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보고서 99-17
에너지절약시책 효과측정을 위한 계량분석연구: 제조업을 중심으로
- 연구책임자
- 김중구
- 연구참여자
- 박정순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9
- 형태사항
- 129 p
- 총서사항
- KEEI 연구보고서 99-1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1-95)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109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109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109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109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에너지 절약시책 효과측정 계량분석 연구는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해서 동 연구를 구체적으로 모두 수행하기엔 현실 여건이 허락되지 않음을 감안하여 연구의 범위를 제조업 부문으로 한정하였음을 미리 밝혀 둔다.
본고는 정부가 취한 에너지절약 정책/시책들을 정책의 투입요소로 하고, 이로 인해서 시현된 결과를 에너지절약이라고 간주하여 에너지 절약측정을 위한 모형을 통하여 이를 계량화하는데 노력을 집중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방법론은 B/C이론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의 결과는 제조업에 대한 투자효과이다. 1982년부터 1996년까지 제조업부문에 투자된 총비용은 1990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5조8,710억원이 였으며, 이로 인해서 얻어진 직접효과인 에너지절약액은 1990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15조345억원에 이르러서, B/C비율 이 2.56에 이르렀다.
특히, 정부의 정책에 의해서 지원된 금액을 분리해 내면, 에너지절약 지원 비용은 3조9,042억원 (90년 불변가격 기준)에 이르렀으며, 이로 인한 절약금액 9조9,979억원 (90년 불변가격 기준)과 환경개선 효과 2,232억원 (90 불변가격 기준)을 합하면 총편익은 10조1,464억 (90년 불변가격 기준)에 달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II. 우리 나라의 에너지절약 정책/시책 분석
1. 절약정책/시책의 변천
2. 절약정책수단
가. 비가격(non-price)정책
나. 가격(price)정책
III. 에너지절약정책/시책효과의 계량화를 위한 선행연구
1. 분야별 연구결과
가. 에너지절약과 거시경제효과
나. 에너지절약과 에너지소비행태
다. 에너지이용효율
라. 에너지수요관리(전력, 가스, 지역난방 등)
마. 에너지효율기준
바. 에너지절약의 장애·시장실패
사. 세제, 보조, 융자의 정책수단
아. 에너지·환경·에너지절약 정책의 연계성
자. 에너지절약정책의
2. 선행 연구결과의 시사점
IV. 편익/분석(B/C)이론에 의한 제조업의 에너지 절약정책/시책효과의 계량화
1. B/C 이론의 배경과 기본 테크닉
가. 배경
나. B/C 분석의 선택
다. 분석의 기본기법
2. 에너지절약 정책/시책의 효과 : 제조업의 에너지 절약투자시책을 중심으로
가. 기존분석방법 및 문제점
나. 에너지절약정책/시책 효과 측정을 위한 기본구조
다. 계량화를 위한 기본전제와 기준
라. 제조업의 에너지 절약 투자시택과 효과를 계량하기 위한 편익/비용의 세부모형과 결과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에너지절약 정책/시책의 효과측정을 위한 기본이론의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