파트 난방방식 역시 가구의 난방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직접 보일러를 가동하는 가스난방과 공동으로 열을 공급받는 지역난방 방식 간에는 근본적인 기술 차이가 존재하며 그 결과 난방을 사용하는 행태 역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난방방식’). 우리나라 아파트 가구의 난방소비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용도, 난방기능, 그리고 난방방식이라는 복합적인 구조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가구의 소비지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가계동향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아파트 가구의 난방소비와 관련한 앞서의 세 가지 물음에 대해 실증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범위 및 목적 3 제2장 선행 연구 7 제3장 가구의 겨울철 난방비 자료 15 1. 「가계동향조사」 소개 15 2. 월별 난방 관련 지출 17 가. 자료 구축 17 나. 난방 관련 비용 19 다. 가구특성 변수 24 3. 가구별 겨울철 난방비 자료 29 가. 난방비 정의 29 나. 자료 구축 31 다. 가구별 겨울철 난방비 32 라. 난방비 상관관계 38 제4장 가구의 겨울철 난방비 추정 57 1. 난방 관련 비용 추정 57 가. 추정변수 소개 57 나. 난방 관련 지출액 추정결과 61 2. 겨울철 난방비 추정(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SUR) 67 가. 추정모형 소개 67 나. 겨울철 난방비 추정결과 71 3. 분석의 한계 79 제5장 결 론 83 1. 결 론 83 2. 시사점 88 참고문헌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