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018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018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018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018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대체에너지 중 80% 이상을 점하고 있는 폐기물에너지의 적극적인 활용방안 모색은 폐기물 소각장의 대형화 추세와 함께 중요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기물 발생 및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국가적으로는 대체에너지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에너지절약 및 외화낭비를 줄이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수 있고, 환경오염 방지측면에서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 된다. 그 활용대책으로는 우선 기초정보 및 기술적 타당성 검토를 위한 관련정보의 확보와 수요처 개발을 위한 주변권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폐기물에너지 회수시스템에 대한 설치 권고제를 도입하여 미활용되고 있는 것을 억제하고 사용을 권고함로써 에너지절약 효과를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지역에너지정책 측면과 함께 폐기물에너지 시스템 도입에 대한 지원이 강구되어야 안다. 아울러 폐기물에너지 활용기술의 적극적인 개발보급도 함께 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폐기물과 폐기물에너지의 개념정의
1.폐기물관리법의 폐기불 분류
2. 신.재생에너지의 폐기물에너지 분류
3. 폐기물의 관리체계와 폐기물에너지의 회수체계
4. 폐기물처리 기술 및 에너지 회수 기술 현황
III. 폐기물에너지 활용 및 정책동향
1. 폐기물방생 및 처리 현황
2. 폐기물 소각 및 폐기물에너지 회수현황
3. 폐기물관련 에너지.환경정책의 현황
IV. 폐기물에너지 활용의 문제점
1. 환경상의 애로요인
2. 폐기물소각로의 건설 및 운영상의 애로요인
3. 폐기물소각로의 열회수시설 투자의 애로요인
4. 기술보급상의 애로요인
5. 대체에너지 기술개발의 전략상 애로요인
6. 폐기물처리 시설부문의 정부간 투자여건상의 애로요인
7. 사회.경제적 측면의 애로요인
V. 폐기물에너지 이용 잠재량 및 경제성 분석
1. 폐기물에너지의 서비스시장 변화
2. 폐기물에너지 잠재량 추정
3. 폐기물 소각시설 비용-편의 분석
VI. 폐기물에너지 활용 촉진 방안
1. 기초정보 확보 및 기술적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 조사
2. 폐기물에너지의 활용가능한 이용방법
3. 폐기물에너지 회수시스템 설치권고제 도입
4. 지역에너지정책 측면의 지원
5. 폐기물에너지 시스템 도입에 대한 지원
6. 비용절감을 위한 기술개발의 투자 촉진
VII. 요약 및 결론
<부록> 외국의 폐기물관리 및 활용 사례
1. 외국의 폐기물발생 현황
2. 일본의 폐기물에너지 활용과 추진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