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6-12Korean residential electricity-use efficiency analysis using the Household Energy Standing Survey(HESS)
가정 부문 전력사용 효율성 실증 연구: 가구에너지소비 상설표본조사자료 분석
- 연구참여자
- 김길환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iv iv iv 63 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6-1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61-63)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52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53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52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53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가구 수준에서 전력 소비 효율성을 정의하고, 미시자료를 분석에서 가장 전력 소비가 효율적인 가구 대비 비효율성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먼저 경제학적 관점에서 어떤 가구가 전력 소비가 높은 가구라고 볼 수 있는지, 비효율성의 정도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고찰한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가구별 전력 소비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확률적 프론티어 방법론(SFA, Stochastic Frontier Approach)을 적용한다. 효율성 추정의 대표적 방법론인 SFA는 주로 생산자의 최적 선택 분석에 적용되어온 반면 소비자의 최적 선택에 적용된 사례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SFA를 활용하여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하는 「가구에너지소비 상설표본조사자료」를 분석한다. 이 자료는 우리나라 16개 시·도 가구를 대표하는 상설표본의 에너지소비 행태 정보를 담고 있다. 분석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가구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비효율성의 평균적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 효율성이 높은 가구의 특징은 무엇인지 파악한다.
목차
1장 서론 1
2장 선행연구 5
3장 전력 소비 비효율성 논의 및 모형 설정 9
1. 가구의 전력 소비 비효율성 9
가. 가구의 전력소비 비효율성 정의 10
나. 가구의 전력소비 기술적 비효율성 13
2. 가구의 전력소비 비효율성 모형 설정 17
4장 분석자료 21
1. 분석자료 개관 21
2. 변수 설정 23
가. 종속변수 28
나. 설명변수 28
1) 용도별 전력서비스 28
2) 가구 특성 및 비효율성 분산 요인 33
5장 분석결과 40
1. 가구의 전력소비 비효율성 추정결과 40
가. 계수(coefficient parameter) 추정 결과 40
2. 기존 효율지표와의 비교 50
6장 요약 및 결론 52
참고문헌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