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5-26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파급효과 및 대응전략 연구: 지역내 거래 활성화를 통한 LNG 교역조건 개선 방안: (2차년도)

연구책임자
이호무
연구참여자
남수현, 문동호, 조혜신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형태사항
iv v viii 210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5-26
서지주기
참고문헌(p.195-210)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893대출가능-
자료실P42389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89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89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국제 가스 시장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메가트렌드로는 비전통가스 주도의 매장량 증가, 국제 LNG 거래의 다변화, 유라시아 지역 PNG 교역 증대 움직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전 세계 LNG의 상당 부분을 구매하는 동아시아 수입국들에게 유리한 시장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LNG 수입국들은 ‘아시안 프리미엄’이라고 불리는, 다른 지역보다 높은 가스 가격을 지불해야 했다. 따라서 이들은 현재의 호기를 살려 수요자 입장에서 불합리한 LNG 교역 조건을 바꾸려고 노력하고 있다. 유럽도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유가에 연동된 장기계약 위주로 천연가스를 수입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수입되는 가스의 가격이 역내 시장의 천연가스 수급에 따라 결정되고 있으며 여러 경직적 계약조건도 많이 완화되고 있다. 유럽의 사례는 수요자에게 유리한 시장 환경이 국내/역내 시장 거래 활성화라는 수요자의 내재적 변화와 결합했을 때 쉽게 변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던 불리한 교역 조건을 단시간 내에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시현하였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불합리한 LNG 계약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수입국 내부 또는 수입국 간 거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유럽의 경험이 주는 시사점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동아시아 LNG 시장과 과거 유럽 시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국가들이 보완해야 할 부분과 앞으로 자체적 개선 노력 및 협력의 방향을 제시한다. 아울러 거래 활성화로 교역 조건을 개선하는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LNG 계약 변화를 통하여 거래 활성화를 촉진하는 대응 방안도 검토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국제 가스시장의 메가트렌드 3 1. 국제 시장 메가트렌드의 최근 양상 3 가. 비전통가스 주도의 매장량 증가 4 나. 국제 LNG 거래의 다변화 19 다. 유라시아 지역 PNG 교역 변화 33 2. 국제 LNG 시장의 동향 및 전망 38 가. LNG 거래량 증가 39 나. 전통적 거래 방식과 최근의 변화 44 다. 전통적 LNG 계약 특성 별 변화 압력 50 제3장 동아시아 가스시장에서의 메가트렌드 63 1. 우리나라 63 2. 일본 68 3. 중국 73 4. 동남아시아 78 제4장 유럽의 거래 활성화와 교역 조건 개선 81 1. 거래 활성화 배경 및 가스 허브 형성 83 가. 거래 활성화 이전 시장 환경 83 나. EU 차원의 정책 87 다. 주요 가스 허브의 형성 과정 91 2. 기존 공급계약의 변경 과정 102 가. 시장가격과 장기계약가격의 이격 확대 102 나. 계약 조항별 현안 108 3. 현재의 가스 시장 상황 119 가. 가스 허브 가격의 확대 119 나. 허브 간 경쟁 126 다. 남유럽 지역 133 4. 시사점 139 제5장 동아시아의 거래 활성화 추진 143 1. 동아시아 LNG 시장의 변화 요인 143 가. 고유가로 인한 아시안 프리미엄 문제 143 나. 역내 가격지표의 필요성 증대 146 2. 가스거래 활성화를 위한 노력 149 가. 개요 149 나. 중국 152 다. 일본 155 라. 싱가포르 160 마. 우리나라 163 바. 역내 협력 164 3. 유럽 사례와의 비교 분석 166 가. 동아시아 수입국 향후 전망과 과거 유럽의 상황 비교 166 나. 동아시아의 거래 활성화에 의한 교역 조건 개선 전망 173 제6장 국내 가스산업 관련 시사점 177 1. 국내 거래 활성화 추진 178 가. 국내 여건 및 추진 방향 178 나. 가스 시장에 대한 정책적 관점 변화 181 2. 법률적 대응 가능성 182 3. 역내 거래 활성화 활용 방안 185 제7장 결 론 189 용 어 집 193 참 고 문 헌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