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0893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0893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0893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0893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금년부터 실시된 유가 자유화 등을 시작으로 석유산업에 대한 핵심적인 규제는 금세기 내에 해제될 계획이다. 이 연구는 자유화 이후 석유제품의 국내 세전 공장도가격과 설비의 움직임을 주로 분석하였다.
석유제품의 가격은 정제설비의 분포 특성상 경쟁시장의 가격구조로 수렴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제산업의 기업간 설비분포는 커다란 편향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국내의 총 정제설비 규모가 수요대비 얼마간 초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유화의 순서와 제도적 요인에 의하여, 단기적으로 필요한 정제설비는 기존 정제기업에 의하여 증설될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필요한 설비는 기존 또는 잠재기업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내 정제기업은 자유화 이후 외국기업과 국내시장에서 효과적인 경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국내 정제산업의 수출 산업화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석유자원의 특성 및 석유산업의 독점적 구조를 살펴볼 때, 정부는 자유화 이후에도 석유의 안정적 확보, 공정경쟁의 확보 등 석유시장의 효을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유지,개선하여야 한다. 한편, 정제기업은 자율적인 경영기반을 확보하는 만큼 경쟁전략, 재고전략, 고도화 투자전략 등 국내외 석유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직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목차
第1章 序論
第2章 完全鏡爭 市場下의 精製塵業 均衝
第1節 精製塵業의 完全觀爭市場 均衛條件
1. 輸出等價格 條件
2. 輸入等價格 條件
3. 상압정제의 가동균형 조건
4. 분해정제의 가동균형 조건
第2節 完全觀爭市場 均衛 分析
1. 國內 정제산엽의 國際 경쟁력
2. 消費地精製原則과 精製業 輸出塵業化
3. 油價連動制,交通脫等
第3節 例示分析과 示浚点
<부록> 정재산업의 완전경쟁시장 모형
第3章 寡占市場下의 精製塵業
第1節 非談合的 기업행태
第2節 談合的 기업행태
第3節 不公正去來의 사례
<부록〉 정제산업의 과점시장 모형
第4章 新規進入에 대한 說問調査
第5章 亞太地域 主要國의 自由化
第1節 태국
第2節 호주
第3節 일본
第6章 結論
參考文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