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정책연구자료 97-02

수송부문 석유수급 전망 및 분석

연구책임자
문영석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7
형태사항
19 p
총서사항
정책연구자료 97-0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09850대출가능-
자료실P40985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0985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098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 수송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86-95년 기간동안 연평균 소비증가율이 13.5%에 달하는 소비 급증기를 거쳤음. 수송부문이 타부문에 비해 수요증가율이 높아 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수요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작성한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연구(1996.12) 수요전망안 -향후2010년까지 수송부문 에너지소비는 연평균 4.9% 증가할 전망임 -전체 에너지소비에서 수송부문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높아져 2010년에 24.3%에 달하게 될 것으로 예측됨. 최근 여객수송량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으나 수송원단위의 악화로 인해 에너지 소비량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 문제임. 영업용버스의 점유율이 승용차로 이전되는 것이 주요 특징임. 승용차의 수송분담율 증가로 전체 원단위는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음. 92년이후 화물수송량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음. 에너지소비증가율은 89년이후 둔화되고 있음. 수송구조는 철도수송이 자가용과 해상운수로 이전되는 추세임. 요인분해 분석에 의한 우리나라 수송부문 에너지수요 증가패턴의 특성 - 수송활동의 증가율이 아직 높지만 둔화단계에 접어들었음. - 여객부문의 수송구조 변동효가가 큼. (승용차의 분담율 증대가 평균원단위를 악화시킴.) - 여객부문의 수송원단위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음. 그러나 승용차분담율이 일정수준에 이르고 나면 승용차원단위는 수요감소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수송구조를 원단위가 높은(효울적인) 대중교통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자동차 구입 및 보유과정의 세금을 줄이고 운행단계의 세금을 늘리는 세제개편으로 운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도모. 석유제품에 높은 세율을 적용. 자동차효율개선 및 효율적사용 유도. 특히 93년이후 자동차 배기량이 커지고 있는 추세에 대한 방안이 필요함.
목차
1. 수송부문 에너지 소비  가. 수요증가 추이  나. 수송부문 내세서의 에너지소비구조  다. 수송부문 에너지수요전망 2. 수요증가 요인 분석  가. 수송부문 여건변동 추이  나. 증가요인 분해  다. 한국의 실증결과  라. 외국의 수요증가 요인분석 사례 3. 정책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