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3-06

지표로 본 한국인의 에너지경제 규모 변화(1990~2011)연구

연구책임자
양의석 정창봉
연구참여자
김태헌, 박명덕, 이상열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ⅴⅳⅸ141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13-0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695대출가능-
자료실P42269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69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69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는 2011년 경제규모 12위, 석유수입 세계 4위, 에너지소비 10위, 에너지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CO2) 배출 세계 7위로 표현되는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으나, 에너지경제 규모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경제지표 개발과 지표를 통한 위상평가 작업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석유⋅화학, 철강, 조선,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산업에서 지난 20여 년간 급속하게 성장을 이루어온 과정에서 경제규모 변화와 에너지공급 여건이 크게 변화했는데도 불구하고, 이에 상응하는 에너지경제지표 연구가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한 점에 기인한다. 이런 결과로 에너지경제, 산업 활동, 에너지수급 규모, 에너지이용 특성, 에너지인프라 집적화 정도 등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경제지표 변화분석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에너지관련 경제활동의 수리지표를 정비하는 한편, 1990년 이후 2011년까지 변화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에너지산업 규모의 위상을 정량지표로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2000년 이후 급속하게 변모하고 있는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및 시장규모, 에너지 공급능력, 에너지무역 대외관계 등에 대한 수리지표를 정밀하게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세계 주요 국가의 에너지경제 수급지표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에너지경제의 특이성을 도출하는 것도 본 연구의 목적에 포함된다. 우리나라가 세계경제의 국가별 분업구조에서 석유화학, 철강, 조선, 자동차 등 에너지 다소비산업에 기초한 산업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바, 이에 기초한 에너지수급 특이성을 에너지경제 지표로 분석하는 것은 매우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규모에 상응하는 에너지지표를 생성하는 한편, 도출된 에너지경제지표를 정부, 산업계, 학계 등에 제공하여 에너지정책 성과의 수리적 검증에 기여하고, 향후 에너지 정책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에너지지표 변화 1. 에너지지표 분류 및 변화 의미 2. 경제활동과 에너지 가. 총에너지 관련 지표 나. 에너지원단위 다. 에너지 수출입 3. 산업활동과 에너지 4. 에너지와 환경 5. 소비생활과 에너지 6. 에너지안보 7. 에너지공급인프라 제3장 에너지지표 국제 비교 1. 경제활동과 에너지 가. 1인당 에너지 소비 나. 에너지원단위 다. 에너지원단위(비에너지유 제외) 라. 1인당 전력소비 마. 전력원단위 2. 산업활동과 에너지 가. 제조업 에너지 원단위 나. 제조업 에너지소비 비중 다. 제조업 전력소비 비중 라. 에너지 다소비업종 비중 3. 에너지와 환경 가. 탄소 원단위 나. 화석에너지 의존도(비에너지유 제외) 4. 소비생활과 에너지 가. 1인당 가정용 에너지 소비 나. 1인당 가정용 전력 소비 5. 에너지 안보 가. 에너지자립도 나. 석유의존도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