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보고서 99-03
중장기 석유수급계획 모델 개발
- 연구책임자
- 김성현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9
- 형태사항
- 88 p
- 총서사항
- KEEI 연구보고서 99-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6-88)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036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036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036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036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석유시장의 자유화에도 불구하고 산업과 국가경제에 여전히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석유의 합리적인 수급을 위해 체계적인 모델이 요구된다. 부문별, 제품별 전망을 도출하는 수요 모형과, 주어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적정 가동률, 제품 생산 믹스, 재고, 수출입 및 설비 투자 규모를 검토하는 공급 모형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 수록된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급 모형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서 우선 기존의 국내외 석유 및 에너지 모델들을 검토해 보고 우리 나라 석유수급 모델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모델수립의 원칙과 개략적인 틀을 설정하였다.
중장기 전망에 앞서 단순화된 단기 전망 모형을 수립하고, '99년 1/4분기 및 '99년도에 대한 단기 전망을 시험 제시하였다.
공급모형은 그 규모와 특성상, 이상적인 모델 구축안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현실적인 방안으로 단계별 모델 구축 추진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 서론
II. 석유수급모델 개발의 배경
1. 국내 석유시장에서 정부의 역할
2. 석유 정제 설비 현황과 수급상황
3. 석유 수급모델의 필요성
4. 아시아 시장에 대한 고려
III. 외국의 석유 모델링 현황
1. 에너지 모델링 포럼(EMF)의 석유 모델 검토
2. 미 에너지부 산하 에너지정보국(US DOE/EIA)
가. 국가 에너지 모델링 체계(NEMS)
나. 석유 시장 시뮬레이션 모형(OMS Model)
다. 단기통합전망체계(STIFS)
3. 시사점
IV. 수요전망 모델 개발
1. 수요전망 모형 개발을 위한 고려 사항
2. 수요전망 모형 사례 검토
가. 국내 중장기 전망모형(유동헌)
나. 미국 중단기 전망모형(Adams-Griffin)
다. 미국 단기 수요전망 모형(STM/STIFS)
라. 모델 사례 검토
3. 수요전망 모델의 구조안
4. 모델 추정 결과
가. 수송 부문
나. 산업 부문 연료 수요
다. 산업 부문 원료 수요
라. 가정, 상업, 공공, 기타 부문
마. 기타
5. 모델에 의한 단기 수요 전망
가. 전망을 위한 주요 입력자료
나. 단기 수요 전망 결과
6. 향후 개선점 및 중기 수요전망모델로의 확장안
V. 석유 공급 모델 개발
1. 공급 모델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고려 사항
가. 공급 모델의 기능
나. 모델 수립의 원칙
다. 소요 자료 및 결과물의 형태
2. 공급 모델 사례 검토
가. 국내 석유제품 공급모델
나. 미국 중장기 석유제품 공급 모델(NEMS PMM)
3. 공급 모델 개발안
가. 이상적인 모델 구성안(Grand Framework)
나. 1단계 분석모델: 수요충족시 생산 과부족의 최소화
다. 2단계 분석모델: 재고관리 및 수출입을 통한 수급 균형
라. 3단계 분석모델: 전략적 제품 수출입
마. 4단계 분석모델: 설비 증설 투자
자료 : 정제시설투자 회수기준
VI. 결론
1. 석유 수급 모형의 정책적 활용
2. 석유 수급 모형의 개관
3.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