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4-07

배출권거래제 대응 의사결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구책임자
안재균
연구참여자
이근석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형태사항
v 110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14-07
서지주기
참고문헌(p.67)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514대출가능-
자료실P42351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51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51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시장이 2015년 1월 12일에 개장함. - 배출권 거래제하에서는 정부가 전체 배출상한을 정한 후 기업에게 배출권을 할당하면, 해당 기업은 소유한 배출권을 거래를 통해 의무감축량을 달성하는 제도임. - 온실가스 감축 비용이 저렴한 기업은 감축기술 설치를 통해 배출량을 절감하고 잉여 배출권을 배출권시장에 판매하여 이득을 얻게 되는 반면에, 감축 비용이 높은 기업은 배출권을 구매하여 감축 의무를 대신하게 되어 사회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최소비용으로 달성하게 됨(비용효과성 충족).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다음과 같은 편익을 유발할 것으로 평가됨(Ayers and Walter, 1991). - 일차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함으로써 지구온난화에 따른 피해를 예방함 (Primary benefit). - 이차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대부분이 에너지효율개선 기술임을 고려할 때, 배출권거래제는 에너지 절감액과 같은 편익을 제공함(Secondary benefit). - 부가적으로, 에너지절감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혁신 유인을 제공하여 관련 산업의 성장을 촉진시킴. ○ 배출권시장에서 합리적인 감축기술투자와 배출권 가격형성을 위해서는 기업체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이를 개발 및 배포하여 기업체의 배출권제제도에 대한 대응능력의 제고가 필요한 시점임.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대응 의사결정 솔루션을 기업체에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인 배출권거래제의 도입과 운영을 지원함. - 감축기술의 에너지사용량 및 CO2 감축 및 에너지비용 절감효과, 현금흐름 분석, 경제성 평가 기능을 제공함. - 의무감축량을 충족하는 최적 포트폴리오(배출권 구매량, 감축기술 설치시기)를 산출하는 장기감축계획 기능을 제공하여 감축기술의 투자를 촉진시켜 정상적인 배출권 가격 형성을 도모함. - 시계열 모형을 바탕으로 한 월별 배출량 예측기능 제공으로 시장참여자들의 배출권 수요량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EU-ETS 1기에 발생한 배출권 가격의 급격한 하락 현상을 방지하고 현물시장의 시장효율성을 제고함. - 프로그램 배포로 기업체 내부의 IT 수요을 충족시켜 배출권거래제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을 경감시킴. ○ 본 연구는 배출권거래제 대응 의사결정 프로그램의 특성 및 구성요소를 소개하고(제2장) 프로그램에서 채택한 모형, 시계열 모델 ARIMAX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정수계획법에 대해서 설명한 후(제3장), 프로그램 모듈인 설정, 배출량 예측, 감축사업 경제성평가, 장기감축계획, 감축비용곡선, 리포트의 사용법을 제시함(제4장). ○ 부가적으로, 본 프로그램의 설치방법은 부록 1에서 설명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법과 발열량, 배출계수는 부록 2에서 기술하고, 제3장에서 다룬 모형들의 MATLAB 코드는 부록 3에서 공개함.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배출권거래제 대응 의사결정 프로그램 개요 1. 프로그램 소개 2. 프로그램 구성 제3장 프로그램 채택 모형 1. ARIMAX 2. 몬테라를로 시뮬레이션 3. 정수계획법 제4장 프로그램 모듈 사용법 1. 설정 2. 배출량 예측 3. 감축사업 경제성 평가 4. 장기감축계획 5. 감축비용곡선 6.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