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0Study on the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adaptation factor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석유·가스 부문 지능형 기술 도입 요인 조사 연구
- 연구참여자
- 박찬국, 공지영, 한국석유공사 기술개발팀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ⅹv ⅹvⅲ v 111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0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7-111)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854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85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85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85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최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 지능형 기술이 전 산업부문에서 기업의 생산성, 효율성 개선, 안전성 제고, 고객화, 시장 및 가격전망 등 다양한 방면에서 적용되고 확산되고 있다. 에너지산업도 사물인터넷 활용이나 빅데이터 분석 등 소위 지능형 기술의 유망 적용분야로 인식되고 있고 실제로 많은 석유 가스 기업들에서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외의 경우 특히 상류부문 중심으로 유가스전 운영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능형 기술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고, 중류 및 하류 부문에서도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부문 지능형 기술 적용이 스마트그리드와 같은 전력신산업을 중심으로 전력부문에서 먼저 논의되어 왔고, 관련 연구나 정책개발도 전력부문에서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 결과 그동안 석유 가스 산업 관점에서 지능형 기술의 도입 현황이나 기대효과, 향후 적용 가능성 등을 연구한 국내 사례가 거의 전무하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석유가스 부문의 지능형 기술의 도입동향에 관한 자료는 대부분 해외자료이며 국내에서는 석유 가스 산업에서 지능형 기술의 도입동향이나 업계의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조차도 정리된 바가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유 가스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지능형 기술이 무엇이며, 해외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석유가스 산업에는 도입할 가능성이 있는지 또는 어떠한 잠재 분야가 있는지 탐색한다면 우리나라 석유가스 산업계와 관련 정책 입안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석유 가스 부문의 지능형 기술 도입 동향과 이를 둘러싼 산업생태계를 그려보고, 이를 통해 석유 가스 기업의 시각에서 지능형 기술의 도입여건, 도입요인 및 기대효과를 지능형 기술의 ‘기능’과 ‘비용/수익’간의 관계를 연결해 분석하고 정리한다. 우리나 석유가스 산업에서의 지능형 기술의 도입 잠재력과 이와 관련한 시사점을 발굴하는 것이 목표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석유가스 부문에서 지능형 기술의 도입동향, 기대효과, 시사점에 대해서 국내외의 상류, 중류, 하류 부문을 모두 아우르는 연구는 국내에서 본 연구가 최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로 해외의 문헌 및 사례조사, 국내외의 전문가 자문 등의 방법을 통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우리나라 석유 가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과 후속 심화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지능형 기술과 도입여건 변화
1. 지능형 기술의 일반적 정의와 주요 기술적 요소
2. 지능형 기술의 도입여건 개선
3. 석유가스 산업에서의 지능형 기술과 주요 구성 요소
4. 석유가스 산업에서의 지능형 기술 도입에 대한 해외 업계의 인식 및 평가
5.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본 석유가스 부문 지능형 기술의 논의 동향
제3장 석유가스 부문의 특성과 지능형 기술 생태계
1. 석유가스 산업의 본원적 특성 및 경영환경
2. 석유가스 부문 지능형 기술 생태계 구성원
제4장 해외 석유가스 부문 지능형 기술의 도입 요인 및 기대 효과
1. 상류 부문
2. 중류 부문
3. 하류부문(원유정제)
4. 석유가스 부문 지능형 기술 생태계 설문조사
제5장 우리나라 석유가스 부문 지능형 기술 도입 잠재력
1. 상류부문
2. 중류부문(가스 도매)
3. 하류부문(원유 정제)
제6장 석유가스 부문 지능형 기술도입 장애요인 및 시사점
1. 주요 장애요인
2. 지능형 기술의 적절한 도입 및 가능성 활용을 위한 석유가스 업계 및 정부에서의 시사점
제7장 결론
<부록> 해외조사 설문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