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6System and Impacts of ICT convergence in the Energy Sector

에너지 부문 정보통신 융합의 전개구도와 영향

연구책임자
박찬국, 김현제
연구참여자
유학식, 정제호, 김규동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iv 137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6
서지주기
참고문헌(p.105-110)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53대출가능-
자료실P42335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5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5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그동안 개별적으로 논의되고 언급되었던 에너지 부문 ICT 융합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면서 융합의 전개구도와 그 영향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검토결과, 에너지원별, 생애주기별 전 분야에 걸쳐 ICT 융합이 진행되고 있으며, 에너지산업의 가치흐름이 기존 단선적 방향에서 다양한 복합적 방향으로 변화하고, 소비자가 가치사슬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협력과 경쟁관계가 나타나고, 고객만족 및 가치창출에 미진한 기업들은 퇴보할 수 있음을 짚어보았다. 또한, ICT 기반 중장기 비즈니스 트렌드가 에너지 부문에 어떻게 접목될지를 살펴보았다.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에너지데이터 활용과 에너지데이터 시장 가치가 높아지고, 무료화, 서비스화 등의 ICT 기반 비즈니스 모델이 에너지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SNS가 비즈니스 수단으로서 에너지공급자와 소비자간 소통 증진, 신규 스마트에너지 서비스 이용 촉진, 에너지이용 효율화에 활용되며, 또 다른 빅데이터 생성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기술발전 및 소비자니즈 변화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ICT 융합에 의해 에너지 분야에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보다 촉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데이터 공유와 스마트에너지 시장참여 기회가 보다 개방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에너지 부문의 ICT 기반 신규 서비스는 대체로 에너지데이터 활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데이터 확보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에너지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신규 에너지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에너지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만들어가야 한다. 또한, 신규 에너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신규 일자리 창출과 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에 노력해야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에너지원별, 생애주기별 정보통신 융합 제1절 에너지원별 1. 전력 2. 가스 3. 석유 4. 재생에너지 제2절 생애주기별 1. 에너지 생산 2. 에너지 전달 3. 에너지 소비 제3장 에너지 부문 ICT 융합 정책 사례 제1절 포괄적 에너지-ICT 융합을 지향하는 유럽연합 1. FP(Framework Program)을 통한 에너지-ICT 융합 지원 2. 에너지 부문 ICT 융합 주요사업 제2절 국내 에너지 부문 ICT 융합 정책 1. 제주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 2.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2015~2017) 추진 3. ICT 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시장창출 제4장 에너지 부문 ICT 융합의 영향 제1절 가치사슬 변화 제2절 ICT 융합에 따른 에너지산업 변화 1. 에너지 프로슈머(prosumer) 증가 2. 플랫폼의 영향력 증대 3. 데이터 급증과 분석 가치 확대 4. 에너지 부문 신규 사업자의 진출 및 참여 5. 기존 전력사업자의 역할 변화 6. 신규 리스크 증가 제5장 에너지 부문 ICT 융합 전망 제1절 ICT 기반 비즈니스 변화 방향 제2절 에너지 부문 ICT 융합의 방향 1. ICT 기반 트렌드의 영향 2. 에너지데이터 공유와 시장참여 기회 제공 3. 스마트에너지 수용성 제고 제6장 정책적 시사점 및 결론 참 고 문 헌 부 록: 산업 부문 ICT 기반 에너지효율화 사례 1절. 해외 산업 부문 에너지 절감 사례 2절. 국내 산업 부문 에너지 절감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