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보고서 98-04

석유제품 물류의 효율화 방안

연구책임자
李達錫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8
형태사항
105 p
총서사항
KEEI 연구보고서 98-04
서지주기
참고문헌(p.89-90)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09719대출가능-
자료실P40972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0971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0972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석유제품은 그 물동량이 국내 총 물동량의 17%를 차지하여 단일 품목으로서는 가장 높은 비중을 점하고 있다. 그리고 정제기술 수준이 국가간, 기업간에 평준화되어 감에 따라, 석유제품의 경쟁력 확보는 정제공정 개선이나 품질고급화보다 상적, 물적유통의 효율화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석유제품의 상류부문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석유제품 유통이 상류와 물류가 병존하는 가운데 전체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류부문에 대한 연구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석유제품 물류의 현황을 파악하고, 여기에서 발견된 문제점과 애로요인들을 검토하여 그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석유제품 물류의 문제점과 애로요인은 기반시설 측면과 수송, 저유, 정보 등 물류기능을 중심으로 검토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석유제품 물류효율화의 기본방향은 물류의 통합적 관리, 물류관련 기반시설의 확충, 수송수단 운영의 효율화, 물류의 공동화, 물류비 관리체제 정비, 물류정보체게 구축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석유제품 물류의 의의 1. 물류의 개념과 범위 2. 기능별 물류활동 3. 석유제품 물류의 의의 III. 석유제품 수송분담구조 분석 1. 석유제품 수송체계 2. 석유제품 수송·저유시설 현황 3. 수송수단별 수송분담 구조 4. 향후 수송분담구조의 변화 IV. 석유제품 물류비 분석 1. 물류비의 일반적 개념과 범위 2. 석유제품 원가중 물류비 비중 3. 수송수단별 수송단가 비교 4. 제품교환에 따른 수송비절감 효과 V. 석유제품 물류의 문제점과 애로요인 1. 물류관련 기반시설 부족 2. 수송수단 운영상의 문제 3. 저유시설 부족 4. 환경비용 증대 5. 물류정보체계 미비 VI. 석유제품 물류효율화 방안 1. 물류효율화의 기본방향 2. 물류관련 기반시설의 확충 3. 수송수단 운영의 효율화 4. 물류의 공동화 5. 물류비 관리체제 정비 6. 물류정보체계 구축 VII. 요약 및 결론 <부록> 일본의 석유제품 물류효율화 대책과 최근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