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
해외에너지시장 분석: LNG시장 2007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 형태사항
- vi 103 p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3)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7038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703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703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70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2006년 세계 LNG 수요는 전년비 약 1,540만 톤(11%) 증가함.유럽지역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15.1%) 아시아지역은 11.0%임.
? 주요 LNG 소비국이 아시아 지역에 위치하므로 물량 기준(1,010만톤)으로 이 지역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임.
? 미국은 따뜻한 날씨와 재고량의 여유로 LNG수입 수요가 실질적으로는 100만 톤(7.6%) 감소함. 이에 따른 가격 안정으로 여유 물량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상당량이 아시아지역으로 전환됨.
? 2006년 유럽지역의 수입량은 전년대비 560만 톤 증가하였으며 특히 영국이 가장 크게 증가였는데, Isle of Grain 터미널이 연중 가동을 시작하였고, 전년대비 수요도 크게 증가했기 때문임.
? 유럽대륙에서는 프랑스가 140만톤(13%), 벨기에가 110만 톤(49%) 증가하였으며 스페인은 지역 내 최대시장으로 1,840만 톤을 수입하였으나 증가율은 전년대비 3%에 해당함.
? 2005~06년 동절기에 평년보다는 추웠던 날씨로 인해 스페인은 2006년 전반기 LNG 수요가 증가하였음. 하지만, 높은 가격과 수력발전의증가, 후반기 따뜻한 기후로 수요가 줄면서 2006년 후반부에는 LNG 수입량이 감소함.
? 아시아지역에서는 2006년 LNG 수입량이 전년대비 1,010만 톤 증가하였는데 물량으로는 일본이 410만 톤으로 가장 크고 한국이 300만톤으로 뒤를 이음.
? 이 두 나라에서는 기회가 날 때마다 산업용과 발전용으로, 석유를 대체해서 단위가격이 저렴한 LNG로 연료를 전환해 왔음.
? 타이완은 LNG수입이 꾸준히 성장해서 77만 톤(8.6% 증가)이 되었고, 인도는 가장 큰 증가율(37.2%)을 보이며 2006년 수요가 620만 톤에 이르렀는데 LNG수입이 증가한 것은 LNG가 나프타와 비교해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현물 수입을 크게 늘렸기 때문임.
? 중국은 2006년 5월에 광동 LNG 터미날의 가동을 개시하면서, 아시아의 5번째 LNG 수입국이 됨. 향후 수년간 중국의 LNG 수입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가격이 너무 올랐기 때문에 지난 전망치만큼 급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임.
? 미국의 경우 Shell이 운영하는 Altamira터미널의 가동개시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된 것처럼 LNG 수입량은 2.3% 줌.
? 2006년 세계적 LNG 공급은 전년대비 1,570만 톤(11%) 증가하였는데 만약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오만, 카타르, 트리니다드에서 계획 중인 프로젝트들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10%이상 더 높았을 것임.
? 물량기준으로는 대서양 분지가 가장 크고(930만 톤), 중동(540만 톤), 아시아(100만 톤)가 순으로 공급량이 많음.
? 알제리는 2006년에 전년대비 220만 톤이 감소했으나 대서양 분지에서는 아직 최대 수출국지위를 유지함. 이 지역에서 공급물량이 가장 크게 증가한 국가는 이집트(520만 톤)이며, 2기의 액화플랜트가 연중 가동한데 기인함.
? 나이지리아도 큰 증가율을 보였는데, NLNG 트레인Ⅳ를 1월에, 트레인Ⅴ를 5월에 가동하기 시작했기 때문임. Feedgas(원료가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더 높은 증가세를 보였을 것임.
? 트리니다드도 트레인Ⅳ를 1월에 가동개시하면서 견실하게 증가(240만톤)하였는데 상류부문의 문제로 생산량이 가용능력에 미치지 못함.
? 중동에서의 LNG 공급은, 카타르와 오만에서의 생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전체 공급량이 증가함.
? 태평양 분지에서는 Darwin LNG가 2006년 2월 가동을 개시하여, 호주의 생산량이 증가했는데 기타 지역에서의 상황은 좋지 않은 실정임. 특히,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의 주요 수출국들의 생산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LNG 시장이 최근 급성장하면서 여러 가지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LNG 프로젝트 개발비용은 기술발전과 프로젝트 대형화에 힘입어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계약관행의 유연성 증대에 따른 지역 간의 재정거래(arbitrage)의 증가, 지역 및 계절 간 수급 불균형 해소 등의 요인으로 인해 현물시장 규모가 1998~2005년 기간에 약 10배 증가되었고, 세계 LNG 교역에 서 LNG 현물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11%에 이름.
? 미국, 유럽의 LNG 수요증대 전망에 따라 현물거래용 물량을 유보해두며, LNG 시장의 유동성 확대 추세에 따른 물량인도(off-take)의 불확실성 위험을 완충하고 하류부문의 부가가치를 획득하기 위해 하류부문으로 진출을 확대하는 등 공급자들의 LNG 사업전략이 변화하고 있음.
? 한편 수요 측에서도 E&P도입의 부가가치 창출, 가격위험 방지, 소요물량의 적기 도입을 위해 상류부문에 적극 참여하는 등 영역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음.
? 근래의 장기계약은, 20년 이상의 계약기간, ex-ship 인도조건 및 85% 정도의 유가연동비율, 엄격한 도착지조항 및 제한적인 계절별 항차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2000년 이전의 전통적 계약 형태에서 탈피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가격수준은 2000년 이전의 전통적인 계약가격 수준보다는 낮지만, 고유가 상황의 지속, 세계 LNG 수요의 증가 및 중·단기 공급압박 상황 등을 반영하여 2005년 상반기까지와는 매우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
목차
I. 세계 LNG 수급 현황
1. 세계 천연가스 수급 현황
2. 천연가스 교역 현황
II. LNG 생산국 현황
1. 아시아?태평양 지역
2. 중동 지역
3. 아프리카 지역
4. 유럽 및 아메리카 지역
III. LNG 수입국 현황
1. 아시아 지역
2. 북미 지역
3. 유럽 지역
IV. 주요국의 가스안보 강화 방안
1. 일본
2. OECD 유럽 국가
3. 미국
참고문헌