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88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88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88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8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00년대부터 아시아 지역의 석유수요가 경제발전을 기반으로 급증하면서 세계 석유시장의 중심축도 과거 북미와 유럽에서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세계 석유공급에서 2012년부터 북미지역의 비전통원유 생산이 급증했지만 중동 지역이 꾸준히 40% 이상을 담당해 오고 있는 석유공급 구조가 유지되는 한편, 아시아 지역 내에서 석유생산의 증가속도가 석유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면서 아시아 지역의 역외로부터의 석유수입은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에 석유안보라는 차원에서 우려할 만한 부분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아시아 국가들의 석유안보 현안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아시아 국가들의 석유수급 현황을 살펴보고 석유안보 정책을 비교 하는 한편 개별 석유안보 정책이 가질 수 있는 한계성을 지적해 아시아 지역과 우리나라의 석유안보에 기여할 수 있는 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아시아 주요국 석유수급 비교 3
제1절 원유수급 3
제2절 석유제품 수급 4
제3장 아시아 주요국 석유안보 정책 11
제1절 한국 11
1. 개요 11
2. 석유수요 정책 12
3. 석유공급 정책 18
제2절 일본 26
1. 개요 26
2. 석유수요 정책 27
3. 석유공급 정책 30
제3절 중국 34
1. 개요 34
2. 석유수요 정책 35
3. 석유공급 정책 37
제4절 인도 44
1. 개요 44
2. 석유수요 정책 45
3. 석유공급 정책 46
제5절 석유정책의 비교 50
제4장 석유안보 전략의 이론 연구 53
제1절 선행연구 53
제2절 모형 설정 55
1. 석유비축 – 석유관세 선택 시나리오 55
2. 석유개발 – 석유조세 선택 시나리오 60
제3절 결과 도출 65
1. 석유비축 – 석유관세 선택 시나리오 66
2. 석유개발 – 석유관세 선택 시나리오 79
제4절 분석 결과의 해석 92
제5장 빅데이터를 이용한 동아시아 석유안보 네트워크 분석 95
제1절 석유자원 확보를 둘러싼 동아시아 국가 간 관계맺음 95
제2절 석유안보에 대한 사회연결망 이론적 고찰 97
제3절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활용한 관계자료 생산 101
1. 관계자료(relational data)에 대한 조작적 정의 101
2.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활용한 관계자료 생산 106
제4절 동아시아 석유기업 간 관계 네트워크 식별 115
1. 연관성 규칙(Confidence)을 활용한 석유기업 간 네트워크: Lift를 활용한 필터링 119
제5절 동아시아 석유기업 간 관계 네트워크 분석 127
1. 자국 기업 간 연결이 포함된 기업 네트워크 130
2. 자국 기업 간 연결이 배제된 기업 네트워크 133
3. 자국 기업 간 연결을 포함하여 도출한 국가 네트워크 136
4. 자국 기업 간 연결이 배제되어 도출된 국가 간 네트워크 137
제6절 동아시아 석유기업 간 관계 네트워크 분석의 시사점 139
제6장 석유안보 협력방안 및 결론 143
제1절 석유안보 협력방안 143
제2절 결론 147
참고문헌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