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06-04

바이오연료의 보급전망과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

연구책임자
배정환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형태사항
v 65 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06-04
서지주기
참고문헌(p.55-56)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397대출가능-
자료실P416328대출가능-
자료실P416329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39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32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32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바이오 디젤 및 바이오에탄올은 환경 친화적 수송용 대체연료로 최근 유럽, 미국, 브라질, 중국 등 각 국에서 앞 다투어 보급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우리나라도 최근 BD20 (바이오디젤:경유 = 20:80)에 대한 시범보급사업을 마치고, BD5에 대한 상용화를 실시하였고, 자가정비차량에 대해서는 BD20을 허용하고 있음 ? 그러나 BD5는 환경개선효과가 미미하며, 실질적인 환경편익 및 석유수입대체편익을 얻기 위해서는 BD20 이상에 대한 보급이 필요함 ? BD20의 보급이 수송용 대체연료로서 올바른 선택인지에 대해서는 국내 공급 잠재량 및 재정적 부담을 고려한 사회적 순편익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론화시킬 필요가 있음 ? 이에 기초적인 연구로서 바이오디젤의 주원료인 유채를 국내에서 재배할 경우 그 경제성을 분석해 보고, 국내에서 공급 가능한 바이오디젤의 잠재량을 추정하며, 잠재량에 기초하여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을 하는 것이 주요 연구 목적임 ? 또한 유채의 국내 재배시와 해외 수입시 양자 간의 비교를 통해 바이오디젤 원료의 국내생산 가능성을 타진해 봄 ? 비록 유채재배에 농업 보조금과 바이오디젤 판매에 대한 면세혜택과 같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환경개선 효과 및 석유수입대체효과와 같은 사회적 편익이 크다면 정부가 개입하여 바이오디젤의 보급을 활성화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을 것임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주요 내용 3. 선행연구 Ⅱ. 바이오연료 기술 개요 및 해외 동향 1. 바이오연료 기술 개요 2. 해외 보급현황 및 전망 Ⅲ. 우리나라 보급현황 및 생산비 분석 1. 보급 현황 2. 국내 유채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비 분석 Ⅳ. 보급전망 및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 1. 바이오연료 보급전망 2. 바이오디젤의 잠재적 보급량 및 사회적 순편익 3. 바이오에탄올의 잠재적 공급 가능성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및 향후연구과제 2. 정책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