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합성연료 도입동향

연구책임자
임기추, 박선경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형태사항
vii 102 p
서지주기
참고문헌(p.101-10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7980대출가능-
자료실P41798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798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798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합성유나 DME 연료는 상온?상압에서 액체(혹은 쉽게 액화)이며, 석유제품의 기존 인프라를 대부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새로운 연료와 비교해 편리성이 높고 청정한 연료라고 할 수 있음. ○ 현재 상황의 제조과정은 석유계 연료와 비교하여 경제성, CO₂배출량 및 변환효율 측면에서 반드시 우위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뒤떨어지는 경우가 많음), 공정상의 개선 여지가 크며 향후 기술개발의 진전에 따라 합성연료 평가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국내 자원, 특히 바이오매스의 유효이용에 따른 해외의존도 저감이나 혹은 해외로부터 합성연료, 특히 석탄이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연료를 수입하는 경우에서도 수입선의 다양화가 가능해지므로 에너지 안정공급에 기여할 가능성은 높음. ○ 합성연료의 경제성 : 건설비용 및 원료가격 상승으로 생산비용은 상승하고 있음. 값이 싼 석탄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경유와 같은 경제성을 가지는 경우가 있음. ○ 합성연료의 환경성 : 합성연료의 연소시 청정성은 높지만 제조과정에서 많은 에너지투입이 소요하기 때문에 LCA 평가에서 CO2 배출량은 경유보다 많아지는 것이 일반적임(원료가 바이오인 경우는 제외). ○ 합성연료의 도입상황과 향후 전망 - 중동을 중심으로 한 GTL 대형 프로젝트는 천연가스 가격 및 건설비용의 상승으로 채산성이 악화되어, 일부를 제외하고 그 대부분이 계획중지 상태에 있음. - 중국은 값이 싼 국내탄을 이용한 CTL 및 DME 프로젝트를 차근히 진행되어 향후 도입이 빨라질 것으로 보임. - 이와같이 합성연료는 기존의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환경특성에 우수한 청정연료임. 또 원료의 다양성은 에너지 안정공급이라는 점에서도 가치가 높음. -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내외에 걸쳐 다양한 원료를 기원으로 하는 합성연료 기술개발에 적극적인 대처와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노력이 매우 중요함. - 따라서, 합성연료는 경제성 및 변환효율 측면에서 과제가 많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음.
목차
Ⅰ. 서론  1. 합성연료의 변환과정  2. 합성연료 제조과정  3. 분석범위 Ⅱ. 합성연료 도입현황  1. 합성유 도입현황  2. DME 도입상황 Ⅲ. 합성연료의 원료 수급동향  1. 천연가스  2. 석탄  3. 바이오매스 Ⅳ. 합성연료의 경제성 및 LCA 평가  1. 합성연료 제조과정  2. 경제성 평가  3. LCA 평가 Ⅴ. 합성연료의 도입잠재력  1. 합성유 도입잠재력  2. DME 도입잠재력 Ⅵ. 요약 및 기술적 개선과제  1. 요약  2. 주요 기술적 개선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