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보고서 98-13

난방유 수급 안정화 방안

연구책임자
이복재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8
형태사항
181 p
총서사항
KEEI 연구보고서 98-13
서지주기
참고문헌(p.168-181)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0362대출가능-
자료실P41036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036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036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가정 상업부문의 난방용 연료로써 그리고 산업부문의 열원용 연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난방유는 특성상 그 수요가 특정한 기간(동절기)에 집중적 으로 나타난다. 이는 난방유 수요의 년중 변화가 극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난방유의 안정적인 공급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왔다. 난방유의 수급안정을 위하여 우선 중단기적으로는 등유와 경유를 적정한 비율로 배합한 형태의 난방유를 신설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기적으로는 보일러의 연소기술과 유통체계가 갖추어졌을 때에 경유와 B-C유를 혼합한 규격의 석유제품을 난방유로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새로운 난방유(경유/B-C유 혼합)의 공급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제반 시설투자와 기기(보일러 등)의 전환을 위하여 적정한 준비 기간을 필요로 한다. 난방유의 수급안정을 위하여는 비축기능의 활성화가 긴요하다. 이 비축기능의 활성화를 위하여는 난방유의 가격이 계절적인 수급상황을 반영한 시장기능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난방유의 주요 특성 1. 난방유(석유제품)의 물리적인 특성 2. 난방유(석유제품)의 화학적인 특성 3. 난방유(석유제품)의 기타 중요한 특성 4. 등유의 중요한 특성 5. 경유의 중요한 특성 6. 중유의 중요한 특성 제 3 장 난방유 수급구조 분석 1. 일반 현황 2. 난방유 수급실적 3. 난방유(등.경유) 수급상의 문제점 4. 에너지 수요 장기전망 제 4 장 난방유 수급 안정대책 분석 1. 난방유 수요의 특성 2. 난방유 수급 안정대책의 사례분석 제 5 장 주요 외국의 난방유 관리체계 1. 주요 외국의 난방유 운용 현황 2. 외국의 난방유 품질관리 주요기관의 기능분석 3. 유럽의 연료유 품질관리 4. 종합적인 분석평가 제 6 장 난방유 수급 안정화 방안 1. 난방유 수급안정을 위한 기본방향 2. 난방유 공급방안 3. 품질규격 변화에 따른 수비자 불편의 최소화 방안 4. 난방유 품질관리 방안 5. 난방유 수요의 계절적인 변동 관리방안 제 7 장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